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기르는 익숙한 짐승. 성경에는 이 짐승이 많이 언급되며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유명 인사들이 나귀를 타고 다녔다. 드보라는 흰 나귀를 탄 자들을 그 땅의 귀족이라고 말했다(삿5:10; 비교 삿10:4; 12:14). 특별히 동방의 암나귀는 타고 다니는 데 아주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나귀는 성경에서 발람의 사건 속에서 유일하게 말을 한 짐승으로 기록되어 있다(민22:21-31).
2009-04-22 02:04:17 | 관리자
소를 모는 데 쓰는 뾰족한 막대기(삿3:31). 이것은 뾰족한 끝 부분에 쇠붙이를 댄 것으로 길이가 2미터 정도 되었다.
소가 발로 이것을 차면 찰수록 자기만 아프지 다른 대안이 없었다. 그래서 그리스, 라틴, 히브리말에서 이것은 합법적인 권위를 거부하는 사람 혹은 하나님의 권능을 거부하는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되곤 하였다(행9:5; 26:14; 참조 욥15:25-26).
이것에 상응하는 그리스말은 ‘따끔하게 찌르다’를 뜻하며 그래서 그 말은 종종 가시, 바늘, 쏘는 것 등을 가리키곤 한다(고전15:55-56).
2009-04-22 02:00:13 | 관리자
가시나 찔레 등으로 번역된 원어는 매우 많으며 이것은 기후가 건조한 팔레스타인 지방의 도처에서 이런 식물이 거의
사계절을 통해 늘 자람을 보여 준다. 가시나무는 특히 농사짓는 데 큰 장애물이며(창3:18; 마13:7, 22; 히6:8) 농사꾼의 인내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므로 쟁기질을 하기 전에 먼저 이것들을 태워야 한다.
이것들은 종종 연료로 쓰였으며(시58:9; 전7:6; 사33:12) 울타리로도 쓰였다(호2:6).
한편 가시는 악을 행하는 자(삼하23:6; 미7:4), 주님의 백성 이스라엘을 대적하는 원수(민33:55; 겔28:24), 저주(창3:18), 황폐함(잠24:31; 사9:18; 10:17) 등의 상징으로 쓰였다. 그리스도를 처형할 때 사람들은 가시로 된 관을 그분께 씌워서 그분을 조롱하고 그분께 고통을 주었으며(마27:29) 사도 바울의 육체의 가시는 사탄의 사자가 가져온 육체적 질병이었고 이로 인해 그는 사역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갈4:13-14; 고후10:10).
2009-04-22 01:59:49 | 관리자
포로로 잡혀간 유대인들의 거주지 중 하나. 이곳은 흑해 근처의 지역으로 추정된다(스8:17).
2009-04-22 01:59:20 | 관리자
가슴은 양팔 사이의 몸의 앞부분으로 심장과 폐를 포함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성경에서 이 말은 품(시35:13), 젖가슴 등으로 쓰인다(겔23:3, 8). 가슴은 사람의 감정이 있는 부위로 생각되었고 그래서
사람들은 특히 슬플 때 가슴을 쳤다(나2:7; 눅2:35). 헌물로 드린 짐승의 가슴은 제사장에게 주어졌다(출29:26-28; 레7:31).
품 참조.
2009-04-22 01:58:53 | 관리자
미스라임의 후손. 갑도림 참조.
2009-04-22 01:57:54 | 관리자
성경에 등장하는 주요 천사. 구약시대에 그는 대언자 다니엘에게 가서 그의 환상에 대하여 말해 주었다(단8:16; 9:21).
신약시대에 그는 사가랴에게는 침례자 요한의 출생에 대하여(눅1:11-20) 그리고 6개월 뒤에 마리아에게는 예수 그리스도의 출생에 대하여 알려 주었다(눅1:26-38).
2009-04-22 01:57:31 | 관리자
I. 갈릴리 북부 지역의 이름. 솔로몬이 성전을 짓는 일에 두로 왕 히람이 큰 도움을 주었으므로 그가 20개의 도시가 있는 이 지역을 그에게 주었으나 그가 그곳을 기뻐하지 않고 이렇게 이름을 지었다(왕상9:13).
II. 아셀의 도시(수19:27).
2009-04-22 01:57:01 | 관리자
드로아에 살던 바울의 친구(딤후4:13).
2009-04-22 01:56:16 | 관리자
그리스도 당시 갈릴리 지역의 으뜸 도시. 신약시대의 땅 지도 참조(39).
이곳은 갈릴리 바다의 북서쪽에 놓였으며 요르단에서 8킬로미터 떨어져 있었고 다마스커스에서 지중해로 가는 길에 위치했으며 바빌론 포로 생활 이전에는 언급되지 않았다. 공생애 기간에 그리스도께서는 많은 시간을 여기서 보냈으며 베드로와 안드레 형제도 여기 머물렀다. 그리스도께서는 이곳의 회당에서 가르치고 여러 가지 놀라운 일을 행하셨으며(마17:24; 막1:21-35; 요6:17, 59) 그래서 이곳은 ‘그분의 도시’라는 이름을 받기도 했다(마4:12-16; 9:1; 막2:1).
이 도시의 이런 명예에도 불구하고 거기 거주민들의 대부분은 하늘에까지 높여졌으나 불신과 회개하지 않음을 통해 지옥에 떨어지게 되었다(마11:20-24).
2009-04-22 01:55:42 | 관리자
고대 동방 사람들은 가방에 일정액의 돈을 넣고 봉인하곤 했다(신25:13; 왕하12:10; 눅12:33).
주님의 제자들은 가난한 자들을 위해 공동으로 하나의 돈 가방을 사용했다(요12:6).
2009-04-22 01:55:11 | 관리자
팔레스타인 지역에는 5월부터 9월까지 비가 내리지 않으므로 자연적으로 가뭄이 든다. 이 여름의 몇 달 동안에는 땅이 말라서 갈라지고 강이나 시내는 다 말라붙으며 식물은 밤의 이슬이나 인공 관개에 의해 겨우 생명을 유지했다.
그래서 비가 와야 할 계절에 비가 충분히 오지 않으면 그로 인한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컸고 따라서 가뭄은 하나님의 극심한 심판 중 하나로 여겨졌다(욥24:19; 렘50:38; 욜1:10-20; 학1:11).
성경에는 가뭄과 관련된 두려움이 여기저기 잘 나타나 있다(신28:23; 시32:4; 102:4). 유대인들의 달력 선도 참조(67).
2009-04-22 01:54:45 | 관리자
그리스도 이후에 모습을 드러낸 바리새파 사람.
그는 율법 박사이고 산헤드린 공회의 회원으로 유대인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산헤드린 앞에서 사도들을 위해 중재를 해서 그들이 불명예스럽게 죽는 것을 막았는데 이것으로 보아 그는 지혜와 관용을 겸비한 사람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그가 복음에 순종했다는 기록은 없다(행5:33-40).
사도 바울은 자기가 그의 제자 중 하나였음을 큰 명예로 생각했으며(행22:3) 그로부터 유대인들의 율법에 관한 열심과 공정함, 관용, 정직함 등을 배웠음에 틀림이 없다.
2009-04-22 01:54:18 | 관리자
황새목 가마우지과 조류의 총칭.
이 새는 무리 생활을 하며 몸길이는 80센티미터 정도이고 검은색을 띠고 있다(레11:17; 사34:11).
2009-04-22 01:53:39 | 관리자
아스드롯 가르나임 참조(창14:5).
2009-04-22 01:53:13 | 관리자
예레미야가 예루살렘의 회복에 관해 예언하면서 언급한 산(렘31:39).
2009-04-22 01:52:21 | 관리자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점령한 이후에 유대인들 가운데 남은 자들의 지도자들이었던 요나단과 요하난의 아버지
(왕하25:23; 렘40:8).
2009-04-22 01:51:52 | 관리자
풀의 일종. 이것은 팔레스타인의 모든 지역에서 밀과 함께 자라는 식물이다. 이것은 자라면서 밀과 거의 비슷해서 분간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그대로 두었다가 수확해서 타작할 때 밀과 분리해야 한다.
왜냐하면 밀과 함께 이것을 섞어서 빵을 만들어 먹으면 현기증이나 구토를 일으키기 때문이다(마13:25-30).
2009-04-22 01:51:10 | 관리자
스불론의 도시. 대언자 요나는 이곳에서 출생했다(왕하14:25).
2009-04-22 01:50:40 | 관리자
욥바 근처에 있던 단 지파의 도시(수19:45).
이곳은 후에 고핫 자손 가족인 레위 사람들에게 주어졌다(수21:24; 대상6:69).
2009-04-22 01:50:05 |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