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성경공부

마태복음

  • 성경공부
  • 성경Q/A
  • 마태복음

청년이 무엇으로 자기 길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에 따라 자기 길을 조심함으로 하리이다.
(시편 119편 9절)

  • 마태복음 27장 59절 세마포가 아니라 아마포가 맞다조회수 : 9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년 5월 15일 14시 42분 31초
  • ‘아마’와 ‘세마’는 다르다 – 성경 번역은 원어에 충실해야 한다

     

    우리는 종종 성경 번역에서 우리 문화에 맞는 단어를 끼워 넣는 실수를 저지릅니다. 하지만 성경은 하나님께서 정하신 역사와 지역, 언어 속에서 주어진 말씀입니다. 그렇다면, 그 단어 하나하나도 그 당시의 맥락과 환경에 맞게 정확히 번역되어야 마땅합니다.


    오늘은 많은 성경 독자들이 혼동하는 **‘아마’(亞麻)와 ‘세마’(細麻)**의 차이를 통해 왜 성경 번역에서 식물 이름조차도 원어에 충실해야 하는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성경의 ‘아마’는 린넨(Linen)이다

    성경에서 ‘아마’(Heb. pishteh, 그리스어 linon)는 린넨, 즉 아마 식물의 섬유로 만든 천을 의미합니다.


    영어 KJV 성경: "fine linen" / "linen cloth"


    용도: 제사장의 옷, 성막의 휘장, 의로운 행실의 상징 (출28:39, 계19:8)


    아마(Linum usitatissimum)의 특징:


    유대 지역과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등 고대 중동에서 널리 재배


    키 1m 내외, 푸른 자주색 꽃, 줄기 섬유로 린넨을 짐


    성경에서 고운 옷, 의식용 옷감으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됨


    “또 너는 고운 아마로 속옷을 만들어 아론과 그의 아들들에게 입히며...” (출28:42, 흠정역)


    2. 그러나 ‘세마’는 고운 ‘삼’ 또는 ‘마’로 오해되기 쉽다

    한국어 성경에서는 종종 ‘세마포’ 또는 ‘고운 세마포’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여기서 ‘세마’를 **‘마’(삼, Hemp)나 ‘삼베’**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성경에서 말하는 ‘세마포’는 실제로 ‘fine linen’, 즉 고운 아마 천을 가리킵니다. 성경 시대의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삼(마, Hemp)**이 재배되지 않았습니다.


    ‘마’(삼)의 정의 (한국어 사전 기준):


    삼과 식물, 중앙아시아 원산


    주로 동아시아에서 재배 (중국, 한국 등)


    줄기에서 섬유를 얻어 삼베를 짜는 용도


    반면 성경 시대의 이스라엘은:


    삼을 재배하지 않았고


    아마를 사용해 린넨 옷감을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즉, **성경에서 ‘세마’는 마(Hemp)가 아니라 아마(Linen)**입니다. 그런데도 번역자가 문화적 친숙성이나 언어 감각에 따라 ‘마’로 번역하면 성경 본래의 맥락이 심각하게 왜곡됩니다.


    3. 왜 이런 번역 실수가 심각한가?

    역사적/지리적 정확성 결여


    성경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역사적 배경에서 주어진 말씀입니다. 한국에서 자라는 작물과 구분해야 합니다.


    교리적 의미 왜곡


    고운 아마 옷은 성경에서 의로움을 상징합니다 (계19:8).


    만약 ‘세마’를 삼베나 마로 오역하면, 구원의 상징을 잘못 이해하게 됩니다.


    성경 해석에 혼란을 준다


    번역이 불일치하면, 같은 헬라어 linon이 어떤 곳에서는 ‘아마’, 어떤 곳에서는 ‘세마’, 또 다른 곳에서는 ‘삼’으로 바뀌며 일관된 해석이 어려워집니다.


    4. 동일 단어는 동일하게 번역해야 한다

    이것은 성경 번역의 기본 원칙입니다.

    같은 원어는 같은 번역어로 유지해야 하고, 당시 유대 지역에서 실제로 존재하던 사물이나 작물의 이름을 다른 문화권의 것으로 바꾸면 안 됩니다.


    ▶ pishteh 또는 linon = 아마 (Linen)

     '세마포', '마', '삼베'와 혼용 NO


    결론: 성경은 문화적 번역이 아니라 정확한 전달이 중요하다

    하나님께서 성경을 특정한 시공간 속에 기록하신 것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성경의 말씀은 유대인의 문화, 역사, 언어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우리는 그 말씀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 문화에 접근하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말씀을 더하거나 빼지 말라” 하신 경고는 단어 하나도 소홀히 번역하지 말라는 경고이기도 합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텔레그램으로 보내기
    • 밴드 보내기
    • 블로그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