•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1254개
성서침례교회들과 성경에 관하여 - 미국 뉴저지 중앙침례교회 이황로 목사   성서침례교회들과 성경에 관하여 몇 자 적고자 합니다. 우리가 적어도 성서침례교회라는 이름을 사랑한다면 무엇이 "성서"인지 알아야 할 것입니다. 그래야 해석도 나올 것이고 적용도 나올 것이고 선포와 전도도 나올 것입니다. 원문비평학이란 학부보다도 대학원에서 신구약총론에서 조금 다루어지는 것으로 대개의 목회자들은 그냥 지나갈 정도이며 특히 "말씀의 보존(Preservation)"에 관한 것은 웬만한 조직신학 책에서도 별로 많이 깊게 다루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이 비평학에 관하여는 대개 유명 박사들이나 교수들이 말한 것을 거의 수용하는 편이지 감히 이렇다 저렇다 말할 수 있는 수준이 못되기에 조심스러운 것도 사실입니다. **************** 개역 성경에서 세 명이 구원받는 놀랍고 아름다운 사례에서 우리 주 예수님의 타이틀이 훼손되어 있거나 삭제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번역 문제가 아니라 사본의 문제이다. 눅23:42의 강도의 구원(주여 삭제), 행8:37의 내시의 구원(신앙고백하는 전체 절이 삭제), 행16:31의 빌립보 간수의 구원(주 예수 그리스도에서 "그리스도"가 삭제) 등에서 보듯이 이런 경솔하고 불경한 삭제를 해도 된다는 말인가? 성서침례교회 사람들이 구령상담을 그렇게 잘한다고 하면서 롬10:9, 13을 잘 외우고 있다. 예수님을 주(=하나님)로 믿어 시인하는 것은 절대적인 조건이다. 물론 반대자들은 원래는 없었는데 누군가가 필사를 하면서 추가했다고 할 것이다. 결국 TR과 비TR과 우리는 선택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신약에서 이렇게 삭제된 양을 계산해보면 7%에 육박하는데도(4500곳 이상 변개/삭제) either A or B(이런들 저런들 어떠하리)라고 말할 수 있는가? 7%의 양이면 요한계시록과 비슷하다. 나의 질문은 이렇다. 킹제임스 성경만이 하나님의 말씀인가라고 묻지 말고 우선 신약만을 두고 말할 때 요한계시록이 빠져도 신약전서라고 말할 수 있는가? 요3:16, 로마서의 길 말씀, 옥중서신들, 혹은 목회서신들이 빠져도 신약전서라고 말할 수 있는가? 이 문제는 조금 머리를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에 평범한 목회자들은 어리둥절할 수 있다. 그런 것을 이용하여 말씀보존학회 사람들이 성서침례교회들 목회자들을 혼잡스럽게 할 수 있지만 (일부 혹은 상당수 오류 내지는 극단적인 주장을 실제로 하고 있다), 동시에 (신)복음주의자들과 소위 일부 근본주의자들도 자유주의자들의 견해와 학설을 받아들여 친교회 목회자들을 오도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을 내어서 연구하여 보면 그렇게 어려운 주제만은 아니다. 결국 자유주의자들, 신정통주의자들(바르트)들의 주장은 축자 영감을 부인하며 이 문제를 접근하기 때문에 1) 가장 오래된 사본이 원본에 가깝다, 2) 짧은 원문이 원본에 가깝다는 주장으로 자연적인 결론을 내린다. 초자연적인 접근이 없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 원본을 오류 없이 성경기자들에게 주셨다 하더라도 우리에게는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뜻이다. 그들의 주장은 차라리 진화론적인 접근이요, 누군가 초기에라도 성경을 변개하였다면 그렇게 변개 되고 삭제된 필사본들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축자 영감은 적어도 축자 보존을 논리적으로 요구하며, 축자 보존은 축자 번역을 요구한다. 설령 보존과 번역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최대한 정확한 보존과 정확한 번역을 요구한다. 그러한 반면에 개념영감(Dynamic Inspiration)은 개념보존, 개념번역으로 갈 수밖에 없다. 성서침례교회 목회자들과 신학교수들, 신학생들 중에 개념영감을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이단학설. 잘 모르면 조직신학 책을 참조). 믿는다면 그는 근본주의자도, 복음주의자도 아니고 마태4:4에서 주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모든 말씀(every word)"과 딤후3:16의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된 것"을 믿지 않는 사람이다. (개역 이 구절의 "감동"이란 말은 중대한 오역이다. 벧후1:21에는 기자가 "감동"을 받았고, 딤후에서는 기록이 오류 없이 "영감"을 받았다). 어쨌든 역동적 일치의 번역 기법은 축자 영감을 믿는 사람에게는 스스로 모순과 위선을 가져온다. 왜냐하면 개념이 영감을 받지 않았기에 개념이 보존되는 것이 아니고 따라서 개념(Dynamic Equivalency)이 번역되어서는 안 된다. 다만 다른 문화권과 언어권에서 제한된 것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은 하나님도 아시기 때문에 허용될 수 있다. 지상명령(마28:19-20)에서 우리가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기 위해서는 구령과 더불어서 성경번역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예수님께서 각 언어와 문화를 모르시고 그 명령을 주지 않으셨다. 또 하나 역동적 일치로 번역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는 축자 영감을 믿는다면 문자적 해석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세대주의에서 문자적 해석을 매우 강조한다. 문법적-역사적 해석, 수사법적 해석, 성경자체의 해석을 세 가지 중요원리로 삼고 이것을 일관성 있게 사용한다. 역동적일치 기법은 영유니 상징이니 하면서 단어가 주는 액면상의 뜻을 배제한다. 이것을 길게 설명할 필요는 없다. 다만 축자 영감을 믿는다면 문자적 영감, 문자적 보존, 문자적 번역, 문자적 해석이라는 일관성 있는 입장이 된다. 반면에 개념적(=역동적)영감은, 역동적 보존, 역동적 번역, 역동적 해석으로 귀착된다. 한번 심사숙고 해볼 일이다. 복음주의자들의 고민과 모순은 영감에서 있어서는 축자 영감을 믿는다고 말하면서 번역에 있어서는 역동적(=개념적) 일치를 주장한다. 그러므로 성경은 가능한 한 문자적 번역을 해야 한다. 킹제임스 성경이 바로 그렇다. Textus Receptus(=Received Text) 시작하신 분은 하나님과 예수님이시다. 요17:8을 묵상 해 보라. 이 말씀이 계속 사도행전에 반복된다. (이 정도만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말하고 싶은 것은 미국의 성서침례친교회들은 도대체 무슨 성경을 쓰는가 하는 문제이다. 미국에도 한글 개역에 해당하는 NASV/NIV가 존재하는데 주일날 예배 때 설교 때 어떤 성경을 쓰는가? 미국 친교회 안에서도 이 문제가 계속 대두되고 있고 많은 독립침례교회들도 이슈가 되고 있다. 목회자 서재에서는 여러 번역본들과 히브리/헬라어 성경을 보겠지만 강단에서 어떤 성경을 쓰고 있나? 진실로 킹제임스 성경이 자유주의자들과 신정통주의자들, 상당수의 복음주의자들이 생각하고 믿고 주장하는 대로 열등하고, 원본과 원문에서 변개 된 것이라면 그들은 강단에서 위선을 떨고 있는 셈이다. 미국 친교회의 소수의 목회자들이 자신의 양심과 정직을 따라서 킹제임스 성경이 열등하다고 믿는 나머지 다른 성경을 최고로 정확하게 번역된 성경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는 성서침례교회 교회 목사라는 말이 무섭다. 무엇이 하나님께서 주신 성경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국 친교회 교회들 중 어떤 교회들은 교회 이름에서 "침례"라는 말을 삭제하기 시작했다. 2년 전에는 전에 빅 박사님께서 시무 하시던 교회도 템플 침례교회에서 노쓰릿지 교회로 개명했다. 어쩌면 그 교회가 변질되면서 솔직하게 안팎을 투명하게 했는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성서침례교회라는 이름을 가진 교회들도 "성서"와 "침례"라는 말을 삭제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무엇이 성경인지도 모르고, 부정적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침례라는 말도 빼는 것이 좋을 것이니까...... 세상은 십자가, 보혈, 천국, 지옥이라는 말도 싫어한다..........). 킹제임스 성경에 대해 쉽게 말한다면 다음과 같다. 1) 가장 정확하고 탁월한 보존된 사본을 원문으로 채택됨 2) 당시 가장 건전한 신학을 가진 사람들이 번역자로 채택됨 3) 지금까지도 가장 탁월한 히브리/헬라어를 잘 아는 번역자들이 채택됨 4) 가능한 한 최대로 역동적 일치가 아니라 문자적 일치 기법으로 번역 우리 친교회 목사님들이 우선 연구를 많이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신통치 않은 글을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킹제임스 성경에 관한 제언 한국 친교회가 침례교회로서의 근본주의를 버리고 점점 (신)복음주의로 가는 것을 볼 때 안타까운 마음이 그지 없습니다. 그 결정적인 이슈들 중의 하나는 성경문제입니다. 우리는 오래 동안 한글 개역 성경을 사용하여 왔었고, 그 성경이 (영어) 킹제임스 성경과 현저한 차이가 있었지만, 친교회 교회들 목사님들은 그래도 킹제임스 성경이 더 좋다는 정도밖에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것은 실상을 몰라서 그렇습니다. 나도 처음에 1981년에 이 문제를 만났을 때, 그 정도였기 때문입니다. 단지 개역 성경에서 다소 미흡하거나 틀린 부분 또는 빠진 구절이나 채우면 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 들어가면 갈수록 그 정도가 아니라, 엄청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개역이 아닌 다른 성경이 반드시 나와야한다는 결론을 내린 것입니다. 그러니까, 피상적인 연구조사로는 개역성경을 계속 사용하고 복을 누리며 가르치고 설교하는 것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미국에도 NASV/NIV를 쓰면서 큰 교회 목회하고, 훌륭한 사역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보다 더 자유주의 노선으로 가는 목회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이 논조로만 본다면 굳이 성서침례교회를 목회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과연 하나님께서 성경을 쓰셨고 우리에게 보존해주셨는가? 그리고 우리가 그런 성경을 현재 가지고 있으며 사용하고 있는가? 그런 칼을 주셨는가? 아니면 장난감 칼을 가지고 마귀에게 휘두르고 있는지 점검해보아야 할 것입니다. 이 일은 시간과 노력이 매우 요구되고 머리 아프게 하는 일입니다. 그러니 조금씩 접근해 가면 좋은 결론에 도달할 것입니다. 우선 무엇보다도, 킹제임스 성경 문제를 접근할 때, 허수아비를 치면 안 됩니다. 지금 미국에도 킹제임스 성경을 사용하거나 지지하는 사람들 중에는 여러 입장들이 있고 보편적인 입장, 극단적인 입장, 이단적인 입장 등이 있습니다. 침례교회 역사를 공부할 때도 아나 뱁티스트 중에는 성경적인 재 침례교도, 극단적인 재 침례교도, 이단적인 재 침례교도 등이 있기 때문에 구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런 구분이 없이는 쓸 데 없는 시간 낭비만 합니다. 성서침례교회들이나 독립침례교회들은 성경적인 재 침례교도들에 그 역사적인 기원을 두고 있으며 결국 초대교회까지 교리적인 추적을 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침례교회의 기원에 대하여도 여러 견해가 있는데, 성서침례대학에서는 어떻게 가르치는지 모르겠음). 따라서 킹제임스 성경을 지지하고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한 종류만 있다고 오해하는 분들이 친교회 안에도 적지 않습니다. 저명한 신학자들도 허수아비를 치는 오류를 종종 봅니다. 10여 년 전에 미국에서 “주재권 구원”을 가지고 달라스신학교 라이리 박사와 그레이스 코뮤니티교회의 죤 맥아더 사이에 복잡한 말들이 오갔습니다. 라이리 박사는 신학적 입장에서 은혜로 말미암아 믿음으로 구원받는 성경적인 입장을 주장했고, 맥아더 목사는 목회자적 입장에서 볼 때, 구원받았다고 말하고 믿는 사람들이 다 구원 받았는가?라는 입장에서 각각 출발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서로 주장하지 않는 말을 가지고 공격하고 피가 터지는 논쟁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각자가 주장할 때 신학적 용어의 “정의: definition"을 (조금) 다르게 내리고 말을 하니 결국 서로 허수아비만 치는 격이 되고 말았습니다. 상대방이 결코 주장한 적이 없는 내용을 가지고 공격을 한다는 말입니다. 나 개인적으로는 라이리 박사의 성경적 입장을 지지합니다. 하지만 맥아더 목사는 신학적으로 성경적으로 틀렸지만 그의 주장도 전혀 일리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어쨌든 킹제임스 성경 논쟁에서도 찬반 입장이 그러한 허수아비 때리기에 휘말려 있는 것을 목격할 수가 있습니다. 신학 접근과 논쟁에서는 그런 일이 자주 일어나기에 본인이 주장하는 그 단어의 정확한 정의를 내리고 서로 말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그런데, 한국 친교회의 목사님들 중에는 킹제임스 성경을 강력히 주장하는 사람들이 플로리다의 피터 럭크맨이나 한국의 이송오 박사와 같은 사람들만 있는 것으로 여기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것은 대단한 오해이며 무정보 탓입니다. 나는 목사님들의 잘못이라고 생각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도 킹제임스 성경 문제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도 위에서 말한 대로 보편적이고 성경적인 입장, 극단적 입장, 이단적인 입장을 구분 못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말하자면 도매금으로 물건을 넘기는 식으로 처리하여 이단적인 입장에 있는 사람으로 몰아치는 안타까운 일들이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안 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이곳 미국에서도 계속 연구를 하면서 입장들이 정리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킹제임스 성경에 대하여 찬성하든지, 반대하든지, 우선 절대화해서 말을 하면 안됩니다. 어떤 분들은 킹제임스 성경을 쓰면 럭크맨파, 이송오 말보회라고 함부로 말합니다. 모르셔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책이나 자료들을 보면 객관적인 입장에서 각자 활용을 합니다. 그러니까, 피터 럭크맨이 저술한 책의 내용 중에는 어떤 유명한 신학자나 목회자가 말한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내용들이 엄청나게 들어있습니다. 보편적으로 볼 때 틀렸다고 믿는 것들이 있지만 성경론만 보더라도 어떤 조직 신학책에서 언급되지 않은 탁월한 내용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말씀보존학회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그런 서적들을 번역하기 때문에 그 학회에서 나온 책들을 모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아서도 안됩니다. 아쉬운 것은 현재 킹제임스 성경을 변호하는 책과 자료들은 80% 이상이 그 학회에서 번역했기 때문에 친교회 목사님들은 아예 거들떠 보지도 않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그 사람들의 독점이나 전매가 아닙니다. 하지만 보편적이고 성경적인 입장에서 씌여진 좋은 책들이 너무 많이 있습니다. 다만 번역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한국이나 미국에서 킹제임스 성경을 강하게 지지하고 심지어 그 성경만이 보존된 성경이고 가장 정확하게 번역된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을 럭크맨 파 사람이라고 밀어붙이는 오류를 범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우선 무엇보다도 조직신학에서 말하는 “성경론”을 다시 읽어보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킹제임스 성경을 강조하는 사람들 중에는 “영감(Inspiration)"에 대한 정의를 전통적인 의미로 정의하지 않는 사람도 있기 때문입니다. 원론적인 이야기이지만 조직신학은 원래 귀납법적인 방법으로 성경과 이성(논리)를 가지고 세워져 왔습니다. 그런데 조금 조심해야 하는 것은 어느 정도 신학이 “조직화”되면 그 체제가 오히려 성경의 가르침을 넘어설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침례교 신학교 개신교 신학이 다를 때가 있음을 보여 주는 이유입니다. 보수적인 개신교 신학과 성경적인 침례교 신학은 “교회론”과 “종말론”이 다름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허수아비 치기를 여기서도 조심해야 할 것입니다. 미국의 독립침례교회들의 현황은 어떠한가? 나도 성서침례교회(행당동)에서 구원받고 자랐고 헌신, 결혼, 안수까지 받은 사람으로서 그 영적인 자산과 경험들에 대하여 큰 자부심을 갖고 있습니다만, 미국에서는 국제성서침례친교회가 대다수가 아님을 한국 목사님들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넓게 근본적인 독립침례교회라고 보통 말하며 그 중에 BBFI가 있다고 보는 것이 나을 것입니다. 그래서 여러 친교권의 교회들, 신학교들이 있고 열심히 주님을 섬기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볼 때 미국의 근본주의 독립침례교회들은 킹제임스 성경을 사용해왔습니다. 신학부에서는 물론 킹제임스 성경을 사용해왔는데, 신학대학원 과정에서는 헬라어 원문 선택에 있어서는 NASV/NIV의 원문인 소수사본을 채택한 것이 사실입니다. 모순적인 입장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구령과 선교와 교회를 세우는데 열심이었기에 별로 사람들이 문제를 삼지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문제가 될 필요도 없었습니다. 그런데, 성서침례대학(미주리 스프링필드)은 처음에 3년 과정이었고, 후에야 대학원과정이 개설되었습니다. 다른 신학원과 마찬가지로 대학원 과정에서 모순되게 킹제임스 성경 원문(히/헬)이 아닌 다른 원문(히/헬)을 가르쳤습니다. 이것은 밥죤스 대학(원)이나 다른 신학교에서도 거의 비슷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래도 거의 대부분의 미국 근본주의 침례교회 목사들은 자신이 설교하고 가르치기 위해 들고 있는 성경이 “완전한” 성경이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신학교육을 조금 더 받은 목회자들은 그렇게 생각지는 않았습니다. 이런 와중에 피터 럭크맨과 D.A. Waite(웨이트) 같은 사람들이 킹제임스 성경에 대하여 깊은 연구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럭크맨에 관한 경력과 결혼에 대하여는 조금 알려진 편인데, 웨이트 박사는 달라스 신학원에서 졸업할 때 수석으로 졸업한 분(ThD)이고 퍼듀(Purdue) 대학교에서도 PhD(Greek)를 딴 대단한 학자입니다. (www.biblefortoday.org) 이런 사람들이 연구한 것을 말할 때 유식한 어떤 사람들은 비웃었습니다. 어쨌든 웨이트 박사는 보편적이고 성경적인 입장에서 킹제임스 성경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사람입니다. 그러다가 1984년에는 인디애나 해몬드의 제일침례교회 잭 하일스 목사님이 이 문제에 접근하고 변호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전에는 킹제임스 성경을 강력하게 주장하는 학생을 크게 나무란 적이 있습니다. 그 후 1995년도 후반에 플로리다의 펜사콜라 대학(www.pcci.edu)(공교롭게도 피터 럭크맨과 같은 도시)의 총장 호르튼 박사가 이 문제를 오래 동안 연구하다가 프로 킹제임스 성경 입장으로 굳어졌습니다. 이렇게 되다보니 BBFI에서도 문제가 되어 결국 몇 년 전에는, 친교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던 샘 데이비슨 박사가 주장이 되어 하트랜드침례신학대학이 세워지게 됩니다(400명 정도). (한국 친교회 교회들은 더 하지만 현재 미국 BBFI도 남침례교회 목사, 초교파 목사를 친교회 강사로 세우느니, 못하느니 하고 있음. 점점 개방적으로 가고 있음). 미주리의 BBC가 어느 정도 타격을 입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미국 독립침례교회들 목회자들이 학생들을 보낼 때 적지 않은 사람들이 그 학교가 킹제임스 성경을 어떻게 생각하나를 생각한다는 말입니다. 모두 킹제임스 성경을 사용했지만 전에는 숫자적으로 소수만이 킹제임스 성경을 강력하게 주장했는데 지금은 과반수를 넘는 학교와 학생들이 킹제임스 성경을 강력하게 믿는 학교로 간다는 말입니다. 그러니까, 밥죤스 대학교(철저히 침례교적이지는 않음), 테네시템플 대학교 같은 학교들은 학생 수 감소에 대하여 위기를 느끼고 나름대로 대처를 하고 있습니다. 하일즈앤더슨 대학, 펜사콜라 크리스천 대학만 보더라도 각각 3000명, 5000명이나 되는 학생 수가 있으니 밥죤스 5000명, 테네시템플 1200명... 위축당하고 있습니다. 나는 여기서 진리가 수에 좌우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고, 미국 성도들과 목회자들이 적어도 공부하고 연구하면서 나름대로 결론을 내려간다는 말씀을 드리려는 것뿐입니다. 지금 이 학교와 학생들은 피터 럭크맨과 같은 극단적인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펜사콜라 대학에서는 킹제임스 성경에 관한 좋은 서적과 비디오들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영어에 조금 익숙하신 분들은 구입하여 연구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킹제임스 성경을 주장하고 강력하게 그 성경만 사용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피터 럭크맨 추종자가 아니며, 지극히 정상적이고 보편적인 사람들이라는 것을 우선 알아야 할 것입니다. 스트라우스 박사가 성경론과 킹제임스 성경에 대하여 특강에서 이 분은 보편적이며 성경적인 입장에서 킹제임스 성경을 믿고 가르치는 분입니다. 비록 밥죤스대학교에서 PhD를 받았지만 킹제임스 성경, 침례교 교리, 근본주의에 대하여 가장 건전한 분 중의 한 분입니다. 물론 통역이 있을 것입니다. 가서 들어보시고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www.inchristjesus.net (전국친교회와 중복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기회가 있을 때 가끔 킹제임스 성경에 관하여 거시적인 접근에서 미시적인 접근으로 가면서 기고를 하겠습니다. 미국 뉴져지 중앙침례교회 이황로 킹제임스 성경에 대한 여러 입장들 킹제임스 성경을 주장하고 변호하는 사람들이 피터 럭크맨이나 이송오 박사만이 아니라는 것을 지난번에 잠간 언급했습니다. 그리고 조금씩 다르게 여러 입장과 믿음이 있음을 잠간 소개하였습니다. 다음 주제에 대하여 우리는 스스로 생각해보고 답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즉 이 글을 읽는 분에게 숙제와 과제를 내드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끝에 가서 여러 입장들을 소개하려 합니다. 1. 과연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완전한 성경이 있어야 하고 현재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어디에 있는가? 신약을 두고 말할 때, 다수사본(“넓게 말해서” 비잔틴 사본 또는 전통사본 Textus Receptus[약자로 TR, 영어로는 Received Text])이나 소수사본(비평사본, 웨스트코트와 홀트 사본, 네슬사본 등)에 보존되어 있는가? (다수사본[Majority Text]과 [소수사본]에 대하여 무슨 뜻인지 모르는 분들은 신약개론이나 신약총론의 설명을 참조하여 보라). 완전한 성경이 필요한가? 그것이 다수사본도 아니고 소수사본도 아니라면 번역본으로 가야할 것이다. 더욱이 원본(Original Manuscripts)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 문제를 아는 사람들은 다 알고 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성경보존에 대하여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 성경이 어떤 형태로 보존될 것인지 생각해 보라. (마태5:18; 계22:18-19...19절도 개역 성경은 킹제임스 성경과 다르다. “생명의 책”인지, 아니면 “생명나무”인지 확인 해 보라. 주님은 구약에서도 말씀을 가감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신4:2; 잠30:5-6). 그런데 복음주의자들과 일부 근본주의자라고 말하는 사람들에는 신약에 있어서 7%나 되고 8413 군데에서 다르거나, 빠지거나, 변개된 것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기본교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무지와 불경함을 말하고 다. Everett W. Fowler, Evaluating Versions of the New Testament (Watertown: Maranatha Baptist Press, 1981), p.66. 구약까지 본다면 사본(원문) 선택과 번역기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에 2만 군데가 넘는 곳에 차이가 나고 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사본뿐 만 아니라 결국 어떤 번역본도 오류가 없다고 생각한다. 일리가 있는 말이다. 원본에는 오류가 없이 기록되었다고 믿는 것이 근본주의자들 전체와 거의 모든 복음주의자들의 믿음과 신학이다. 나도 100% 이에 동의한다. 하지만 사본이나 역본에 있어서는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것도 존중한다. 하지만 신구약 말씀의 저자이신 예수님의 말씀에 의하면 자신의 말씀이 완전하시며, 완전하게 성취될 것이며 완전하게 보존하실 것을 말씀하셨다. 그렇다면 지금도 어딘가에 완전한 말씀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설교자도 성경을 들고 말할 때 “여기에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완전한 말씀이 있고, 우리가 믿고, 선포하고 묵상하고 순종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나는 복음주의 목사들과 근본주의 목사들이 그렇게 설교하는 것을 지금까지 보아왔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성경을 들고 그렇게 말하는 것은 기만이요 회중 모욕이요, 불경한 일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킹제임스 성경이나 개역 성경이나 혹은 NIV/NASV/NKJV 등 가운데 어딘가에 완전한 성경이 존재하고 그것을 “짜집기”한 것이 완전한 성경이 될 것이라고 생각도 한다. 나는 “글쎄요”라고 답할 수밖에 없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완전한 말씀을 원본을 통해 주셨다면 그 말씀이 사본 등을 통해 지금까지 보존되어 왔어야 하고, 적어도 이 시대에도 그러한 완전한 말씀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은 성경과 논리의 정당한 가르침과 결론이다. 그러한 성경이 없다면 아마 지금 그러한 성경을 만들든지,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예수님 당시에는 어떠했는가? 예수님께서 나사렛에 방문하셨을 때, 이사야서를 찾으셨는데 그 성경은 원본이 아닐 것이다. 결국 사본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구약 이사야서를 “성경”이라고 인정하셨고 부르셨으며, 그 말씀이 자신에게 성취되었다고 선포하셨다. 나는 예수님께서 구약사본을 보실 때 공인하셨음을 믿는다. 그것은 원본도 아니었고 더욱이 칠십인역도 아니었다. (칠십인역은 상당수 사람들이 아는 것처럼 예수님 오시기 전에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다. 단지 학설 뿐이다). 나는 축자영감을 믿고, 하나님의 섭리에 의한 말씀보존을 믿으며, 그리고 번역된 성경으로서 문자적으로 번역되어 보존된 말씀이 있음을 믿는다. 그리고 당연히 있어야 한다. 그것이 당신은 어떤 성경이라고 믿는가? 원본? 다수사본? 소수사본? 킹제임스 성경? 개역? 공동 번역? 새 번역? 새 표준번역, 개정 개역? NIV? NASV? NKJV? Reader's Digest Bible?.....당신이 답변하면 나도 답변해주겠다고 약속한다. 2. 어떤 사람들은 꼭 그렇게 정확한 성경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러한 태도는 자유주의나 신정통주의 사고방식이다. 왜냐하면 전자는 하나님의 말씀의 축자 영감을 조소하면서 마음으로도 믿지 않고, 입술로도 비웃는 사람이다. 한국의 한신대가 대표적인 신학교요, 기장측이 해당되며 미국에서는 유니온 신학교가 해당된다. 그리고 신 정통주의는 한국의 장신대가 대표적인 신학교요, 통합측이 해당되며, 미국에서는 프린스톤 신학교가 해당된다. 그리고 키에르케골이나 칼 바르트가 대표적인 신학자들이다. 신 정통주의자들은 소위 신약에서 빨간 글자로 된 부분(어떤 성경에서는 예수님의 말씀을 빨간 폰트로 인쇄) 정도는 아마 주님께서 친히 하신 말씀으로 생각되나 나머지는 소위 “실존”의 관점에서 기록되었다고 주장한다. 아주 악한 사람들이다. 실존주의 신학이 바로 신 정통주의 신학이요, 그들은 마음으로 축자 영감을 부인하나, 입술로는 하나님을 믿는다고 말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과 생각”이 더 중요하다고 믿는다. 복음주의자들과 근본주의자들 모두가 말하기를 그들이 잘못되었다고 믿는다. 물론 복음주의자들(장로교 중 합동측과 남침례교단)은 그러면서도 신 정통주의자들과 초교파적으로 같이 어울리고 집회와 강단교류를 잘 하고 있다. 그런데, 근본주의자들 중에서도 일부 사람들은 복음주의 노선으로 가고 있는데 필연적으로 자신들이 복음주의자로 될 것을 알고 있다. 역사의 교훈에 의하면 근본주의(Fundamental)에서 복음주의(Evangelical)로 가고, 복음주의에서 에큐메니칼(Ecumenical)로 가기가 쉽다. 한국 성서침례교회도 지금 그러한 현상들이 일어나고 있다. 자, 그런데 성경 이슈에 대하여 복음주의자들과 근본주의들의 현격한 차이가 무엇인가? 복음주의 신학교들과 목회자들을 보면 알 수 있다. 한 마디로 말해서 복음주의자들은 킹제임스 성경을 쓰지 않고 쓸 수도 없다. 극단적인 예외가 있겠지만 보편적으로 그 말은 정확한 말이다. 복음주의 신학교(달라스, 리버티, 남침례 신학교들, 탈봇, 트리니티 등)에서는 원본의 축자 영감은 믿지만, 사본에 있어서 하나님의 섭리보존을 분명히 믿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지 성경말살정책과 핍박 밑에서 성도들이 말씀을 감추거나 생명을 걸고 카피했다는 정도이다. 그리고 거의 예외 없이 위의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가르치는 신구약총론에서는 웨스트코트와 호르트의 학설을 신봉하는 나머지 킹제임스 성경의 저본인 다수사본이나 비잔틴사본이 열등하다고 가르친다. 따라서 킹제임스 성경이 NIV나 NASV보다 나은 것이 없을 뿐 아니라 열등하다고 가르친다. 적어도 한국 친교회의 순수한 목사님들은 이런 사실을 모른다. 대부분 미국의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공부한 사람들은 그렇게 믿고 있다. 그러므로, 킹제임스 성경에 관하여 말할 때 “킹제임스 성경이 좋은 것은 나도 알고 인정한다. 하지만.”이란 말은 거짓일 경우가 대부분이다. 왜냐하면 그들이 신학교에서 배울 때 결코 그렇게 배운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도 한국의 BBFI 선교사들이 초창기에 킹제임스 성경이 탁월하다, 최고로 잘 번역되었다고 한국 목회자들에게 말해 주었고, 순수하게 믿고 있고 아직도 미국에 있는 BBFI 교회들과 목회자들이 거의 킹제임스 성경을 사용하기에 그러한 정서나 분위기를 훼손할 수 없기에 대강 좋게 좋게 말하는 것뿐이다. 겉으로는 근본주의 노선을 지향한다고 말하면서 실제 안은 복음주의 사람들은 결코 킹제임스 성경이 탁월하다고 믿지 않는다. 만약 그들이 교육받은 복음주의 신학교의 입장을 거부한다면 그렇게 않겠지만... 나의 질문은 그들이 만일 미국에서 목회 한다면 킹제임스 성경을 쓸 것인가라는 것인데 분명한 대답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므로 한국의 성서침례교회들 목회자들과 성도들이여, 근본주의자라고 자처하면서 복음주의 노선을 가는데, 자신은 킹제임스 성경이 좋다, 탁월하다, 우수하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자신이 공부한 신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이 무엇인지 조차도 모르든지 아니면 일부 보수적인 사람들을 무마시키기 위한 부드러운 표현에 불과하다. 한 마디로 복음주의자들과, 겉은 근본주의자라고 하면서 실제로는 복음주의자들은 킹제임스 성경이 하나님께서 보존하신 성경이라고 믿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번역본보다 탁월한 성경이라고 믿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이 배운 내용이 그렇지 않고, 자신도 그 배운 내용과 같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결코 킹제임스 성경을 사용하지도 않을 것이다. 우리는 순수해야 하지만 순진할 필요는 없다. 3. 킹제임스 성경이 아닌 성경들과 소수사본의 문제는 “뉴 에이지 사상”과 천주교 성경이라는 데 있다. 이것은 킹제임스 성경을 강력하게 주장하는 모든 사람들이 일치하는 입장이다. 자유주의자들과 신 정통주의자들은 성경원본의 축자 영감을 부인하고 잘 해야 부분영감이나 개념 영감을 믿으며 하나님과 성령님의 초자연적인 역사를 믿지 않는다. (고후2:17; 4:2 개역만 말고 한글 킹제임스 성경이나 한글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도 참조). 그런데 복음주의자들은 사본과 역본에 있어서 하나님의 역사와 섭리를 그렇게 강하게 믿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들은 조금 삭제되었다든지, 혹은 추가되었다든지, 변개 되었다는 것에 대하여 그렇게 심각하게 생각지 않고 그렇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기본교리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라고 변명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말씀선포와 순종과 사역에 있어서 대강 한다는 뜻을 결코 아니다. 다만 신학교에서 그 문제에 대하여 그렇게 교육을 받았기에 자신들도 그렇게 생각한다고 볼 수 있다. 뉴에이지 사상은 그리스도인이라면 대부분 반대하고 경계한다. 아니 당연히 대적해야할 사상이다. 그러므로 복음주의자들도 반대한다. 하지만 킹제임스 성경 외에 다른 역본들과 사본들이 뉴 에이지 영향을 받았다면 그렇지 않다고 주장과 반박을 할 것이다. 그래도 감사한 것은 이러한 것을 연구조사해서 그러한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깨닫고 영적인 눈이 밝게 뜨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진다는 사실이다. 적어도 영어 성경에 있어서 킹제임스 성경만을 사용해야 한다(소위 KJB Only)는 사람들은 다른 성경이나 사본이 바로 뉴에이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확실하게 믿고 있기에 하나님의 순수한 말씀을 무엇인지 믿고 있다. 그러니까, 킹제임스 성경 문제는 어떤 성경이 뉴에이지 영향을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에 달려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뉴에이지 사상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사상이요, 인본주의적인 가치관이요, 반성경적인 문화인데 그것을 추적해보면 바벨론 종교와 마귀에게까지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목회자나 신학생, 성경에 관심이 있는 성도라면 킹제임스 성경 이슈와 별도로 이 문제를 연구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사상과 이것을 추종하는 사람들은 절대적인 것을 믿지 않고 상대적인 것을 믿으며, 객관적인 것보다는 주관적이고 신비적인 것을 추구하고, 범신론과 윤회설 등을 추구한다. David L. Smith, A Handbook of Contemporary Theology (Wheaton: Victor Books, 1992), p.277. 그리고 이것은 현대와 와서 모든 분야, 즉 철학, 과학, 정치, 음악, 의학, 신학, 크리스천 신학까지 침투해 들어왔다. 나는 이것에 대하여 상세히 말하고 싶지 않다. 이미 훌륭한 책들이 나와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은 G. A.립링거 박사가 저술한 것으로 “그런 구절들이 빠져 있거나 변개 되어 있어도 기본교리에는 상관이 없다”는 불경한 사람들의 잘못을 책망할 것이다. Riplinger, G. A. New Age Bible Versions. Munroe Falls: AV Publications, 1993. 립링거 여사는 유명 대학교수로 있으면 학생들을 영적으로 성경적으로도 도왔는데, 캠퍼스의 학생들이 많은 종류의 성경이 왜 그렇게 존재하는지 그 이유에 관한 질문을 받고 도전 받아 6년 동안 꼬박 연구조사하고 분류하여 쓴 책이다. (피터 럭크맨과 상관이 없는 사람이다). 립링거 박사가 주장하는 것이 사실이라면 우리는 개역이나 다른 성경을 사용할 수 없다. 그래도 복음주의자들은 나름대로의 설명과 변명을 갖고 있으며, 자신들의 주장을 계속 할 것이다. 위의 책은 말씀보존학회에서 번역했고 정동수 교수가 상권을 번역했다. 도움이 될 것이다. 말씀구절들이나 단어가 빠진 성경에서 조금 틀리게 가르쳐도 상관이 없다는 사람은 회개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목회자나 영적 지도자로서 물론 말씀을 따라 100% 순종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너는 말씀을 전파하라(딤후4:2)”는 명령을 총사령관이신 예수님으로부터 받았으며, 지상명령에서도 “내가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고 마지막 당부도 있으셨고, 사도 바울도 행20:27에서 “하나님의 모든 계획(개역과 킹제임스 성경 다 참조)”을 주저함 없이 3년 동안 에베소 교회에서 가르쳤다. 마5:19도 참조해 보라. 우리가 성경을 다 알지 못해서, 우리가 아는 만큼 다 순종하지 못하는 것과는 다른 문제이다. 다시 말하지만 신약만 보더라도 7%의 분량, 8413 군데의 말씀들이 삭제되었거나 변개 되었는데도 “기본교리에는 상관이 없다”고 운운하는데, 조직신학에서 말하는 모든 부분들이 관련이 있고 성경을 부인하는 프린스톤 대학의 메츠거 박사도 상관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물론 킹제임스 성경을 믿지 않는다. 그래도 킹제임스 성경과 다른 성경들이 기본교리 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말하는데, 어차피 그 사람은 성경의 기본교리를 믿지 않고 거부하는 사람이고 솔직한 표현을 했을 뿐이다. 그에게는 기본교리가 상관이 있든 없든 별로 개의치 않는 사람인데, 근본주의자들이 믿는 교리와 자유주의자들이 믿는 것처럼 차이가 있다는 것을 시인한 것뿐이다. 4. 킹제임스 성경에 대한 여러 입장들 1) “킹제임스 성경이 가장 좋은 성경이 아니다. 다만 여러 번역성경 중의 하나다.” 그러므로 당신의 취향에 맞는 성경을 선택하라. 이것은 자유주의자나 신 정통주의들, 그리고 상당수의 복음주의자들의 입장이다. 2) “나는 킹제임스 성경이 가장 좋다.” 이 사람들은 순수한 입장에서 다른 역본들보다 더 선호하고 어휘나 역사적인 의미, 고전적인 문체와 간결체 등을 좋아한다. 반드시 복음주의자나 근본주의가 아니라도 여기에 속하는 사람들이 있다. 적지 않는 목회자도 여기에 속한다. 3) “신구약사본들이 탁월하기 때문에 킹제임스 성경이 탁월하다.” 구약의 사본이 마소라 사본(예를 들면 킷텔이 처음에 편집한 사본으로서 후에 한 것과 구별)인 점, 신약의 다수사본인 점을 들어서 킹제임스 성경을 믿는다. 하지만 이 사본들을 저본으로 하여 더 킹제임스 성경보다 더 좋은 성경이 나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절대적으로 배제하지는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복음주의자들 중에서도 이러한 사람들이 있다. Wilbur Pickering과 “Defender's Study Bible"을 만든 Henry M. Morris 박사도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Morris 박사는 미국 창조과학회를 창설한 사람이다. 그가 쓴 창세기와 요한계시록 주석은 매우 우수하다. 그는 NKJV의 모세5경을 번역하는 데 감독자로 요청되었지만 거절했다. Institute of Creation Research www.icr.org에 가서 킹제임스 성경에 관한 그 팜플렛을 요청해 보라. **************** 성서침례친교회 안의 목사님들은 구령과 교회를 강건케 하는 일에 바쁘실 줄 압니다. 저 또한 그렇습니다. 하지만 틈을 내어서 킹제임스 성경에 관한 책이나 자료들을 조금씩 연구해보시기 바랍니다. 나도 15년이나 걸려 지금의 결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2009-05-11 17:43:58 | 관리자
우리말 성경 번역의 어려움 2 요즘 몇 사람이 성경 번역의 문제들을 지적해서 이것저것 다시 살펴보고 있습니다. 최근에 어떤 분이 교정을 봤다고 하면서 여러 개를 알려주셨습니다. 힘들여 수고한 것에 대해 먼저 감사를 드립니다. 그런데 자기가 마치 하나님인 것처럼 다 알고 있는 것처럼 생각하며 호통을 치고 사람을 얕잡아 보는 것을 보며 참 예수 믿는 사람들이 이래야 하는가 하는 생각에 깊은 근심이 생깁니다. 무엇을 찾았으면 그대로 제시하고 살펴보라고 하면 되는데 "이 따위로 번역했느냐", "초등학교 번역이다", "중학교 번역이다" 라고 말할 때에는 참으로 마음이 무겁습니다. 우리의 문제는 항상 자신이 다 안다고 주장할 때 발생합니다. 나도 틀릴 수 있다는 생각을 하면 항상 더 좋은 방안이 생기며 형제를 세월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교회나 직장에서 다 통하는 원리입니다.   왕상18:21을 보기 바랍니다. And Elijah came unto all the people, and said, How long halt ye between two opinions? if the LORD be God, follow him: but if Baal, then follow him. And the people answered him not a word. 엘리야가 온 백성에게 나아가 이르되, 너희가 어느 때까지 두 의견 사이에서 머뭇거리려느냐? 만일 주께서 하나님이면 그분을 따르려니와 만일 바알이 하나님이면 그를 따를지니라, 하니 백성이 그에게 한 말도 응답하지 아니하매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에는 하나님이면이라는 말이 첨가되었고 이를 표시하기 위해 이탤릭 체를 썼씁니다. 그분은 왜 성경에 이렇게 첨가를 해서 가증한 일을 했느냐고 야단입니다. 그러면서 간단하게 영어처럼 하면 된다고 제안했습니다. 엘리야가 온 백성에게 나아가 이르되, 너희가 어느 때까지 두 의견 사이에서 머뭇거리려느냐? 만일 주께서 하나님이면 그분을 따르려니와 만일 바알이면 그를 따를지니라, 하니 백성이 그에게 한 말도 응답하지 아니하매 영어와 대조해서 얼핏 보면 이분이 지적한 것이 옳게 보입니다. 참으로 이분은 의로움으로 가득한 백기사로 보입니다. 우리 같이 무엇을 첨가하면 완전히 말씀 변개자가 되고 맙니다. 그러나 한 번 자세히 보기 바랍니다. 여기를 그냥 바알이면으로 하면 '주께서 바일이면'이라는 뜻이 됩니다. 여기의 '주'는 여호와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여호와가 바알이 됩니까? 그게 아니라 '바알이 하나님이면'이라고 해야 정확한 표현이 됩니다. 하도 어처구니가 없어서 미국 달라스 신학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딴 Kendall 박사에게 물어 보았습니다. I have one question in red. Is it if Baal be God like blue? ¶ And Elijah came unto all the people, and said, How long halt ye between two opinions? if the LORD be God, follow him: but if Baal, then follow him. And the people answered him not a word.   그랬더니 그분께서 곧장 다음과 같이 답을 보내 왔습니다.   Yes!  You are a good exegete.  In English it is called an “ellipsis” and needs to be provided. 그러므로 우리가 번역한 것이 맞습니다. 개역성경, 현대인의 성경, 공동 번역, 표준 새번역 할 것 없이 모두 '바알이 하나님이면'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다만 그들은 이탤릭 처리를 하지 않았을 뿐입니다. 그런데 누구로 인해 이분이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아십니까? 항상 문제는 말씀보존학회라는 유명한 단체에 의해 생깁니다. 그들의 번역은 이분의 주장대로 '바일이면'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바른 번역이 아닙니다. 성경 번역에서 단어를 더하는 일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아무리 의롭고 거룩한 사람이 번역해도 더하는 일은 반드시 생깁니다. 그러나 영어를 혹은 번역을 잘 모르는 분들은 이것을 깨닫지 못하고 말씀보존학회 방식으로 번역하고 그것이 맞다고 주장합니다.      다시 한 번 부탁합니다. 틀린 데가 있다고 생각되면 통보해 주십시오. 여러분의 협조가 성경 본문을 고정시키는 데 대단히 중요합니다. 읽어 봐야 문제가 드러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다만 보낼 때 인격적인 글로 보내기 바라며 제안이 채택되지 않더라도 실망하지 말기 바랍니다. 그 노력은 주님께서 인정해 주실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2009-05-11 17:39:52 | 관리자
우리말 성경 번역의 어려움 1 요즘 몇 사람이 성경 번역의 문제들을 지적해서 이것저것 다시 살펴보고 있습니다. 저는 항상 번역 문제를 오픈해서 지적한 사항들이 사실이면 다음 번 인쇄 때에 교정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전에도 그렇게 했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1611년 영어 성경처럼 왜 단번에 고정된 우리말 역본이 나오지 않느냐고 야단을 치기도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영어 성경도 1380년경의 위클리프 성경부터 시작해서 1611년 킹제임스 성경까지 무려 230년 동안의 번역/재번역 과정을 거치면서 정착되었습니다. 번역이 그렇게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말 개역성경이 수십차례 교정되었다는 증언도 이것을 뒷받침합니다. 앞으로 혹시 교정할 곳이 발견되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최근에 어떤 목사님이 엄청나게 큰 것을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이따위로 성경을 번역하느냐고 호통을 쳤습니다. 이런 분들을 만나면 정말로 쥐구멍에 들어가고 싶습니다. 15년을 이 일을 했는데 이런 질책을 통해 마치 큰 죄를 지은 것 같이 몰아붙이면 어떤 때는 죽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이분이 지적한 것은 여호수아기 1장 내용입니다. 이 구절은 너무 유명해서 여러분과 내가 잘 아는 것입니다. 1. 그분께서 또 눈의 아들 여호수아에게 책무를 주시며 이르시되, 네가 이스라엘 자손을 내가 그들에게 맹세한 땅으로 데려가리니 마음을 강하게 하고 담대히 하라. 내가 너와 함께하리라, 하시니라. 2. 네 평생 동안 능히 아무도 네 앞에 서지 못하리니 내가 모세와 함께하던 것 같이 너와 함께하리라. 내가 너를 떠나지 아니하며 버리지 아니하리니 마음을 강하게 하고 담대히 하라. 내가 이 백성에게 주리라고 그들의 조상들에게 맹세한 땅을 네가 그들에게 상속 재산으로 나누어 주리라. 3. 오직 너는 마음을 강하게 하고 매우 담대히 하여 내 종 모세가 네게 명령한 모든 율법대로 지켜 행하고 그것을 떠나 오른쪽으로나 왼쪽으로나 치우치지 말라. 그리하면 네가 어디로 가든지 형통하리라. 이분의 요지는 왜 마음을이라는 단어를 내 마음대로 첨가해서 하나님의 말씀을 부패시켰냐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분 표현대로라면 울화통이 터지고 짜증이 난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영어로 "be strong and of good courage"입니다. 여러분은 이것을 어떻게 번역하겠습니까? 한 번 해 보십시오. 이분의 주장은 '강하고 담대하라'로 간결하게 할 수 있는데 어찌하여 말씀에 첨가를 해서 성경을 훼손시켰냐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두렵지 않느냐고 야단입니다. 얼핏 들으면 참으로 지당한 말이라 너무 큰 죄를 져서 죽을 것 같은 심정이 됩니다. 저는 이런 문제가 생기면 반드시 국립국어 연구원에 e-mail을 보내어 상담을 합니다. 2006년도에 성경을 낼 때까지 수백번 이상 이렇게 상담을 해서 우리말 용례를 하나하나 물었습니다.  물론 이런 문제가 생기면 그 이후에도 수백번 이상 물어 보았습니다. 질문을 보낸 뒤 다른 성경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그랬더니 말씀보존학회에서 나온 킹제임스 성경과 이번에 새로 나온 개역개정판이 그분의 지적대로 '강하고 담대하라'로 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분이 그것들을 참조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며칠 후에 답이 왔습니다. 담대하다’는 형용사이므로 명령형 어미와 결합하여 활용하지 않으며, ‘하다’나 '하다'가 붙는 동사 어간 뒤에 붙는 직접 명령의 어미 형태는 ‘-라’가 아니라 ‘-여라’ 입니다. 따라서 문의하신 문장 1, 2에는 ‘마음을 강하고 담대히 하여라.’ 또는 ‘마음을 강하게 하고 담대히 하여라.’와 같이 쓰고, 3에는 ‘마음을 강하게 하고 매우 담대히 하여’와 같이 써야 합니다. 즉 결론은 강하다, 담대하다는 형용사이므로 '강하고 담대하라'로는 쓸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자, 그러면 우리말 답게 표현하려면 어쩔 수 없이 지금처럼 '마음을 강하게 하고 담대히 하라'나 '강한 자가 되고 담대한 자가 되라'로 해야 합니다. 이 경우 둘 다 무언가를 첨가해야만 합니다. 전자에는 '마음을'이 후자에는 '자가'가 2번 첨가되어야 말이 됩니다. 그러나 읽기에 전자가 훨씬 부드러우면서 우리말답지요. 다만 '마음을'이 원래 없었기에 그것을 이탤릭 처리했습니다. 이것은 기존의 개역성경도 동일합니다. 다만 거기서는 '마음을'이 이탤릭 처리되어 있지 않아서 독자들은 그것이 원래 있는 줄로 알 뿐입니다. 이렇게 정직하게 하는 것이 오히려 문제가 되고 엉터리 번역이 좋은 것으로 인식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이런 것을 일일이 이야기할 수 없어서 오늘은 제 심경을 간단히 밝힙니다. 다시 한 번 부탁합니다. 틀린 데가 있다고 생각되면 통보해 주십시오. 여러분의 협조가 성경을 고정시키는 데 대단히 중요합니다. 읽어 봐야 문제가 드러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다만 보낼 때 인격적인 글로 보내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09-05-11 17:37:29 | 관리자
누가복음 20장 26절 And they could not take hold of his words before the people: and they marvelled at his answer; and held their peace(영어 킹제임스 성경). 그들이 백성 앞에서 그분의 말씀들을 능히 책잡지 못하고 그분의 대답에 놀라며 잠잠하니라(킹제임스 흠정역). 어떤 이들은 다른 구절들과 같이 이 구절이 오류라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영어 번역에서 복수로 표현된 ‘words’에 대한 그리스어 단어 ‘rhematos’(단어 혹은 말)가 단수이기 때문이다. 얼핏 보면 그리스어에 대해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이런 불평은 정당한 것 같다. 그 그리스어 단어는 단수이기 때문에 대부분 분명하게 ‘한 말씀’(a word)이라고 단수로 번역될 수 있다. 사실 대부분의 현대 역본들은 그것을 ‘말씀하신 것’(saying)이라고 번역하며 따라서 복수 대신에 단수를 사용한다. 반면에 킹제임스 성경과 뉴킹제임스역(NKJV)은 그 단어를 ‘단어들’(words) 혹은 ‘말씀들’이라고 복수로 번역한다. 먼저 결론을 말하자면 두 가지 표현 모두가 옳다. 그리스어 단어 ‘rhematos’ 혹은 ‘rhema’는 한 단어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어떤 화법이나 음색 또는 절에서 ‘함께 모여진 말들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으며 바로 그것이 이 절에서 사용된 방법이다. 이 구절 앞에 나오는 ‘말씀’(rhematos, 영어 saying)은 하나님과 정부에 대한 우리의 의무에 관하여 그리스도께서 말씀해 주신 매우 유명한 구절이다. 그리스도께서는 “그런즉 카이사르의 것들은 카이사르에게, 하나님의 것들은 하나님께 바치라.”라고 말씀하셨다(눅20:25). 이것은 그들을 놀라게 한 ‘말씀’(saying)이었다. 우리가 누구에게 말을 할 때 그 말(saying)은 한 단어(혹은 말)로 구성되지 않고 몇몇 단어(말)로 구성된다. 말하는 것(saying), 담화(speech), 연설(discourse) 등은 모두 단수이지만 복수의 ‘단어들’(말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 구절에서처럼 단수를 복수로 번역하는 것은 아무 문제가 없다. 모든 관용구처럼 그것들은 문자적으로 번역될 수도 있지만 구어적으로 번역되는 것이 더 낫다. 다음의 예를 생각해 보자. “너와 할 말(a word)이 있다.” 이 관용구에서 단수가 사용되었지만 그것을 글자 그대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대신에 그것은 복수로 이해해야 한다. 누가복음 20장 26절에서 ‘rhematos’도 이런 식으로 사용되었다. 즉 한 절(25절) 전체를 나타내는 단수가 사용되었지만 그것은 실제로 복수로 이해해야 한다. 여전히 이 구절은 번역에 관한 요점을 예증한다. 문자 그대로의 번역은 모든 경우에 엄격하게 ‘단어 대 단어’의 축어적일 필요가 없다. 그렇게 하는 것은 융통성 없고 읽기가 극도로 어려운 번역을 만든다. 독자로 하여금 문자 그대로가 아닌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을 허락하는 원어의 관용구와 표현들이 있을 때 번역에서도 그와 같은 방식으로 그것들을 표현하는 것이 적합하다. 누가복음 20장 26절의 경우 어떤 그리스어 독자도 이것이 그리스도께서 한 개의 단어(말)로 이야기했음을 의미한다고 이해하지 않을 것이다. 독자는 그분께서 몇몇 단어들(25절의 말들)을 말씀하셨으며 그래서 거기의 단수 그리스어가 바로 그분이 하신 연설을 가리킨다고 이해할 것이다. 이런 사례는 신약성경 전체에서 다른 그리스어 단어들과 구절의 경우에도 우리가 늘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것들을 번역의 오류로 생각하고 비난하는 것은 결국 비난하는 사람 자신의 무지와 이해의 부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2009-05-11 17:34:45 | 관리자
마가복음 6장 20절 1611년에 흠정역 성경이 처음으로 출판된 후 그것은 곧바로 불 같은 공격을 받았다. 1612년에 히브리어 학자인 브로톤(Hugh Broughton)은 「우리의 교회들을 위한 최근 번역을 비난하며」라는 제목의 논문을 작성했으며 거기서 그는 새로운 번역에 대해 충고를 준다. 사실 브로톤은 성경 번역자들 중의 한 사람으로 고려되었으나 실제로 뽑히지는 못했다. 그러므로 킹제임스 성경에 대한 그의 비난은 그 위원회에 들지 못한 것에 대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이 소중한 역본이 출간 초기에 사람들의 비난을 받았다는 것을 입증한다. 시간은 그러한 비난 양상을 변화시키지 않았다. 사실상 현대 역본들이 성경을 읽는 대중의 주류 속으로 파고들면서 이 같은 비난의 불길은 다시 일어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비평은 대개 근거가 없으며 종종 킹제임스 성경의 명예를 손상시키고자 하는 그 사람의 능력이 부족함을 보여 준다.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 중의 한 사람인 킬비의 일화는 이 중요한 일에 대한 훌륭한 예를 우리에게 제공한다. 킹제임스 성경 번역 당시 옥스퍼드에서 구약성경 그룹을 이끈 킬비는 어느 날 킹제임스 성경의 한 구절에서 어떤 실수가 있음을 발견했다고 이야기하는 한 젊은 목사의 설교를 듣게 되었다. 킬비가 자기의 모임에 있음을 깨닫지 못한 그 목사는 그 번역의 구절은 맞지 않고 자기의 번역이 옳다고 주장하면서 왜 그들이 그것을 고려하지 않았는지 이상하다고 말했다. 예배 후에 킬비는 그 목사를 한쪽으로 데리고 가서 번역자들이 정말로 13개의 다른 본문들과 더불어 그 목사의 본문도 고려했다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렇지만 히브리어 구문론 때문에 그들이 킹제임스 성경에 있는 본문을 택하였음을 말해 주었다. 히브리어 단어와 그리스어 단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번역될 수 있다. 성경의 언어들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은 많은 구절들이 몇몇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고 있다. 그러므로 번역자들이 실수를 했다고 말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그러한 항의는 비평에 대한 근시적 시각을 반영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본문 언어나 주요 언어에 대한 실력 부족을 나타낼 뿐이다. 또 다른 번역이 가능하다고 말하는 것과 한 번역이 잘못되었다고 진술하는 것은 별개이다. 실제로 많은 경우에 잘못을 저지른 것은 그렇게 비난하는 바로 그 사람이다. For Herod feared John, knowing that he was a just man and an holy, and observed him; and when he heard him, he did many things, and heard him gladly(영어 킹제임스 성경). 이는 헤롯이 요한을 의롭고 거룩한 사람으로 알고 그를 두려워하여 그를 주시하며 또 그의 말을 들을 때에 많은 일을 행하고 그의 말을 달갑게 들었기 때문이더라(킹제임스 흠정역). 어떤 이들은 여기의 ‘observed him’이라는 구절이 부정확하며 따라서 ‘그를 안전하게 보호했다’는 뜻의 ‘kept him safe’로 번역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 문제는 번역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영어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관련된 것이다. 웹스터의 신국제 사전 3판에 따르면, ‘observe’라는 단어는 라틴 단어인 ‘observare’에서 나왔으며 그 의미는 ‘지켜보다’(watch), ‘지키다’(guard), ‘관찰하다’(observe) 등이다. 이것은 ‘observare’를 ‘지켜보다, 경계하다, 주의하다; 지키다; 관찰하다, 유지하다, 복종하다, 따르다; 주목하다, 경의를 표하다’로 정의하는 트로프만의 라틴 사전과 일치한다. 더 나아가 옥스퍼드 영어사전은 ‘observe’를 ‘주목하여 보다; 지켜보다; 돌보아 주다, 돌보다’라고 정의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우리는 ‘observe’라는 단어를 ‘지켜보다, 연구하다, 또는 주의하다’라는 의미로 생각한다. 그렇지만 ‘observe’는 또한 ‘유지하다, 보호하다 또는 보존하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제한 속도를 ‘준수한다’(observe)라고 말한다. 이것은 우리가 도로를 얼마나 빨리 여행하는가를 지켜본다는 의미가 아니다. 우리가 그 지역의 법규에 복종하고 지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사람들은 안식일이나 종교적 휴일을 ‘지킨다’(observe).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그들이 그 날을 지키고 존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변 감시인이 우리의 해안을 ‘지킨다’(observe)고 말할 때 그들은 해안을 보호하고 있는 것이다. ‘관측소’(Observatory)를 세우는 산림 경비대는 자연보호구역을 지키고 보호하려는 목적에서 그렇게 하는 것이다. ‘observe’와 ‘preserve’는 둘 다 어떤 것을 지킨다는 의미이다. 이런 이유에서 또한 동일한 그리스어 단어는 누가복음 2장 19절에서 ‘간직하다’(kept)로 번역되었다. “마리아는 이 모든 것들을 마음속에 간직하고(kept) 그것들을 깊이 생각했다.” 그리스어 단어 ‘suntereo’는 「분석 그리스어 사전」(Analytical Greek Lexicon)에서 ‘엄격하게 지키는 것 또는 해로부터 안전하게 하는 것, 보호하다’로 정의된다. 모울톤과 밀리간은 고대 비문학 작품들에서 이 단어가 다음의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언급한다. “노병은 자신이 오랫동안 군 복무를 했으므로 자기의 경우에 공공 부담에서 면제되는 것이 엄격하게 ‘지켜져야만’(observed)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이 구절에서 ‘observe’나 ‘kept safe’는 모두 적합한 번역이다.
2009-05-11 17:33:02 | 관리자
요한복음 1장 18절 No man hath seen God at any time; the only begotten Son, which is in the bosom of the Father, he hath declared him(영어 킹제임스 성경). 어느 때나 아무도 하나님을 보지 못하였으되 아버지 품속에 계신 독생자께서 그분을 밝히 드러내셨느니라(킹제임스 흠정역). 단지 한 가지 문제만 표면에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기에는 실제로 두 가지 문제가 있다. 과연 적합한 번역은 킹제임스 성경처럼 ‘독생하신 아들’(begotten Son)인가, 아니면 신미국표준역(NASB)과 [한글 개역성경] 등에 있는 것처럼 ‘독생하신 하나님’(begotten God)인가? [역자 주: ‘독생하신’은 ‘유일하게 낳은’을 뜻함.] 이 특별한 문제는 번역의 문제가 아니라 본문의 문제이다. 왜냐하면 이 킹제임스 성경과 현대 역본들의 기초가 되는 그리스어 본문들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여기에 쓰인 그리스어 단어 ‘monogenes’와 관련이 있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킹제임스 성경과 신미국표준역 모두 그것을 ‘독생하신’이라고 정확하게 번역한다. 그렇지만 현재 이 단어를 ‘독특한’, ‘한 종류의’ 또는 단순하게 ‘유일한’으로 이해하려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나는 이 차이점을 먼저 다룰 것이다. 그리스어 구문론에 관한 많은 책자들은 ‘monogenes’를 ‘독생하는’으로 번역해서는 안 된다고 진술한다. 대신에 그들은 이 단어가 ‘독특한’ 또는 ‘유일한’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킹제임스 성경만이 ‘그런 오류’를 범하는 것이 아니다. 신미국표준역, 뉴킹제임스역 그리고 20세기의 몇몇 다른 역본들에도 동일한 단어가 동일하게 번역되었다. 여기에서 문제는 그리스어 - 성경 기록에 사용된 코이네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 모두 - 를 잘못 이해하는 데서 비롯된다. 유일한 아이가 그의 부모의 유일한 자일 경우에 ‘monogenes’라는 단어는 ‘하나’ 또는 ‘유일한’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의 일은 매우 독특하다’는 구절에서처럼 특별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이 단어는 독특함을 뜻하지 않는다. 이 경우 그리스어는 ‘monogenes’가 아니라 ‘monadikos’가 될 수 있다. 우리가 신약성경을 검토해 보면 ‘monogenes’가 8번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지금 다루는 요한복음 1장 18절에서 사용된 것은 계산하지 않았다). 이 모든 경우에 그것은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눅7:12; 8:42; 9:38; 요1:14; 3:16, 18; 히11:17; 요일4:9). 이것이 바로 성령님께서 신약성경에서 그 단어를 사용한 방법이기 때문에 우리는 요한복음 1장 18절을 읽을 때 이 정의를 받아들여야 한다.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이지만(요1:1) 또한 하나님의 ‘독생하신 아들’임을 확증한다. 어느 누구도 이 호칭을 차지할 수 없다. 그리스도를 자신의 개인적인 구원자로 맞이한 사람들은 영적으로 하나님에 의해 태어나며 그래서 그분의 아들이라 불린다(요1:12). 그러나 어떤 사람도 감히 자신이 ‘독생하신 아들’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 이 구절은 그리스도의 처녀 출생과 관련이 있을 뿐 아니라 삼위일체 안에 있는 아들의 영원히 존귀한 위치와도 관련이 있다. 이 관점을 수립하였으므로 우리는 이제 ‘monogenes’라는 단어 다음의 말에 신경을 써야 한다. 그것은 과연 ‘heios’(아들)가 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theos’(하나님)가 되어야 하는가? 요한복음 1장 18절을 포함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그리스어 사본들’인 P66과 P75는 ‘독생하신 하나님’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사본들은 모두 알렉산드리아 계열과 고대 영지주의에서 나온 것이다. 영지주의는 그리스도가 아버지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독생하신 하나님(혹은 신)’이며 아버지 하나님은 ‘누군가가 낳지 않은’ 하나님이라고 불렀다. 영지주의에 의해 오염된 사람들이 요한복음 1장 18절을 인용할 때 그들은 언제나 그것을 ‘독생하신 하나님’이라고 인용한다. 타티안(주후 2세기), 발레티누스(2세기),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주후 215년) 그리고 아리우스(주후 336년)는 그것을 지지한다. 반면에 우리는 영지주의를 반대한 많은 정통 교부들 즉 이레네우스, 터툴리안, 바실, 그레고리, 크리소스톰 등이 요한복음 1장 18절을 ‘독생하신 아들’이라고 인용한 것을 발견한다. 심지어 연합성서공회의 ‘USB-4 그리스어 신약성경’ 본문 위원회에 속한 어떤 사람들도 요한복음 1장 18절의 적합한 본문이 ‘독생하신 아들’임을 인식하고 있다. 그 위원회에서 일한 윅그렌은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그 기록자 요한이 ‘독생하신 하나님’(monogenes theos)이라고 기록했다는 것은 의심스럽다. 그것은 알렉산드리아 전통에서 원시적인 필사의 오류일 것이다.”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어만 교수는 원본의 본문이 ‘독생하신 하나님’(monogenes theos)이 아니라 ‘독생하신 아들’(monogenes heios)이라고 자신이 분명히 믿는다고 언급했다. 어만 교수는 연합성서공회 UBS-4 위원회에서 일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성경의 본문 비평의 분야에서 인정을 받는 학자이다. 따라서 모든 학자들이 이 점에서 원본의 본문에 동의하지는 않는다. 그리스 정교회 교부들의 대다수는 현존하는 대다수의 필기체 사본들처럼 ‘독생하신 아들’(monogenes heios)이라는 본문을 지지한다. 다수의 엉셜 사본(A, C3, K, W, Θ, Ψ, Δ, Π, Ξ 및 063 등)과 구 라틴 성경, 라틴 벌게이트 그리고 구 시리아 역본 등도 또한 ‘독생하신 아들’(monogenes heios)을 지지한다. 그리스어 단어 ‘monogenes’가 부모와 자녀 관계를 나타내며 하나님은 아버지에 대한 관계에서 그리스도를 아들이라고 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코 ‘독생했다’(monogenes) 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독생하신 아들’(monogenes heios)이 옳은 본문이라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2009-05-11 17:30:51 | 관리자
사도행전 19장 2절 He said unto them, Have ye received the Holy Ghost since ye believed? And they said unto him, We have not so much as heard whether there be any Holy Ghost(영어 킹제임스 성경).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가 믿은 이래로 성령님을 받은 적이 있느냐? 하니 그들이 그에게 이르되, 우리는 성령님이 계신다는 말도 들은 적이 없노라, 하거늘(킹제임스 흠정역). 어떤 사람들은 킹제임스 성경이 여기서 ‘since’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실수를 범했다고 주장하면서 그 구절은 “너희가 믿을 때에(when) 성령님을 받았느냐?”로 번역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의 그리스어 구절 ‘Ei pneuma agion elabete pisteusantes’는 문자 그대로 “너희가 믿고 나서 성령을 받았느냐?”(The Ghost Holy did ye receive having believed?)로 번역될 수 있다. 이 구는 그리스어에서 부정 과거이며 과거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우리는 과거 시제인 ‘received’와 ‘believed’라는 단어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그리스어 자체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너희가 믿었을 때’라는 번역이 옳음을 보여 준다. 그렇지만 영어 단어 ‘since’ 또한 과거 시제를 반영하며 그리스어 본문과 관련될 때 옳은 것이다. 유명한 그리스어 문법학자인 다나와 맨티는 부정 과거의 사용 예를 제시한다. 그들은 “부정 과거의 근본적인 중요성은 어떤 행위의 진전과 관련 없이 단순히 행위가 발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라고 기록한다. 그러므로 ‘since’ 또는 ‘when’이라는 단어는 모두 부정 과거가 적합하게 사용되었음을 보여 준다. 한편 다나와 맨티는 ‘최고조에 달하는 부정 과거’(Culminative Aroist)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부정 과거는 어떤 사건을 전체적으로 보기를 원할 때, 그러나 그것으로 인해 현존하는 결과들의 관점으로부터 그것을 보려 할 때 이런 의미로 쓰인다. 여기에서 우리는 대개 노력이나 과정을 의미하는 동사들을 주로 발견하는데 부정 과거는 그러한 노력이나 과정의 결말의 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관점에서 ‘since’라는 단어는 부정 과거 시제와 관련해서 적합하다. ‘Since’는 과거 행동을 나타낼 수 있지만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것을 뜻한다. 래드는 이것을 인식했고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그리스어 분사는 ‘having believed’이며 따라서 그것은 ‘너희가 믿은 이래로’(흠정역)나 ‘너희가 믿은 때에’(RSV)로 번역될 수 있다.” 그러므로 두 개의 번역은 모두 올바른 것이며 어느 것도 오류를 범하고 있지 않다.
2009-05-11 17:29:07 | 관리자
베드로전서 3장 1절 Likewise, ye wives, be in subjection to your own husbands; that, if any obey not word, they also may without the word be won by the conversation of the wives(영어 킹제임스 성경). 아내들아, 이와 같이 너희도 너희 남편에게 복종하라. 이것은 누가 말씀에 순종하지 아니하여도 그들 또한 말 없이 아내의 행실을 통해 얻고자 함이니(킹제임스 흠정역) 몇몇 사람들은 다른 구절들에서처럼 이 구절의 ‘conversation’이라는 단어 때문에 이의를 제기한다. 그들은 오늘날 ‘conversation’의 의미는 ‘말하다’이지만 실제로 베드로전서 3장 1절은 ‘말하다’가 아니라 생활양식이나 행동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은 그리스어 단어 ‘anastrephw’(또는 anastrophe)를 신약성경에서 15번 ‘conversation’이라고 번역한다(고후1:12; 갈1:13; 엡2:3; 4:22; 딤전4:12; 히13:7; 약3:13; 벧전1:15; 18; 2:12; 3:1, 2, 16; 벧후2:7; 3:11). 질이 좋은 대다수의 영어 사전들은 ‘conversation’이라는 단어가 ‘이야기하다’라는 뜻 말고 부가적으로 ‘개인의 삶의 양식이나 특성’을 의미한다고 언급할 것이다. 영어 단어 ‘conversation’은 공적인 삶에서 사회적 행실과 관련된 라틴어 ‘conversatio’에서 유래하였으며 흠정역 성경의 문맥에서 이 단어는 정확하게 그 용례에 맞게 사용되었다. 그리스어 단어 ‘anastrephw’는 또한 킹제임스 성경 본문에서 ‘행동하다’(딤전3:15)와 ‘살다’(히13:18; 벧후2:18)로 번역되는데 그것은 그 단어가 누군가가 다른 사람들 앞에서 어떻게 행동하며 그들의 삶을 살아가는지와 상관이 있음을 보여 준다. 심지어 오늘날 우리는 말과 행실에서 변화된 사람들(롬15:17-19)을 ‘회심자’(converts)라고 말한다. 누군가는 ‘conversation’이라는 단어가 고어라고 비난할지도 모르지만 그것을 오역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렇게 비난하는 사람의 지식에 한계가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2009-05-11 17:27:18 | 관리자
히브리서 10장 23절 Let us hold fast the profession of our faith without wavering; (for he is faithful that promised;)(영어 킹제임스 성경) (또 약속하신 분께서 신실하시니) 우리의 믿음의 고백을 흔들림 없이 굳게 잡고(킹제임스 흠정역 성경).   믿음에 대한 일반적인 그리스어 단어는 ‘pistis’이다. 그렇지만 여기에서 사용된 단어 ‘elpidos’(이것은 ‘elpis’라는 단어의 한 형태임)는 주로 ‘소망’이라고 번역된다. [역자 주: 개역성경은 이것을 소망이라고 번역함.] 그렇지만 이 사실은 결코 ‘elpidos’나 ‘elpis’를 믿음으로 번역한 것이 오역임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실상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은 자기들이 엄격하게 단어를 세는 데 얽매이지 않았다고 말하며 때때로 문맥이 동일한 그리스어 단어를 달리 번역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영어 단어 믿음과 소망은 둘 다 ‘언급된 말이 그대로 이루어질 것에 대한 신뢰와 보증’이라는 생각을 전달한다. 소망이라는 단어는 확신, 믿음, 의지, 신뢰, 신념 및 보증을 의미한다. 성경 기록 안에는 믿음과 소망이 서로 분명히 연결되었음이 나타난다. “이제 믿음은 바라는(소망하는) 것들의 실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히11:1). [역자 주: 여기의 ‘바라는’은 영어로 ‘hoped’로서 ‘소망하는’의 뜻이다.] 또 성경 기록은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또 우리가 그분을 통해 지금 서 있는 이 은혜 안에 믿음으로 들어감을 얻었으며 하나님의 영광의 소망을 기뻐하느니라”(롬5:2). 아브라함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말씀은 다음과 같다. “그가 바랄 수 없는 중에 바라면서 믿었으니 이것은, 네 씨가 이와 같으리라, 하신 말씀대로 그가 많은 민족들의 조상이 되려 함이라. 그가 백 세쯤 되었을 때에도 믿음이 약해지지 아니하여 이제는 죽은 자기 몸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또 사라의 태가 죽은 것도 고려하지 아니하였으며”(롬4:18-19). [역자 주: 여기의 ‘바라다’도 영어로 ‘hope’로서 ‘소망하다’의 뜻이다.] 우리는 소망에 의해 구원을 받았으며(롬8:24) 또 믿음을 통해 은혜로 구원받았다(엡2:8). 우리는 우리의 믿음과 소망을 하나님 안에 두어야 한다는 말씀을 듣는다(벧전1:21). 히브리서 10장의 문맥은 우리가 믿음의 충만한 확신을 가질 것(22절)을 말하고 우리가 신뢰하는 그분이 ‘신실한 분’(23절) 즉 ‘믿음이 충만한 분’(faithful)이라고 말한다. 이 구절에서 그리스어 단어 ‘elpis’의 맥락은 영어 단어 믿음과 소망과 신뢰로 표현될 수 있다. 키텔은 그리스어 단어 ‘elpis’(소망)를 정의하면서 믿음과 소망의 비교를 언급한다. 심지어 그는 그리스어 ‘70인역’에서 믿음과 소망에 대한 두 그리스어 단어가 서로 상관이 있다고 언급한다. 믿음과 신뢰와 소망은 호환성 있게 사용된다. ‘elpis’(소망)와 관련된 단어에는 ‘elpizo’가 있다. 그것은 누가복음 6장 34절과 로마서 8장 25절 같은 곳에서 ‘소망하다(바라다)’로 번역된다. 그렇지만 같은 ‘elpizo’는 마태복음 12장 21절과 로마서 15장 24절 같은 곳에서 대부분 ‘신뢰하다’ 혹은 ‘바라다’로 번역된다. ‘pistis’(믿음)와 관련된 단어에는 ‘pistio’가 있다. 이 단어는 마태복음 8장 13절과 요한복음 3장 16절 같은 곳에서 믿음으로 번역된다. 그렇지만 디모데전서 1장 11절에서 그것은 (그것의 또 다른 형태는 신뢰로 번역된 데살로니가전서 2장 4절에 나타난다) 또한 신뢰로 번역된다. 따라서 히브리서 10장과 11장의 문맥은 그 단어를 일반적인 소망이 아니라 이런 종류의 ‘신뢰를 뜻하는 믿음’으로 번역하는 것을 허락한다. 그러므로 킹제임스 성경은 아무 문제가 없다.
2009-05-11 17:25:53 | 관리자
디도서 2장 13절 Looking for that blessed hope, and the glorious appearing of the great God and our Saviour Jesus Christ;(영어 킹제임스 성경) 저 복된 소망과 위대하신 하나님 곧 우리의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스런 나타나심을 기다리게 하셨느니라(킹제임스 흠정역 성경). NIV와 같은 현대 역본들은 이것을 ‘복된 소망과 우리의 위대하신 하나님과 구원자 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스런 나타나심’이라고 표현한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킹제임스 성경이 이 구절을 잘못 번역하였으며 그리스어 문법의 ‘Granville Sharpe Rule’이라는 규칙을 위반했다고 말한다. 기본적으로 이 규칙은 두 개의 명사 즉 하나님과 구원자가 같은 분인 예수 그리스도를 나타낸다고 말한다. 이 문법적 규칙에 대한 그들의 이해는 올바르다. 그러나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이 이것을 위반했다는 진술은 옳지 않다. 문제는 킹제임스 성경에 있지 않고 오히려 영어 문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 있다. 영어에서 두 개의 명사가 ‘and our’라는 구에 의해 분리될 때 그 명사들이 두 존재를 나타내는지 혹은 동일한 존재의 서로 다른 두 측면을 나타내는지는 문맥이 결정한다. 다음 문장을 생각해 보라. “그는 위대한 영웅이자 우리의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이다.”(He was a great hero and our first President, George Washington.) 이 진술은 두 명의 사람을 나타내지 않고 동일 인물의 두 측면을 나타낸다. 워싱턴은 어느 누구의 기준에 의해서도 위대한 영웅이었지만 모든 사람의 대통령은 아니었다. 그는 단지 우리의 대통령이었다. 동일한 것이 디도서 2장 13절에서도 나타난다. 그리스도가 다시 오실 때 그분은 왕들의 왕, 주들의 주(계19:16)로 오신다. 그분은 위대한 하나님으로 오신다(딛2:13; 계19:17). 그러므로 그분은 모든 사람들의 왕, 모든 사람들의 주, 모든 것 위의 위대한 하나님으로 오실 것이다. 그러나 그분은 모든 사람의 구원자는 아니다. 그리스도는 그분 안에 믿음을 둔 사람들만의 구원자이다. 그리스도께서 오실 때 그분은 동일한 존재의 두 측면인 위대한 하나님으로 오시며 또한 우리의 구원자로 오신다. 이것은 성경 기록의 다른 곳에서도 입증된다. 신약성경에서 다음 두 개의 구절을 생각해 보기 바란다. 두 경우 모두 두 개의 명사는 ‘and our’라는 구에 의해서 분리된다. 그렇지만 이 두 개의 명사가 우리 아버지 하나님이라는 동일한 인물을 나타낸다는 것이 분명하다. 갈라디아서 1장 4절은 “그분께서 하나님 곧 우리 아버지의 뜻에 따라 이 악한 현 세상에서 우리를 건지시려고 우리의 죄들로 인하여 자신을 주셨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데살로니가전서 1장 3절은 “하나님 곧 우리 아버지의 눈앞에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너희의 믿음의 행위와 사랑의 수고와 소망의 인내를 끊임없이 기억하기 때문이니”라고 기록하고 있다. 두 개의 구절에서 우리는 하나님과 우리 아버지가 동일한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단어들은 모든 사람에게 영원한 하나님이 또한 우리의 아버지라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and our’에 의해 분리된다. 그것으로 인해서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가 개인적인 것이 된다. 디도서 2장 13절에 대한 킹제임스 성경은 이런 면에서 일관성을 지닌다. 디도서에서 우리는 ‘soteros emon’(우리의 구원자)라는 그리스어 구를 여섯 번 발견한다(1:3, 4; 2:10, 13; 3:4, 6). 각각에 대해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은 그것을 우리의 구원자라고 일관성 있게 번역한다. 이런 최종 분석을 통해 우리는 킹제임스 성경이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선언에서뿐만 아니라 그리스어에 대한 사용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알게 된다.
2009-05-11 17:24:23 | 관리자
고린도후서 2장 17절 For we are not as many, which corrupt the word of God; but as of sincerity, but as of God, in the sight of God speak we in Christ(영어 킹제임스 성경).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부패시키는 많은 사람들 같지 아니하고 오직 진실함에서 난 자같이, 하나님에게서 난 자같이 하나님의 눈앞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말하노라(킹제임스 흠정역). 현대 역본들의 대다수는 하나님의 말씀을 ‘부패시킨다’ 대신에 ‘매매하다’나 ‘이익을 얻기 위해 팔다’라고 표현한다. 여기의 그리스어 ‘kapeleuontes’는 행상인이나 소매상인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그것은 ‘사기로 파는 부정한 사람’을 의미한다. 바우어는 그 단어가 ‘불순하게 하다’를 의미하는 것이 되었다고 진술한다. 쎄이어는 “행상인이 이익을 얻기 위해 자기들의 상품을 불순하게 하는 버릇이 있는 것처럼… [그 단어는] 또한 ‘오염시키는’ 혹은 ‘불순하게 하는’과 동의어로 사용된다.”라고 말한다. 이처럼 키텔은 “‘kapeleuontes’가 또한 ‘첨가됨으로 그 단어를 변경시킨다’(kapelos, 순수한 와인을 구입하고 이후에 그것에 물을 혼합한다)라는 두 번째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진술한다. 이것은 유대인들의 거짓 복음서를 가리키는 것이다.” 초기 교부들은 이 구절이 하나님의 말씀을 부패시키는 사람들을 나타낸다고 이해했다. 아타나시우스(주후 373년)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그러므로 그것들이 너에게 매우 싫은 것이 되게 하라. 왜냐하면 그것들은 진리의 말씀을 부패시켰기 때문이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주후 390년)는 ‘부패된’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고후2:17과 사1:22 그리고 시54:15를 언급한다. 누가 이러한 일들을 감당하겠는가? 우리는 사람들의 마음을 기쁘게 하기 위해 진리의 말씀을 부패시키고 그 와인을 물과 혼합하는 많은 사람들과 같지 않다. 그것은 우리의 이익을 위해 불순물을 첨가하여 우리의 교리를 일반적이고 값싼 것으로, 싱싱하지 못하고 맛이 없는 것으로 만들어버린다. 두 개의 번역은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그 단어의 역사적 사용과 문맥적 사용의 관점에서 ‘부패시키는’이라는 단어가 훨씬 더 그럴 듯하다. 여하튼 그것이 번역의 오류가 아님은 명백하다. 유명한 기독교 변증 학자요 저술가인 화이트는 이 구절에 관하여 흥미로운 주장을 한다. 그는 “만약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이 오늘날 살아 있었다면 그들은 ‘매매하다’의 ‘peddle’이 ‘부패시키다’의 ‘corrupt’보다 더 적합하다고 인정할 것이며 그래서 ‘peddle’을 채택할 것이다.”라고 기록했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 중의 한 사람이었던 보이스의 언급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고린도후서 2장 17절에 대해 언급하면서 보이스 박사는 “동일 문서. 17절. [소매상인, 속임수를 사용하는, 부패시키는]의 뜻을 가진 ‘kapeleuontes’는 즉 [불순하게 하는]의 뜻을 가진 ‘notheuonetes’와 비슷하다. 또 ‘kapelos’는 [와인을 부패시키고 혼합시키는 것]의 뜻을 가진 ‘apo tou kallunein ton pelon’에서 유래되었다.”라고 기록했다. 분명히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은 이 단어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었다.
2009-05-11 17:22:39 | 관리자
베드로후서 1장 1절 Simon Peter; a servavt and an apostle of Jesus Christ, to them that have obtained like precious faith with us through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our Saviour Jesus Christ(영어 킹제임스 성경)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며 사도인 시몬 베드로는 하나님과 우리의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통해 우리와 더불어 동일하게 보배로운 믿음을 얻은 자들에게 편지하노니(킹제임스 흠정역 성경) 흠정역 성경은 베드로후서 1장 11절의 번역과 베드로후서 1장 11절의 번역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비난을 받아 왔다. 후자의 구절은 다음과 같다. “또 이렇게 주께서 우리 주 곧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의 영존하는 왕국에 들어감을 너희에게 풍성히 베푸시리라”(벧후1:11). 그러한 비난을 하면서 어떤 사람들은 베드로후서 1장 1절과 1장 11절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그리스어 원문을 제공한다. 1:1: tou theou emon kai soteros Iesou Christou 1:11: tou kuriou emon kai soteros Iesou Christou 두 구절의 유일한 차이점은 한 단어에서 발견된다. 즉 1절의 ‘theou’(하나님) 대신에 11절은 ‘kuriou’(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리스어에 따라 일치를 유지하기 위해 1절은 ‘하나님과 우리의 구원자’가 아니라 ‘우리 하나님 곧 구원자’로 번역되어야 한다고 그들은 주장한다. 킹제임스 성경이 이렇게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구절은 오역이라는 것이 그런 주장의 핵심이다. 그들은 요점을 잘 제시하였으며 만약 킹제임스 성경의 기초가 되는 그리스어 본문이 제시된 것처럼 기록되어 있다면 그 말이 맞을 것이다. 그렇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킹제임스 성경 번역자들이 사용한 그리스어 본문은 1589년과 1598년의 베자의 본문이었다. 그곳에서 우리는 이것을 오역이라고 부른 사람들이 제공하지 않는 ‘emon’(우리의)이라는 단어를 베드로후서 1장 1절에서 추가로 발견한다. 그러면 이제 베자의 본문을 먼저 제시하고 그들의 본문을 아래와 같이 비교해서 제시할 수 있다. Tou theou emon kai soteros emon Iesou Christou(베자의 본문) Tou theou emon kai soteros emon Christou 베자 본문의 번역은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에 있는 것이 옳으며 부가적인 ‘emon’이 베드로후서 1장 1절에는 나타나지만 베드로후서 1장 11절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일관성이 있다. 의문점은 왜 베자가 다른 그리스어 본문에서 발견되지 않는 ‘emon’을 베드로후서 1장 1절에 부가적으로 제공했는가 하는 것이다. 메츠거는 베자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주석들과 자기 자신의 라틴 역본 그리고 제롬의 라틴 벌게이트와 함께 이 판들 [1565, 1582, 1589년 및 1598년의 베자 본문]은 베자 자신이 모은 몇몇 그리스어 사본들과 로버트 스테파누스의 아들인 헨리 스테파누스가 모은 사본들로부터 유래된 본문 정보를 포함한다. 로버트 스테파누스의 그리스어 본문은 부가적으로 그 단어를 포함하지 않았고 베자의 그리스어 본문은 포함하므로 베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던 다양한 사본들(또는 헨리 스테파누스가 소유한 사본들)에 기초하여 베드로후서 1장 1절에 ‘emon’을 첨가했다고 가정하는 것은 논리적이다. 16세기에 그런 사람들이 사용한 사본들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어떤 것들은 의심할 여지없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진다. 여하튼 이 구절에서 여분의 ‘emon’이 포함된 것은 그것의 보존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그것은 킹제임스 성경에서 나타나는 오역이 아니다. 우리는 이런 예들을 통해 사람들이 무의미한 것들을 가지고 흠정역 성경을 얼마나 멸시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들은 흠정역 성경의 이것도 저것도 좋아하지 않으며 다만 이 문학의 걸작품에서 약점만을 발견하려 한다. 어떤 책에서 자기 생각에 결함이라고 느끼는 것을 발견하는 것은 쉽다. 특히 누군가가 어떤 표현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더욱 그렇다. 그렇지만 더 철저한 조사를 해 보면 대부분의 차이점은 일반적으로 단어나 구를 어떻게 이해하는가와 관련이 있으며 번역 그 자체의 정확성에 문제가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번역된 단어를 헐뜯는 것은 본래의 그 단어를 헐뜯는 것이나 다름없다. 잘못된 번역이라고 생각한 것을 교정하려 할 때 우리는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서 그 일을 수행해야 한다. 실제로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은 잘못되었다고 심판을 하는 그 사람이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2009-05-11 17:20:40 | 관리자
마태복음 6장 13절 And lead us not into temptation, but deliver us from evil: For thine is the kingdom, and the power, and the glory, for ever. Amen(영어 킹제임스 성경). 우리를 인도하사 시험에 들지 말게 하옵시고 다만 악에서 우리를 건지시옵소서. 왕국과 권능과 영광이 영원토록 아버지의 것이옵나이다. 아멘(킹제임스 흠정역). 의심의 초점이 되는 이 구절은 일반적으로 주기도문으로 알려진 구절의 결론이다. 원래 이 주기도문은 “왕국과 권능과 영광이 영원토록 아버지의 것이옵나이다. 아멘.”이라는 송영과 함께 끝난다. 이 구절은 대다수의 그리스어 사본과 그리스어 공인 본문 그리고 다수 본문에서 발견되며 초기 영어 역본들과 킹제임스 성경 그리고 뉴킹제임스 역본(NKJV)에서도 나타난다. 그러나 이 부분은 비평 본문이나 대부분의 현재 역본들의 주요 본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역자 주: 혹은 대부분의 한글 성경에서처럼 괄호를 치고 각주에서 ‘이 부분은 더 좋은 사본에는 없음’이라고 되어 있다.] 어떤 사람들은 마태복음의 주기도문이 누가복음 11장 2-4절에서 나타나는 것과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사실 그 구절에서는 동일한 송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사복음서에서 다양한 구절을 조화시키는 데 취미를 가진 서기관들이 두 개의 주기도문을 맞추기 위해 그렇게 했다고 제안한다. 두 개의 구절은 내용에서 유사하지만 그것들이 동일한 기도라는 것은 사실 의심스럽다. 예수님께서 자신의 유명한 산상수훈을 설교하실 때 쓰신 마태복음의 그 구절은 많은 대중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누가복음의 구절은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를 물었던 주님의 제자들에게만 특별하게 준 것이다. 유사하다는 것이 동일함을 의미하지는 않음을 기억해야 한다. 이 기도 혹은 이 형태의 기도가 한 번 이상 나타나는 것을 보는 것은 사실 그리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 이제 다음과 같은 질문이 떠오른다. “마태복음에 있는 기도가 원래 전통 본문에서 발견된 종결 구절을 포함했는가?” 그리스어 엉셜 사본 중에서 그 부분은 W(5세기). L(8세기), 0233(8세기), K(9세기), Δ(9세기), Θ(9세기), 그리고 Π(10세기)에서 발견된다. 또한 28, 33, 565, 700, 892, 1009, 1010, 1071, 1079, 1195, 1216, 1230, 1241, 1242, 1365, 1546, 1646, 2174와 같은 그리스어 소문자 사본들의 대다수에서도 이것이 발견된다(9세기부터 12세기까지에 속한). 마태복음에 있는 이 기도의 뒷부분은 또한 현존하는 모든 그리스어 성구집의 대다수에서 발견된다. 그러므로 그리스어 사본들의 증거는 마태복음에 있는 기도의 끝 부분이 성경에 포함되어야 함을 보이면서 찬성의 결론을 내린다. 마태복음의 그 부분은 또한 구 라틴 사본들과 구 시리아 역본 및 몇몇 콥트 역본과 같은 고대 역본들에서도 발견된다. 시리아 페시타(주후 2세기/3세기)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And bring us not into temptation, but deliver us from evil: For thine is the kingdom, and the power, and the glory, for ever and ever: Amen.”(우리를 인도하사 시험에 들지 말게 하옵시고 다만 악에서 우리를 건지시옵소서. 왕국과 권능과 영광이 영원토록 아버지의 것이옵나이다. 아멘.” 이것은 킹제임스 성경과 전통 본문과 동일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본문은 지리적으로 여러 곳에서 나온 역본들의 지지를 받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으로도 아주 오래 되었다는 증거도 가지고 있다. 마태복음의 이 부분은 또한 교부들의 지지를 받는다. 4세기의 저명한 정통파 교부인 크리소스톰은 이 구절을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 위에 계신 왕을 기억하게 하고 그분이 모든 것보다 권능이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왜냐하면 왕국과 권능과 영광이 영원토록 아버지의 것이기 때문이다.” 마태복음 6장을 포함하는 모든 그리스어 사본들보다 먼저 나온 증거는 보통 ‘12사도의 가르침’으로 알려진 ‘디다케’(Didache)이다. 이 고대 교리문답서는 2세기 초기 즉 주후 100년이 조금 지났을 때의 주기도문의 형태를 포함한다. 위선으로 금식하지 말라. 그들은 한 주의 둘째 날과 다섯째 날 금식하지만 너희는 넷째 날과 예비일(금요일)에 금식하라. 위선으로 기도하지 말고 다만 주님께서 자신의 복음서에서 가르쳐 준 것처럼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여겨지게 하옵시며 아버지의 왕국이 임하옵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 우리에게 우리의 일용할 빵을 주옵시고 우리가 우리에게 빚진 자들을 용서하는 것같이 우리의 빚을 용서하옵시며 우리를 인도하사 시험에 들지 말게 하옵시고 다만 악에서 우리를 건지시옵소서. 왕국과 권능과 영광이 영원토록 아버지의 것이옵나이다. 그러므로 매일 이렇게 세 번 기도하라. 마지막으로 고대 파피루스에 대한 연구에서 밀리간은 마태복음 6장 13절의 기도와 부합하는 6세기의 기도를 포함시켰다. 이 파피루스는 매우 낡았지만 그럼에도 그것은 의심을 받고 있는 이 구절을 분명히 포함하고 있다. 이 구절의 전통 본문에 대한 본문의 증거는 아주 오래되었고 또 대단히 많으므로 우리는 우리의 영어 역본 안에 반드시 그것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2009-05-11 17:18:22 | 관리자
마가복음 1장 2절 As it is written in the prophets, Behold, I send my messenger before thy face, which shall prepare thy way before thee(영어 킹제임스 성경). 대언자들의 글에(in the prophets) 기록된바, 보라, 내가 내 사자를 네 얼굴 앞에 보내노니 그가 네 앞에서 네 길을 예비하리라(킹제임스 흠정역). 전통 본문은 여기에서 “대언자들의 글에 기록된 바”라고 기록하고 바로 그 다음에 말라기 3장 1절과 이사야서 40장 3절을 인용한다. 한편 다른 본문은 말라기와 이사야서를 인용하기 전에 “선지자(대언자) 이사야의 글에 기록된 바”라고 기록한다. 여기서도 전통 본문의 구절은 상당한 지지를 받는다. 전통 본문의 구절은 많은 그리스어 엉셜 사본(A, K, P, W, Π), 대다수의 그리스어 소문자 사본(28, 1009, 1010, 1079, 1195, 1216, 1230, 1242, 1252, 1344, 1365, 1546, 1646, 2148) 그리고 대다수의 그리스어 성구집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4세기 이전의 그리스어 사본들이 이 구절을 지지한다. 게다가 우리는 또한 시리아의 하클레안 역본(주후 616년)과 아르메니아 역본(주후 4세기/5세기) 그리고 6세기의 이디오피아 역본에서도 동일한 구절을 발견한다. 전통 본문의 구절은 또한 이레네우스의 라틴 기록(주후 202년)과 포티우스(주후 895년) 그리고 테오필랙트(주후 1077년) 같은 많은 교부들의 글로부터 지지를 받는다. 문맥적으로 볼 때 비평 본문에서 발견된 구절에는 문제가 있다. 그 구절은 분명히 대언자 말라기(3:1)와 대언자 이사야(40:3) 모두를 인용한다. 그러므로 그것을 “선지자(대언자) 이사야의 글에 기록된 바”라고 기록한 것은 맞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들은 이사야가 큰 대언자였으므로 그가 말라기에 비교해서 우위를 차지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점을 예증하기 위해 학자들은 종종 마태복음 27장 9절에 주의를 돌리게 한다. 그들은 이 구절이 실제로 예레미야서에서 인용한 것이 아니라 스가랴서 11장 12절에서 인용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예레미야는 큰 대언자이므로 스가랴에 비교해서 우위를 갖는다고 그들은 주장한다. 그렇지만 이 점은 쉽게 논박될 수 있다. 마태복음 27장 9절은 마가복음처럼 “기록된바”(As it is written)라고 말하지 않는다. 대신에 마태복음의 본문은 “예레미야를 통해 말씀하신 것이 성취되었다.”고 진술한다. 성경 기록의 저자인 하나님은 누가 무엇을 기록하고 누가 무엇을 말했는지 알고 계신다. 간단히 말해 스가랴가 그 구절을 기록했다는 것은 결코 예레미야가 그것에 대해 말하지 않았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스가랴는 이전의 대언자들이 말한 것에 주목하라고 이스라엘에 경고했다(슥7:7). 고대 유대인들은 “예레미야의 영이 스가랴 안에 있었다.”고 말했다. 스가랴가 받았던 많은 것은 실제로 그가 주님으로부터 받은 것이고 또 스가랴 이전의 대언자인 예레미야로부터 받은 것이다. 어떤 이들은 가능한 실수로 인지된 것이 실제로는 추측에서 나왔음을 수정하기 위해 어떤 필사자가 마가복음 1장 2절에서 ‘대언자 이사야’ 대신 ‘대언자들’이라고 변경해서 그 뒤의 두 개의 인용 구절과 일치하게 만들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역자 주: 이 경우 그들은 최초의 영감 받은 원본에 실수가 있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래서 선량한 사람이 그것을 보고 고쳤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반대편에 속한 사람들은 유대인들의 구약성경 대언자들에 대해 매우 친근하지 않은 이집트의 어떤 필사자가 거기에 나오는 이사야서의 인용 구절을 보고는 자기 생각에 더 명료한 구절이 되도록 그런 변화를 일으켰다고 쉽게 제안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양쪽 모두 각자의 입장에 대해 본문상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점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 또한 우리는 킬패트릭이 언급한 것처럼 이런 본문 이문들의 대부분의 유형이 2세기 전에 사본들 안에 도입되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한 본문은 다른 본문과 본문 면에서 볼 때 거의 같다. 다만 차이점은 문맥적인 것이다. 두 명의 대언자를 인용할 때는 ‘대언자들’이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따라서 전통 본문의 구절은 문자적으로 합당하며 문맥적으로도 정확하다.
2009-05-11 17:15:50 | 관리자
누가복음 2장 22절 And when the days of her purification according to the law of Moses were accomplished, they brought him to Jerusalem, to present him to the Lord;(영어 킹제임스 성경) 또 모세의 율법에 따라 그녀를 정결하게 하는 날들을 채우매 그들이 아이를 데리고 예루살렘에 가니(킹제임스 흠정역) 여기에서 이문은 작지만 차이점은 깊이가 있다. 흠정역 성경과 공인 본문(베자의 판과 엘제비어 판)은 ‘그녀를 정결하게 하는 일’(katharismou autes)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한편 현대 역본들과 비평 본문은 ‘그들을 정결하게 하는 일’(katharismou auton)이라고 기록한다. 문맥적으로 여기의 본문은 킹제임스 성경에 반영된 것처럼 되어야만 한다. 레위기에 적힌 율법에 따라 여인은 출산 후 정결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며 그래서 그녀를 정결하게 하는 일이 필요했다. 레위기 12장 2-4절에 있는 구절은 다음과 같다.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여인이 씨를 수태하여 사내아이를 낳으면 이레 동안 부정하리니 곧 분리하는 날들과 같이 그녀가 자기의 연약함으로 인해 부정할 것이며 여덟째 날에는 그 아이의 포피 살을 베어 할례를 행할 것이요, 그 뒤에 그 여인은 삼십삼 일 동안 자기를 정결하게 하는 피 안에 머무를 것이며 자기를 정결하게 하는 날들을 채울 때까지는 거룩한 것을 만지지도 말고 성소에 들어가지도 말지니라(킹제임스 흠정역). 인용문은 아주 명백하다. 이것은 ‘그녀를 정결하게 하는 것’이지 어머니와 아들 모두를 정결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흠정역 성경과 그리스어 공인 본문은 레위기의 율법에 동의한다. 이 점을 상쇄시키기 위해 어떤 사람들은 여기 나오는 ‘그들’이라는 단어가 마리아와 요셉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제안한다. 그 논점은 요셉과 마리아가 16절과 22절 하반절에 나왔기 때문에 여기에 나오는 ‘그들’은 결혼한 부부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과 관련된 명확한 교리상의 문제는 레위기 12장에 있는 모세의 율법 하에서 여자는 출산 후 정결하게 하는 일을 필요로 했지만 남편은 필요로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문맥에 따른 최고의 본문은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에 동의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구약성경의 율법과 누가복음에서 나타나는 행동 모두를 지지하기 때문이다. 현재 공인 본문에서 발견된 이 구절을 지지하는 그리스어 사본들이 아주 형편없이 적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본문은 그리스어 소문자 사본 76과 몇 개의 다른 소문자 사본들 안에서만 발견된다. 그리스어 사본들 안에는 부가적인 본문 이문이 있다. 본문 학자들 사이에서 크게 인정을 받는 코덱스 사본 D05(6세기)는 ‘autou’(그것) 라는 본문을 가지고 있다. 공인 본문의 단어인 ‘autns’(그녀)가 선호되지만 이 두 개의 단어는 소유격 단수로서 비평 본문의 ‘auton’(그들)처럼 복수가 아니다. 게다가 우리는 2174와 D05 사본을 지지하는 시내 시리아 역본(Sinaitic Syriac)과 사히드어 콥트 역본(Sahidic Coptic)을 가지고 있다. ‘그녀를 정결하게 하는 일’이라는 본문은 라틴 증거들 사이에서 본문상의 큰 지지를 받고 있다. 대다수의 라틴 사본들은 ‘et postquam impleti sunt dies purgationis eius secundum legem mosi’ 즉 ‘그리고 모세의 율법에 따라 그녀를 정결하게 하는 날들 이후에’라고 기록되어 있다. 라틴 단어 ‘eius’(또는 ejus)는 ‘그녀’(her)를 의미하며 여성 소유격 단수이므로 ‘그녀의’라는 뜻이다. 이 부분을 ‘그들을 정결하게 하는 것’ 즉 ‘of them’으로 번역하려 하였다면 라틴 본문들은 그것 대신 ‘eorum’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현존하는 라틴 사본들의 연대와 수를 고려할 때 우리는 그 본문이 연대가 오래 되었다는 사실과 구체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본문이 위조된 ‘모조 마태복음’(아마 3세기 것으로 추정됨)에서도 지지를 받는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라틴어로 기록된 이 문서는 우리로 하여금 누가복음 2장 22절에서 말한 ‘그 정결하게 하는 일’이 마리아를 가리킴을 알도록 한다. ‘모조 마태복음’은 다음과 같다. “이제 모세의 법률에 따라 마리아를 정결하게 한 날들이 성취된 이후에 요셉은 주님의 성전으로 아이를 데리고 갔다”(15:1). 흠정역 성경 번역자들은 이 구절에 관한 본문상의 차이점을 잘 인식했다. 제네바 성경과 비숍 성경은 ‘그녀를 정결하게 하는 날들’이라고 기록했지만 틴데일의 신약성경과 그레이트 성경은 ‘그들을 정결하게 하는 때’라고 기록했다. 우리는 킹제임스 성경이 주로 베자(Theodore Beza)의 그리스어 신약성경(1589년 판과 1598년 판)에 기초를 두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베자는 자기의 주석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그리스어) 코덱스 사본들의 대다수는 ‘그들의’라 기록하고 마찬가지로 오리겐도 그렇게 기록하며 불행하게도 에라스무스도 그렇게 기록한다. 그렇지만 그들은 실제로 율법이 어머니의 정결례에 대해 무엇이라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그리스어로 된 오래된 판들은 선호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것들이 성경 기록의 진실을 왜곡했으며 어떤 면에서 마리아의 순결함에 이미지를 경시했다. 베자의 주석을 주의 깊게 읽어 보면 ‘그녀의’라는 본문에 대해 베자가 현존하는 그리스어 사본들을 연구한 것에 기초하여 어떤 본문상의 증거를 가지고 있었음을 드러낸다. 게다가 베자는 이것이 모세의 율법과 일치하는 본문이라는 점을 인식했다. 베자의 그리스어 번역과 라틴 벌게이트 사이에 놓여 있는 베자 자신의 라틴어 번역에서 그는 ‘dies purationis Mariae’(마리아를 정결하게 하는 날)라고 그 구절을 명확하게 표현했다. 이것은 마리아라는 구체적인 이름을 넣었다는 점에서 ‘모조 마태복음’과 일치한다.
2009-05-11 17:14:20 | 관리자
마가복음 16장 9-20절 이 12구절은 보통 ‘마가복음의 긴 결말’이라고 불린다. 많은 본문 비평가들은 마가복음의 ‘긴 결말’의 확실성을 의심하며 마가복음의 그 부분이 2세기에 첨가되었다고 믿는다. 그래서 대부분의 현대 역본에서 마가의 ‘긴 결말’은 확실성에 대한 의구심과 함께 보통 각주와 더불어 괄호로 표시된다. 많은 본문 학자들은 마가의 본문이 갑자기 8절 이후에 끝난다고 믿는다. 이 ‘긴 결말’ 말고 ‘짧은 결말’이라는 것도 있는데 그들은 이 ‘짧은 결말’도 2세기에 도입되었다고 생각한다. ‘짧은 결말’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그들은 베드로와 그와 함께 있던 모든 사람들에게 그들이 정말로 담대했다고 짤막하게 보고했다. 이 후에 예수님은 친히 그들을 통해 동쪽부터 서쪽까지 신성하고 영원한 구원을 보내셨다. 아멘. 대부분의 학자들은 마가복음의 원래 결말이 손실되었다고 믿는다. 만일 이것이 진실이라면 성경 기록의 말씀들(단어들)이 영원토록 보존된다는 개념은 영원히 사라지고 만다. 주님의 말씀들은 동시에 보존되고 손실될 수 없다. 그렇지만 본문 학자들의 대다수는 비록 자기들의 ‘긴 결말’에 대해 의심하지만 그래도 그 부분을 마가복음의 끝에 포함시킬 것을 요구한다. 메츠거는 ‘더 짧은 본문을 선호한다’(Brevior lectio potior)는 현대 본문 비평가들의 격언을 버리고 비록 자기가 확실히 그 12구절이 진짜라고 간주하지는 않더라도 ‘긴 결말’을 지지한다. 메츠거는 그 부분이 기독교계 전체에게 전통적으로 중요했기 때문에 그것이 합법적으로 마가복음에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실 그 구절은 알렉산드리아 본문, 소문자 사본 2386, 시내 시리아 역본 및 몇몇 다른 역본들을 제외한 거의 모든 사본들에 포함되어 있다. 그렇지만 그 12구절은 5세기와 9세기 사이의 것으로 인정되는 그리스어 엉셜 사본들의 대부분(A, C, D05, K, Ξ, Δ, Θ 및 Π)에 있다. 그 12구절은 또한 더 나중의 것인 그리스어 소문자 사본들(137, 138, 1110, 1210, 1215, 1216, 1217, 1221, 그리고 1582와 같은)에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그 12구절은 콥트 역본과 다른 초기 역본들뿐만 아니라 구 라틴 본문의 대다수에서 발견되는 본문이다. 마지막으로 그 12구절은 저스틴(주후 165년), 터툴리안(주후 220년), 히폴리투스(주후 235년), 암브로스(주후 397년) 그리고 어거스틴(주후 430년)과 같은 많은 초기 교부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용되었다. 주후 177년에 이레네우스는 이단에 대항하는 글을 썼다. 그 글에서 그는 마가복음 16장 19절을 인용했는데 이것은 마가의 긴 결말이 그 당시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으며 적어도 이레네우스가 그것을 정경으로 생각했음을 보여 준다. 또한 마가복음서의 결론에서 마가는 말한다. “이렇게 주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신 뒤에 하늘로 올려져서 영접을 받으시고 하나님의 오른편에 앉으시니라.” 이것은 대언자들이 대언한 것을 확증한다. “주께서 내 주께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들을 네 발받침으로 삼을 때까지 너는 내 오른편에 앉아 있으라, 하셨도다.” 따라서 하나님과 아버지는 진실로 한 분이시며 동일하시다. 대언자들이 선포한 그분은 진실한 복음에 의해 전해졌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경배하고 전심으로 사랑하는 그분은 하늘과 땅을 만드시고 그 안의 모든 만물을 만드신 분이시다(3:10:5). 여기서 차이점은 대단히 중요하다. 만일 우리가 이 12구절이 확실하지 않다고 결론 내린다면 우리는 마가복음의 원래 결론에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져야 한다. 복음서가 이곳에서 그렇게 갑자기 끝난다는 것은 논리적이지 않다. 어떤 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복음서가 결코 끝이 나지 않았다는 것도 성경의 영감에 의문을 불러일으키므로 결코 논리적이지 않다. 자유주의 학자든 보수주의 학자든 간에 대부분의 본문 학자들이 내린 결론 즉 원래의 결말이 손실되었다는 것은 성경 보존 교리를 확실히 부인하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영감 받은 성경 기록의 한 구절이 성경의 이 부분으로부터 손실될 수 있다고 말한다면 다른 구절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을 어떻게 금할 수 있겠는가? 본문의 어떤 차이나 모든 차이를 언급하는 것은 분명히 학문적 연구의 영역 안에 있다. 그러나 일단 우리가 이 구절이나 저 구절이 소실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연다면 우리는 지금 하나님의 성경적인 약속들보다 사람들의 이해를 더 신뢰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본문의 증거를 받아들이고 성경 보존의 약속을 붙잡는 것이 확실히 더 낫다.
2009-05-11 17:12:42 | 관리자
사도행전 9장 5-6절 5 And he said, Who art thou, Lord? And the Lord said, I am Jesus whom thou persecutest: it is hard for thee to kick against the pricks. 6 And he trembling and astonished said, Lord, what wilt thou have me to do? And the Lord said unto him, Arise, and go into the city, and it shall be told thee what thou must do(영어 킹제임스 성경). 5 그가 이르되, 주여, 누구시니이까? 하니 주께서 이르시되, 나는 네가 핍박하는 예수라. 가시 채를 걷어차기가 네게 고생이라, 하시거늘 6 그가 떨며 심히 놀라 이르되, 주여, 내가 무엇을 하기 원하시나이까? 하매 주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일어나 도시로 들어가라. 그러면 네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을 듣게 되리라, 하시니(킹제임스 흠정역). [역자 주: 개역성경에는 이 구절들이 들어 있으나 웨스트코트와 호르트의 그리스어 본문에는 삭제되어 있음.] “가시 채를 걷어차기가 네게 고생이라.”는 5절의 내용은 구 라틴 사본들과 약간의 벌게이트 사본들에 들어 있다. 이 구절은 또한 페시타와 그리스어 코덱스 사본 E, 그리스어 사본 431에 있지만 지금처럼 5절에 있지 않고 4절에 있다. 6절 말씀 즉 “그가 떨고 심히 놀라 이르되, 주여, 내가 무엇을 하기 원하시나이까? 하매 주께서 그에게 이르시되.”는 구 라틴 성경, 라틴 벌게이트 그리고 몇몇 고대 시리아 역본과 콥트 역본에 있다. 그렇지만 이 구절들은 대다수의 그리스어 사본들에서 발견되지 않으며 또한 비평 본문이나 다수 본문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에 이 구절들은 공인 본문에 포함된다. 표면적으로 볼 때 본문상의 증거는 약하게 보인다. 그러면 왜 우리가 이 시점에서 대다수의 그리스어 증거들을 물리치고 공인 본문을 수용해야만 하는가? 그 이유는 이 구절들이 다른 언어들에서 보존되어 있고 내적 증거 역시 사실상 바울의 개종 당시에 그리스도께서 이 말씀들을 하신 것이 확실함을 보여 주므로 이 구절들은 확실한 것이다. 사도행전 9장은 바울의 회심이 이루어진 것을 보여 주는 유일한 성경 기록이 아니다. 사도행전 22장 10절과 26장 14절에서 우리는 사도 자신의 증언을 볼 수 있다. 거기에서는 모든 그리스어 본문에서 문제의 그 구절들이 나타난다. 사도행전 22장 10절 (킹제임스 흠정역) 내가 이르되, 주여, 내가 무엇을 하여야 하리이까? 하매 주께서 내게 이르시되, 일어나 다마스커스로 들어가라. 그러면 네가 하도록 정해 놓은 모든 일을 거기서 듣게 되리라, 하시니 사도행전 26장 14절 (킹제임스 흠정역) 우리가 다 땅에 쓰러지니 내게 말씀하시는 한 음성이 있어 내가 들으매 히브리말로 이르시되, 사울아, 사울아, 어찌하여 네가 나를 핍박하느냐? 가시 채를 걷어차기가 네게 고생이라, 하시니 사도 바울은 자신의 회심을 이야기하면서 문제의 그 말씀들을 분명히 인용했다. 성령님께서 사도행전 9장 5-6절에 이 말씀들이 포함되도록 영감을 주셨음이 확실하다. 우리는 이 말씀들이 그 사건이 원래 발생했을 때 바울에게 주어졌다고 결론을 내려야만 한다. 그 말씀들이 대부분의 그리스어 사본들의 사도행전 9장 6절에 보존되어 있지 않지만 그것들은 다른 역본들(그루지아, 슬라브, 이디오피아 역본 등)뿐만 아니라 라틴 사본들(ar, c, h, l, p, ph, t)에도 보존되어져 있다. 모든 본문 비평가들 중에 가장 위대한 본문 비평가는 성령님이시다. 성령님은 그 말씀을 사도행전 22장 10절과 26장 14절에 포함시킴으로써 그것들의 확실성에 대한 증거를 낳으셨다. 이와 유사한 예가 마태복음 19장 17절에서도 좀 더 강한 본문의 증거와 함께 언급된다. 킹제임스 성경은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그분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찌하여 나를 선하다 하느냐? 한 분 곧 하나님 외에는 선한 이가 없느니라. 다만 네가 생명에 들어가려거든 명령들을 지키라, 하시니” 그런데 현대 역본들의 본문은 “네가 어찌하여 나를 선하다 하느냐?”를 “네가 어찌하여 선한 일에 대하여 내게 묻느냐?”라고 표현한다. 또한 그리스도의 답변인 “한 분 곧 하나님 외에는 선한 이가 없느니라”를 “선한 이는 오직 한 분이니라”라고 표현한다. [역자 주: 대부분의 한글 성경들도 이와 같다.] 킹제임스 성경이 보여 주는 이 구절의 말씀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훌륭하게 확립한다. 만약 오직 하나님만이 선하시며 그리스도가 선한 이로 불린다면 그리스도는 하나님이 되어야만 한다. 전통 본문에 제시된 것처럼 킹제임스 성경 본문에 대한 그리스어 사본들의 지지는 상당하다. 엉셜 사본들 중에 이 구절은 C와 W(5세기), K와 Δ(9세기) 그리고 몇몇 다른 곳에서도 발견된다. 이 구절은 대다수의 그리스어 소문자 사본과 성구집의 본문이다. 또한 초기 구 라틴 성경, 구 시리아 역본 그리고 콥트 역본 및 다른 초기 역본들의 본문이다. 이 본문의 증거는 사도행전 9장 5-6절의 증거보다 훨씬 더 강하다. 또 사도행전과 마찬가지로 이 구절에는 원래 본문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부가적인 참조 자료가 있다. 다시 성령님께서는 이 사건이 인용된 두 개의 다른 곳을 우리에게 제공하면서 이 본문 문제를 정리하신다. 이 두 경우 모두 논쟁이 되는 마태복음 구절을 지지하는 구절에 본문의 이문이 없다. 마가복음 10장 18절 (킹제임스 흠정역)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찌하여 나를 선하다 하느냐? 한 분 곧 하나님 외에는 선한 이가 없느니라. 누가복음 18장 19절 (킹제임스 흠정역)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찌하여 나를 선하다 하느냐? 한 분 곧 하나님 외에는 선한 이가 없느니라. 위의 두 구절 중 어떤 구절에서도 주님은 “네가 어찌하여 선한 일에 대하여 내게 묻느냐?”고 말씀하지 않으셨다. 또 두 구절 모두에서 우리는 ‘하나님’이라는 명사를 발견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마태복음 19장 17절의 본문이 옳은지 그른지 사람들에게 물을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성령님께서 옳은 독본인 부가적인 구절들에서 그것을 명확하게 보여 주셨기 때문이다. 동일한 원리가 사도행전 9장 5-6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시 한 번 하나님은 자신의 말씀들에 대해 친히 증언하신다.
2009-05-11 17:01:12 | 관리자
사도행전 8장 37절 And Philip said, If thou believest with all thine heart, thou mayest. And he answered and said, I believe that Jesus Christ is the Son of God(영어 킹제임스 성경). 빌립이 이르되, 만일 그대가 마음을 다하여 믿으면 받을 수 있느니라, 하니 내시가 응답하여 이르되,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내가 믿노라, 하니라(킹제임스 흠정역). 여기에 나오는 이 신실하고 사랑스런 아프리카 이디오피아 내시의 증언은 비평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다. 어떤 사람들은 이 구절이 원본이 아닌데 그 이유는 이 구절이 단지 소수의 후대 사본들에서만 발견되며 에라스무스가 라틴 벌게이트로부터 그리스어 본문에 삽입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 구절이 제롬의 라틴 벌게이트에 나타난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 구절은 또한 다른 많은 구 라틴 사본들(l, m, e, r, ar, ph 및 gig 등)에서도 나타난다. 이 구절은 또한 그리스어 코덱스 사본 E(주후 8세기)와 몇몇 그리스어 사본들(36, 88, 97, 103, 104, 242, 257, 307, 322, 323, 385, 429, 453, 464, 467, 610, 629, 630, 913, 945, 1522, 1678, 1739, 1765, 1877, 1891 및 다른 사본들)에서도 발견된다. 이런 본문들 중에서도 정확한 단어들의 차이점이 있지만 이 구절이 어떻게 다른 사본들로부터 삭제되었는지에 대한 증언의 본질은 여전히 남아 있다. 게다가 이레네우스(주후 202년), 키프리안(주후 258년), 암브로시아스터(주후 4세기), 파시안(주후 392년), 암브로스(주후 397년), 어거스틴(주후 430년) 그리고 테오필랙트(주후 1077년) 등은 모두 사도행전 8장 37절을 인용했다. 본문 학자들 앞에 놓인 자연적인 질문은 바로 이렇다. 만약 그 본문이 진짜라면 무슨 이유로 어떤 서기관은 그것을 삭제하기를 원했는가? 사도행전에 대한 주석에서 알렉산더는 가능한 대답을 제공한다. 3세기말까지는 기독교 개종자들의 침례를 연기하는 것이 일반적인 습관이 되었는데 이것은 그들이 진실로 그리스도와 그분의 구속을 이해했는지 그리고 그 당시에 널리 퍼진 다양한 이단 신념들 중의 하나를 가지고 있지는 않는지를 확실히 알기 위한 것이었다. 이런 이유로 침례가 회심 이후에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된다고 믿는 어떤 서기관이 본문으로부터 이 구절을 삭제했을 것이다. 사실 이것은 그 뒤를 이은 많은 그리스어 사본들에서 이 구절이 삭제된 이유를 설명할지도 모른다. 확실히 이런 추측은 이 본문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설명만큼 가능하다. [역자 주: 신약성경을 보면(행16:14-15, 33 등) 모든 경우에 어떤 사람이 회심하고 믿음의 고백을 하면 그 즉시 침례를 주게 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의 보존 때문에 이 본문은 구 라틴 사본들에서 뿐만 아니라 몇몇 그리스어 사본들에도 남아 있다. 명백히 그 본문은 어떤 학자들이 제안한 것처럼 6세기보다 더 오래된 것이다. 이레네우스는 “믿음을 가진 내시 자신이 즉각적으로 침례받기를 요청했고 ‘나는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 믿는다’라고 말했다.”고 언급했다. 마찬가지로 키프리안은 자신의 글에서 그 구절의 상반절을 인용한다. “사도행전에서, ‘자, 여기 물이 있으니 내가 침례 받는 것을 방해할 것이 무엇인가? 그러자 빌립이 말했다. 만약 그대가 전심으로 믿는다면 그렇게 할 수 있다.’” 사도행전 8장 37절을 명확하게 인용하는 이들의 진술문은 2세기 말과 3세기 초반에 나타난다. 우리는 이 구절이 현존하는 그리스어 사본들이 필사되기 전부터 이미 오래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것은 그 자체가 그것의 확실성과 성경 보존을 입증하는 것이다. [역자 주: 아마도 말도 못하는 아이에게 믿음의 고백도 없이 유아세례를 주려면 이와 같은 구절이 치명적이었으므로 유아세례를 주는 단체나 개인이 이 구절을 삭제했을 가능성도 있다.]
2009-05-11 16:57:00 | 관리자
요한복음 7장 53절~8장 11절 이 구절은 보통 ‘간음하다가 잡힌 여인의 기사’(Pericope De Adultera)로 표시된다. 여기의 12구절들은 D05, G, H, K, M, U 및 Г와 같은 많은 엉셜 사본에 포함되어 있다. 또 소문자 사본들 중에서 28, 700, 892, 1009, 1010, 1071, 1079, 1195, 1216, 1344, 1365, 1546, 1646, 2148 및 2174 안에도 들어 있다. 대부분의 그리스어 사본들은 이 구절들을 포함한다. 이 구절들은 또한 보하이르어 콥트 역본(Bohairic Coptic), 시리아 팔레스타인 역본(Syriac Palestinian) 그리고 이디오피아 역본과 같은 초기 역본들 안에도 들어 있는데 이것들은 다 주후 2세기부터 6세기까지의 것으로 인정된다. 이 구절들은 분명히 구 라틴 사본들의 대다수와 제롬의 라틴 벌게이트의 본문이다. 또 이 구절들은 교부인 디다스칼리아(주후 3세기), 암브로시아스터(주후 4세기), 암브로스(주후 4세기), 사도들의 헌장(Apostolic Constitutions, 주후 380년경에 시리아의 안디옥에서 나온 예배 의식의 가장 큰 본문 수집물), 제롬(주후 420년) 그리고 어거스틴(주후 430년)의 지지를 받는다. 대부분의 본문 학자들은 이 구절들을 반대하는 증거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생각하며 그래서 이 본문이 원본에 있었음을 거부한다. 그럼에도 이 구절들은 여전히 대다수의 현대 번역본들의 본문 안에 자리를 잡고 있다. 거절 이유가 각주로 한정된 요한복음 5장 4절과는 달리 이 12구절은 본문에는 들어 있지만 주로 괄호로(마가복음 16장 9-20절과 같이) 구분된다. 만약 이 12구절을 반대하는 증거가 매우 압도적이고 이 본문이 원본의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면 이 모든 구절은 비평 본문과 현대 역본들의 다른 짧은 구절들처럼 본문 자체에서 제거되어야 함이 마땅하지 않는가? 만약 누군가가 작은 부분들을 제거한다면 그것들과 비교해서 본문의 증거가 동일하거나 더 큰 경우 더 많은 부분 역시 일관성 있게 제거해야 함이 마땅하지 않는가? 그들이 본문에서 이 12구절을 제거하지 않은 것은 아마도 수용의 문제일 것이다. 성경을 읽는 대부분의 독자들이 이 구절들을 소중하게 여기기 때문에 그들은 도저히 본문으로부터 이것들을 제거할 수 없었을 것이다. 반면에 공인 본문과 다수 본문의 지지자들은 이 구절의 확실성을 건전하게 지켜왔다. 지금까지 알려진 그리스어 사본들의 대부분은 이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 구절들은 명확하게 전통 본문의 일부이다. 게다가 내적 증거는 이 구절들이 원본에 있었음을 증명한다. 만약 우리가 그 구절들을 제거한다면 본문에 대해 매우 엉뚱한 비약을 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제 우리는 “왜 이 구절들이 어떤 사본에서 삭제된 적이 있었을까?”라는 질문에 대해 답해야 한다. 우리는 교회의 역사 안에서 그 해답을 발견한다. 어거스틴은 이 구절의 확실성에 관한 놀라운 진술을 한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않으리니 가서 다시는 죄를 짓지 말라.”는 그리스도의 간음 죄 용서 구절을 인용한 후에 어거스틴은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그렇지만 이 같은 용서의 행위는 어떤 나약한 신자들이나 불신자들과 기독교 신앙의 적들의 마음에 충격을 준다. (내 생각에) 자기 아내에게 [간음] 죄로 인한 형벌을 주지 않은 뒤에 그들은 자기들이 소유한 그 복음서 사본으로부터 우리 주님이 간음을 행한 그 여인을 용서하셨다는 부분을 떼어 냈다. “가서 다시는 죄를 짓지 말라.”고 주께서 말씀하신 것은 사실 죄를 지으라고 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어거스틴은 이 12구절이 성경에 포함되면 결국 여인들이 간음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 어떤 서기관들이 이 구절들을 삭제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이 논점은 논리적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본성과도 일치한다. 그런 논리는 이 구절이 영감은 고사하고 구전 전통의 일부로 첨가되었다는 현대 학자들의 관점과 거의 비슷하다.
2009-05-11 15:25:52 | 관리자
요한복음 5장 4절 For an angel went down at a certain season into the pool, and troubled the water: whosoever then first after the troubling of the water stepped in was made whole of whatsoever disease he had(영어 킹제임스 성경). 이는 어떤 때에 천사가 연못에 내려와 물을 휘젓는데 물을 휘저은 뒤에 누구든지 먼저 들어가는 자는 무슨 병에 걸렸든지 온전하게 되었기 때문이더라(킹제임스 흠정역). [역자 주: 개역성경과 개역개정판은 여기에 괄호를 하고 각주에서 ‘어떤 사본에는 이 괄호 내 구절이 없음’이라고 말한다.] 이 구절은 대부분의 현대 영어 역본들에서 주석이 달려 있으며,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베데스다의 치유하는 연못에 관한 전통적인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어떤 서기관이 이 부분을 첨가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이 본문을 전통이라는 꾸며낸 이야기로 여기는 것은 억측이다. 이 구절은 진짜로 여겨야만 한다. 이것은 그리스어 공인 본문, 대다수의 현존하는 모든 그리스어 사본, 모든 초기 영어 역본, 흠정역 성경 및 뉴킹제임스역에서 나타난다. 만약 우리가 사본들의 넓은 지역적 분포에 기초한 구절을 받아들여야 한다면 이 구절이 지역적 분포에서 가장 많은 사본을 가지고 있고 또 오래된 본문의 지지를 받고 있으므로 마땅히 이 구절을 수용해야만 한다. 이것은 코덱스 사본 A, E, F, G, H, I, K, L, Δ, Θ, Π와 C의 세 번째 교정본에서 발견된다. 이 구절을 압도적으로 지지하는 그리스어 소문자 사본들은 28, 565, 700, 892, 1009, 1010, 1071, 1195, 1216, 1230, 1241, 1242, 1253, 1344, 1365, 1546, 1646 및 2148 등이다. 이것은 또한 구 라틴 사본들과 초기 역본들의 대다수에 포함된다. 이 구절은 콥트 사본 헌팅턴(Huntington) 17로부터 편집된 구 콥트 역본에서도 발견되며 다음과 같이 영어로 번역된다. 그 연못에 시간마다 내려와서 물을 움직이게 하는 한 천사가 있었다. 그 물이 움직인 후 처음으로 들어간 자는 누구든지 그가 어떤 병에 걸렸든지 나을 것이다. 이것은 구 시리아 역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페시타로부터 머독이 번역한 것은 다음과 같다. 때때로 한 천사가 침례탕으로 내려갔고 그 물을 움직였다. 그 물이 움직인 후에 그 안에 먼저 들어간 자는 그가 어떤 병을 가지고 있든지 상관없이 치료를 받았다. 이 구절은 또한 교부들도 인용했으며 주후 2세기의 ‘디아테싸론’에서도 발견된다. 터툴리안(주후 200년)은 “천사가 간섭하여 베데스다 연못을 휘젓는 습관이 있었다.”라고 언급한다. 이 구절은 또한 암부로스(주후 397년), 디디무스(주후 398년), 크리소스톰 (407년) 그리고 키릴(주후 444년)에 의해 인용되었는데 이 사실은 그리스 교부들과 라틴 교부들 모두가 이 본문을 정경으로 수용했음을 증명한다.
2009-05-11 15:24:11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