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검색
  • 전체게시글 검색

검색결과

  • 사이트검색
검색결과 약12141개
드디어 뉴질랜드 성경 신자 모임을 재개하시는군요. 여러 모로 어려운 가운데에서 다시금 분발하심을 반갑고 기쁜 마음으로 응원합니다. 2년 반 전에 22회 모임까지 하셨으니 22일 모임은 23회가 되겠군요. 23회 모임부터 새해로 그리고 그 이후로 쭈욱~~ 하나님께서 축복하시고 주님께서 앞서 인도해 주시는 은혜로운 성경 신자들의 모임 되기를 기원합니다. 또, 하나님께서 영광 받으시는 특별한 모임이 되기를 원합니다. 신경호 형제님, 최문선 자매님, 화이팅!!
2017-12-20 16:29:56 | 최상만
안녕하세요?뉴질랜드 오클랜드에 사는 최문선 자매입니다.참으로 오랜만에 인사를 드립니다.그동안 개인적인 사정으로 뉴질랜드 Bible Believers(성경신자) 모임을 지속하지 못했습니다.이번 12월 22일(금)에 그동안 만나지 못했던 맴버들과 또 그 사이에 이렇게 저렇게 연락이 되었던 새로운 분들과 함께 모임을 하고자 합니다.여러분의 지인들 중에 뉴질랜드에 사는 분들이 있으시면 이 모임을 소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뉴질랜드 남섬에 사는 분들께서도 이 글을 보시고 연락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모임 시간과 장소 그리고 연락처는 아래와 같습니다.*조윤정 자매님이 이 글을 보시면 저희에게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알려주신 전화번호로 연락해봤는데 연결이 안되네요. 전화번호가 바뀐 것 같아서 자매님이 우리에게 연락해 주시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  아   래  >일자와 시간 : 2017년 12월22일 금요일 저녁6시 (저녁식사)장       소 :  **** 번지   Awa Road. Kumeu.  Auckland연   락  처  :  집:09(지역번호)-412-7879              휴대폰 027-779-8877(최문선 자매) 027-663-9777(신경호 형제)
2017-12-15 07:03:25 | 최문선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 마제스티 판 스마트폰 예상 앱(낭독 및 보기) 설명안녕하세요?우리가 앞으로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 마제스티 판을 내면서 무료 앱을 만들어 제공한다고 하니 여러 사람들이 이에 관심을 보이기에 앱에 대해 잠시 알려드립니다.<2017년 말 그리스도 예수안에 출판사 근황 및 미래 계획>http://www.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notice&write_id=782일단 최고의 성우가 신구약을 녹음합니다. 변화가 없는 한 이미 성우는 정해졌습니다. 아주 좋은 그리스도인이고 목소리 좋은 성우로 유명한 분입니다.그 뒤에 성우가 읽는 대로 본문이 노랗게 하이라이트 되면서 나오게 됩니다.즉 낭독과 본문이 동시에 앱에서 들리며 보입니다.다음을 참조하기 바랍니다.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2&write_id=781https://www.youtube.com/watch?v=lVy4de5v9Jg
2017-12-07 13:29:13 | 관리자
안녕하세요?우리의 구원자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문안드립니다.이제 2017년도 거의 다 지나간 것 같습니다.저희 출판사는 주님의 은혜와 여러분의 기도 덕분에 잘 운영되고 있습니다. 저희는 2011년에 <400주년 기념판>을 출간하였고 그 후로 벌써 6년이 지났습니다.그 동안에 여러 사람들이 다양하게 교정 의견을 주었고 믿음을 가진 영어 전공자들이 몇 차례 성경의 처음부터 끝까지 절마다 일일이 대조하며 살펴보았습니다. 본문 번역에서 특별히 의미가 달라져서 교리가 바뀌는 일은 전혀 없었습니다. 미세한 것들까지 잘 보고 반영하려고 노력하였고 아마도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말 바루기 작업입니다. 이것은 성경을 소리 내어 많이 읽고 문법적으로 틀린 데가 없는지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물 흐르듯이 읽히는 성경을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문법을 지키기 위해 1,000번 이상 국립 국어 연구원에 직접 물었고, 수천 군데를 국어 연구원 사전과 비교하여 문법적으로 오류가 없도록 노력하였습니다. 국립 연구원 직원들도 힘들어할 정도로 강도 높게 문법을 지키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미국 댈러스 신학교에서 신학 박사를 하신 켄달 박사님의 도움을 얻어 역시 1000번 이상 이메일을 주고받으면서 영어의 미묘한 부분들을 묻고 답을 얻었습니다.이분은 <The New Strong's Expanded Dictionary Of Bible Words>를 편집한 분입니다. 제가 펜사콜라 신학 대학원에 다닐 때 거기 교수님이었습니다. 물론 확고한 킹제임스 성경 지지자이며 내년에는 이분이 지은 2개의 성경 관련 소책자를 출간할 것입니다.https://www.amazon.com/Strongs-Expanded-Dictionary-Bible-Words/dp/0785246762/ref=sr_1_9?ie=UTF8&qid=1512460559&sr=8-9&keywords=Robert+kendall그리고 지금도 10여 명이 계속해서 신약과 구약을 읽으면서 우리말 바루기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는 2년 정도 계속해서 더 읽으면서 기다리다가 킹제임스 흠정역 마제스티 판을 찍으려고 합니다. 이것은 현재 저희의 계획이고 실제 인쇄는 언제 될지 모릅니다. 북한 붕괴 같은 돌발 사태가 생기면 상황이 바뀔 수 있습니다.아시는지 모르겠지만 이번에는 아주 좋은 성우를 사용하여 전체 성경을 낭독하게 하려고 합니다. 이미 이를 위해 국내 최우수 성우를 만나서 합의하였고 그래서 마제스티 판을 찍을 때에는 성경 출간과 함께 낭독 CD도 같이 무료로 나누어 주려고 합니다.또한 스마트폰에서 성우 낭독과 함께 본문을 볼 수 있는 앱도 무료로 제공하려고 합니다. 현재 미국에서(또 국내에서도) 이런 앱은 20-30달러 주어야 사지만 우리는 무료로 누구나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입니다.또한 성경의 모든 장 본문을 유튜브에 성우 낭독과 함께 올려서 언제 어디서 누구라도 성경을 볼 수 있게 할 것입니다.이번에 평창 동계 올림픽에는 미국의 Bearing Precious Seed가 우리 성경으로 만든 <요한복음/로마서> 쪽복음 몇 만 부를 무료로 제공할 것으로 압니다.북한 붕괴에 대비하여 선교하시는 분들 역시 <요한복음/로마서> 쪽복음을 50만 부 정도 인쇄할 예정입니다.물론 이런 모든 선교 관련 일은 100% 무료로 진행되며 우리는 그들의 인쇄를 위해 PDF 파일(북한용은 표지까지)을 만들어 주고 마음껏 쓰도록 하였습니다.이제 글을 마치려고 합니다.제가 여러 차례 부탁 드렸듯이 교정할 부분이 있으면 언제라도 이메일을 보내주십시오. 타당하면 다 반영하겠습니다.이메일 주소: webmaster@keepbible.com우리 주 예수님께서 2018년에도 우리 모두의 영과 육과 혼을 건강하게 해 주실 줄 믿습니다.샬롬정동수 드림
2017-12-05 17:17:14 | 관리자
안녕하세요?지난번에 저희는 사이트 개편을 통해 스마트폰에서 기사 내보내기를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여러 성도님들이 이에 대해 기쁨을 표시하셨습니다.<스마트폰에서 기사 내보내기>http://www.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notice&write_id=779저희 사이트는 10년 전에 만들어졌고 그 이후에 계속 수정 보완 작업을 하였습니다. 처음에 사이트가 만들어질 때에는 플래쉬로 메뉴를 짜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었으나 그 이후로 이런 환경이 바뀌면서 구글의 대표적 브라우저인 크롬(Chrome) 같은 경우는 플래쉬로 된 메뉴는 아예 보이지를 않습니다.앞으로 모든 브라우저가 플래쉬를 안 쓰는 것으로 고정되므로 우리도 이에 맞추어 플래쉬로 된 상단 메뉴 등을 이번 기회에 모두 바꿀 것입니다.그러면 아마도 거의 PC의 모든 브라우저에서 다 실행이 될 것입니다.또한 기사를 쓸 때 필요한 에디터도 오래 되어서 최근 것으로 업데이트 하고 몇 가지 오래된 방식들을 모두 새 것으로 바꾸려고 합니다.이 모든 작업에는 2주 정도 시간이 걸리고 그 뒤에는 플래쉬 메뉴 없이 모든 브라우저에서 저희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물론 보수 기간에도 얼마든지 기존 방식대로 사이트는 이용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샬롬패스터
2017-12-02 09:26:36 | 관리자
요아스와 여호아스열왕기하 11-12장에는 유다의 여호아스(Jehoash) 왕의 기사가 나옵니다. 여호아스는 요아스(Joash)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주로 여호아스라 불립니다.그러나 기존 한글 성경에서 여호아스를 대개 요아스로 번역하다 보니 킹제임스 성경이 여호아스와 요아스 둘로 번역한 것을 두고 오류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더러 있습니다. 구약 성경에는 한 사람의 이름이 여럿인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러므로 왕하11-12장을 읽을 때 유다의 여호아스이면 유다의 요아스와 같은 인물로 이해하면 됩니다.뉴킹제임스, NASB 등도 킹제임스 성경과 같이 왕하 11-12장에 여호아스로 기록하였습니다.이런 것은 오류의 문제가 아니라 이름에 대한 용례에 대한 것이니 북 왕국 이스라엘의 여호아스인지, 남 왕국 유다의 여호아스인지 분별해서 읽으면 됩니다.  다음 예는 두 여호아스를 구분하기 위해 남 왕국 유다의 여호아스를 요아스로 지칭한 사례이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왕하13:10 ¶ 유다 왕 요아스의 제삼십칠년에 여호아하스의 아들 여호아스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을 통치하기 시작하여 십육 년 동안 통치하며 샬롬패스터-------------왕하11장여호아스가 통치하기 시작할 때에 나이가 칠 세였더라(왕하11:21).왕하 12장1 예후의 제칠년에 여호아스가 통치하기 시작하여 예루살렘에서 사십 년 동안 통치하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브엘세바의 시비아더라. 2 제사장 여호야다가 여호아스에게 교훈을 주던 모든 때에는 그가 {주}의 눈앞에서 올바른 것을 행하였으나 3 산당들은 제거하지 아니하였으므로 백성이 여전히 산당들에서 희생물을 드리며 분향하니라. 4 ¶ 여호아스가 제사장들에게 이르되, {주}의 집으로 가져와 봉헌한 물건들 중에서 모든 돈 곧 계산이 끝난 모든 사람의 돈이나 모든 사람에게 정해 준 돈이나 {주}의 집에 가져오려고 어떤 사람이 마음에 정한 모든 돈을 5 제사장들이 각각 자기가 아는 자들에게서 취하여 그 집의 어느 곳이든지 무너진 곳을 발견하거든 그 무너진 곳을 보수하라, 하였으나 6 여호아스 왕의 제이십삼년이 될 때까지 제사장들이 그 집의 무너진 곳을 보수하지 아니하므로 7 여호아스 왕이 제사장 여호야다와 다른 제사장들을 불러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가 어찌하여 그 집의 무너진 곳을 보수하지 아니하느냐? 그러므로 이제 너희가 아는 자들에게서 더 이상 돈을 받지 말고 그 집의 무너진 곳을 보수하도록 그것을 넘겨주라, 하니 8 제사장들이 다시는 백성에게서 돈을 받지도 아니하고 그 집의 무너진 곳을 보수하지도 아니하기로 동의하니라. 17 ¶ 그때에 시리아 왕 하사엘이 올라와서 가드와 싸워 그곳을 점령하고 예루살렘을 향해 자기 얼굴을 고정하고 올라오려 하였으므로 18 유다 왕 여호아스가 전에 자기 조상 유다 왕 여호사밧과 여호람과 아하시야가 봉헌한 모든 거룩한 것과 자기의 거룩한 것과 또 {주}의 집의 보고와 왕의 집에서 찾은 모든 금을 취하여 시리아 왕 하사엘에게 보내었더니 그가 예루살렘에서 떠나갔더라.
2017-12-02 09:16:41 | 관리자
안녕하세요?오늘은 성도들에게 부담 없이 저렴하게 실용적으로 예배당을 짓는 사랑침례교회 사례를 크리스천 투데이 기사로 소개합니다.<교회 예배당, 최소한 비용으로 실용적으로 건축하기>http://www.christiantoday.co.kr/news/306568우리 주 예수님의 큰 은혜와 평안을 기원합니다.샬롬패스터 정동수
2017-11-28 11:43:22 | 관리자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공지한 대로 저희는 스마트폰에서 킵바이블과 사랑침례교회 사이트 기사를 곧바로 내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보내기 버튼 6개를 모든 기사 밑에 첨가하였습니다.   http://www.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notice&write_id=778      스마트폰으로 기사를 보는 경우 모든 기사 맨 밑에 위의 그림과 같은 6개 내보내기 버튼이 있습니다.     처음 것은 기사를 카톡으로 내게 내보내는 버튼입니다. 이것은 맨 처음에 한 번 동의를 눌러야 그 뒤로 작동합니다.   둘째는 다른 사람에게 카톡으로 내보내기입니다.   셋째는 밴드로 내보내기입니다.   넷째는 블로그로 내보내기입니다.   다섯째는 페이스북으로 내보내기입니다.   여섯째는 트위터로 내보내기입니다.   내보내기는 스마트폰(안드로이드와 아이폰)에서만 작동됩니다.   이번 수정 작업으로 이제 누구에게든 무슨 기사든 마음대로 내보낼 수 있으니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조금이라도 유익이 있기를 원합니다.      샬롬   패스터
2017-11-27 14:38:37 | 관리자
중세 최고의 지성 에라스무스의 공인 분문과 루터 성경   안녕하세요?   종교 개혁 500주년을 맞아 여러 책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저는 얼마 전에 <루터의 밧모섬>을 소개하였습니다. http://cbck.org/bbs/board.html?board_table=book&write_id=253   이 책은 세속 역사가가 루터의 삶을 그린 것입니다.   이 책을 읽다가 맨 뒤에 있는 황대현 교수의 루터 이야기 요약을 보고 여러분에게 전달하려고 합니다. 목원대 역사학 교수인 필자는 <루터의 모든 책을 불사를 수는 없었다>라는 짧은 글을 통해 종교 개혁의 의미를 잘 요약해서 보여 줍니다.   특히 인쇄술과 루터 성경 번역에 대한 황 교수의 평가는 심히 공정하며 우리 모두가 마음에 새겨 두어야 할 것입니다.   “이에 비해 루터가 바르트부르크에서 번역한 신약 성경은 서기 1세기에 신약 성경이 처음 편찬되었을 때 쓰인 언어인 그리스어를 기반으로 해서 당대 최고 지성이었던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가 1516년 새롭게 출간한 ‘그리스어 판본 성경’을 원본으로 활용해 번역한 것이었기에, 천 년이 넘도록 사용되면서 불가피하게 여러 문제점을 안게 된 [라틴어] 불가타 성경의 오류를 피할 수 있었다.”     황 교수는 분명하게 천주교회의 성경인 라틴어 불가타(벌게이트)가 오류를 담고 있었고, 당대 최고 지성인 에라스무스의 그리스어 본문과 여기서 나온 루터 성경이 그런 오류들을 담고 있지 않다고 말합니다. 이 말은 즉 천주교 소수 사본에서 나온 현대 역본들은 오류를 담고 있고 루터 성경, 킹제임스 성경 등과 같이 에라스무스의 공인 본문에서 나온 성경은 오류가 없다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천주교회에서 비롯된 본문 비평에 영향을 받지 않는 대다수 역사가가 증언하는 바입니다.   이에 관해서는 총신대 총장을 역임한 정성구 박사님도 동일하게 증언합니다. http://www.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2&write_id=708   역사를 바로 인식하고 공정하게 사실을 평가하며 사는 것이 진리를 따르는 그리스도인의 삶입니다. 이리 할 때 마음의 평안이 하늘로부터 주어집니다.   이 시간에 아무리 마귀가 진리를 대적해도 우리에게는 확고한 진리의 말씀, 1611년 영어 킹제임스 성경이 있습니다.   루터의 찬송, 내 주는 강한 성이요.   1) 내 주는 강한 성이요 방패와 병기 되시니 큰 환난에서 우리를 구하여 내시리로다옛 원수 마귀는 이때도 힘을 써 모략과 권세로 무기를 삼으니 천하에 누가 당하랴   2) 내 힘만 의지할 때는 패할 수밖에 없도다 힘 있는 장수 나와서 날 대신하여 싸우네이 장수 누군가 주 예수 그리스도 만군의 주로다 당할 자 누구랴 반드시 이기리로다   3) 이 땅에 마귀 들끓어 우리를 삼키려 하나 겁내지 말고 섰거라 진리로 이기리로다친척과 재물과 명예와 생명을 다 빼앗긴대도 진리는 살아서 그 나라 영원하리라 아멘   그러므로 [하나님]께 복종하라. 마귀를 대적하라. 그리하면 그가 너희에게서 도망하리라(약4:7).   샬롬 -------------- <루터의 모든 책을 불사를 수는 없었다>황대현 목원대 교수 ㆍ 역사학   2017년은 종교 개혁 500주년이 되는 해다. 이를 계기로 국내에서도 루터의 생애나 종교 개혁의 역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술서와 교양서를 막론하고 다양한 관련 서적들이 속속 출판되고 있다. 독일이나 유럽, 미국과 비교하면 그렇게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우리가, 왜 500년 전에 먼 나라에서 일어난 일을 굳이 기억하고 기념하려는 것일까? 루터의 종교 개혁은 전 세계에서 9억여 명, 우리나라도 전체 인구의 5분의1 가량이 신자로 있는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탄생시킨 출발점이기에 개신교 신앙의 뿌리로서 한 번쯤 되돌아볼 만한 가치는 충분하다. 하지만 단지 신학이나 교회사의 측면에서만 중요하다면, 아무리 500주년을 맞이하는 때라고 해도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이토록 진지하게 그 사건의 현재적 의미에 관심을 기울일 까닭은 없으리라.   루터가 1517년 교황청의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는 95개조 논제를 발표하면서 시작된 종교 개혁은 독일을 포함한 서구세계 전반에 큰 충격파를 가하며 다양한 측면에서 상당한 변화를 몰고 왔다. 다시 말해서, 종교 개혁은 개신교 프로테스탄티즘의 탄생이라는 차원에만 국한된 사건이 아니었다. 이 글에서는 근대 초기 독일사를 전공하는 필자가 판단하기에, 주로 교회사적인 관점에서만 접근할 경우 놓치기 쉬운 종교 개혁의 역사적 의의를 두 가지 측면, 즉 인쇄술과의 상호작용이라는 소통 기술적 측면과 근대국가 형성이라는 정치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종교 개혁을 좀 더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한다.   1. 인쇄술과 종교 개혁, 그리고 팸플릿 전쟁 1999년 미국의 시사주간지 『라이프』가 15세기 중엽 구텐베르크에 의해 개발된 활판 인쇄술을 지난 천 년간 인류가 이룩해낸 가장 위대한 업적으로 선정한 적이 있다. 서양에서는 서구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주요 요인으로 인쇄술이라는 기술적 혁신을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그런데 근대 초기 유럽의 ‘인쇄혁명’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한 역사가 엘리자베스 아이젠스타인에 따르면, 인쇄기의 출현은 종교 개혁의 중요한 전제조건이자 이후 종교 개혁을 성공으로 이끈 촉진 조건이었다. 다소 지나친 표현이긴 하지만 “(인쇄) 서적 없이는 종교 개혁도 없다”는 교회사가 베른트 묄러의 명제 역시 인쇄술이 종교 개혁에 미친 핵심적인 영향을 강조한 말이었다.   무엇보다도 루터 스스로가 인쇄술에 대해 ‘하나님에게서 받은 최후의 선물이자 가장 위대한 은총’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원래 유럽의 변방 지역에 위치한 비텐베르크 대학의 잘 알려지지 않은 신학교수가 교황의 막강한 권력에 맞선 그리스도교 세계의 유명 스타이자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책을 팔 수 있었던 최초의 작가’가 될 수 있었던 것도 인쇄술이 없었다면 애초에 불가능한 일이었다.   1521년 보름스 국회가 루터의 ‘이단적인’ 저서들을 모두 불태우라는 칙령을 공표했을 때 그 결정은 별 실효를 거두지 못했는데, 왜냐하면 당시 루터의 책들은 이미 50만 부 가까이나 팔려나간 상태였기 때문이다. 100년 전인 15세기 초에 보헤미아의 개혁가 얀 후스를 화형에 처했던 것처럼 설사 교황청과 세속 당국이 루터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하더라도 그가 쓴 엄청난 양의 인쇄물을 모두 불사를 수는 없었다. 루터의 종교 개혁은 인쇄술이라는 무기가 없었던 후스의 개혁운동이 실패로 끝났던 전철을 밟지 않았던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인쇄술이 종교 개혁에 일방통행식 영향만 미쳤던 것은 아니다. 서양에서 발명된 지 70년도 채 되지 않은 ‘신기술’이었던 인쇄술 역시 종교 개혁을 거치면서 그야말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초기 자본주의 사업가의 전형이었던 인쇄업자와 출판업자들은 루터라는 베스트셀러 작가의 작품을 출간함으로써 경제적으로 큰 수익을 거둘 수 있었다. 루터의 공개서한 『독일의 그리스도인 귀족들에게 고함』은 초판 4,000부가 금세 다 팔려나가 인쇄업자가 일주일 만에 2쇄를 찍어야 할 정도였고, 1522년 출간된 이른바 『9월 성경』초판은 당시 숙련된 목수의 일주일치 임금에 해당하는 적지 않은 가격에 시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신ㆍ구약 완역 성경이 출간된 1534년까지 80~85쇄라는 기록적인 증쇄를 거듭했다.   흔히 서양 역사에서 종교 개혁은 기성체제에 반대하는 선전ㆍ선동에 인쇄술을 활용한 최초의 운동으로 평가받곤 한다. 특히 종교 개혁 초기에 루터를 비롯한 개혁가들의 사상을 널리 알리고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하려는 목적으로 정식 제본되지 않은 가철본 형태의 얇고 저렴한 소책자(Flugschrift)가 독일어로 제작되어 대량 유포된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역사가들은 종교 개혁 시대에 소책자를 활용해 벌어졌던 여론전을 ‘팸플릿 전쟁’이라고 부른다.)   비록 이 새로운 종류의 인쇄물이 처음 등장한 것은 15세기였지만, 소책자가 진정한 대중매체로 자리 잡게 된 것은 다양한 소통방식을 활용해 특정 지역이나 계층에 국한되지 않는 광범위한 여론을 창출했던 ‘종교 개혁 공론장’(라이너 볼파일) 속에서 개신교 진영의 핵심적인 투쟁수단으로 부상하면서부터였다. 독일 종교 개혁기 소책자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한스-요아힘 쾰러의 추산에 따르면, 종교 개혁 시작 첫 해인 1517~18년 사이에 소책자의 제작은 무려 530퍼센트에 달하는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또 16세기의 첫 30년 동안 출간된 소책자의 총 발행량을 당시 신성로마제국의 전체 인구수와 비교해보았을 때 대략 주민 한 사람당 소책자 1부가 돌아갈 정도로 방대한 양이 시중에 쏟아져 나왔다고 한다.   2. 루터의 성경번역과 문체혁명   소책자가 종교 개혁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것은 사실이지만, 장기적으로 독일 개신교인들의 신앙생활의 준거점으로 작용하며 문화적 측면에서 독일어 문어체의 발달에도 크게 기여했던 것은 역시 루터가 번역한 성경이었다. 레스턴은 우리가 흔히 잘못 알고 있는 사실, 즉 루터가 번역한 성경이 최초의 독일어 성경이 아니었다는 점을 제대로 짚어주고 있다. 『9월 성경』이 출간될 무렵 신성로마제국에는 이미 18종에 달하는 서로 다른 독일어 판본의 성경이 유통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 독일어 성경들은 중세의 라틴어 성경인 불가타(Vulgata) 본을 번역한 것이어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에 난해한 측면이 많았다. 아직 표준 독일어가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 지역 방언으로 씌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널리 확산되기에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비해 루터가 바르트부르크에서 번역한 신약 성경은 서기 1세기에 신약 성경이 처음 편찬되었을 때 쓰인 언어인 그리스어를 기반으로 해서 당대 최고 지성이었던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가 1516년 새롭게 출간한 ‘그리스어 판본 성경’을 원본으로 활용해 번역한 것이었기에, 천 년이 넘도록 사용되면서 불가피하게 여러 문제점을 안게 된 [천주교회의 라틴어] 불가타 성경의 오류를 피할 수 있었다.   게다가 번역자 루터가 당시 치열한 논란의 중시에 서 있었던 유명 인사였다는 사실 이외에도, 그가 번역작업을 수행하면서 되도록 현학적인 표현은 피하고 대신 가정주부와 시장의 보통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게끔 문장을 쉽게 풀어썼기 때문에 루터 성경은 다른 독일어 성경들과는 달리 여러 지역에 널리 보급되기에 이르렀다. 루터 성경이 베스트셀러로 자리 잡게 되면서 그가 번역할 때 사용한 중동부 지역의 고지(高地) 독일어는 부부 지방의 저지(低地) 독일어와 다른 방언들을 제치고 점차 우세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는 향후 표준적인 독일어 문어체의 발전에 기본 토대를 제공했다.   루터의 성경번역이 가져온 파급효과는 비단 독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 루터의 시도에 자극 받아 유럽 다른 나라들에서도 자국어 성경 번역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단적인 예로 영국의 윌리엄 틴데일(틴들)은 신약 성경을 영어로 번역할 생각을 갖고 일부러 루터를 만나기도 하였으며, 실제로 1526년 출간도니 틴데일의 영어 성경은 당시 자국어 성경 출판을 금지하고 있었던 영국이 아니라 독일의 보름스에서 처음 인쇄되어 나왔다.
2017-11-17 12:35:20 | 관리자
샬롬~ 반갑습니다. 조금 늦게 글을 확인하게 되었네요. 다음은 저의 견해 입니다.^^ 이미 두 사람은 관계로 인해 남자가 여자의 아내에게 은 50세겔을 주고 결혼을 하게 되었기에 남자는 할 도리를 했습니다. 이 경우는 여자가 처녀가 아닌 상태로 있다가 갑작스런 남자와의 관계로 계획에 없던 반강제적 결혼을 하게 된 형태입니다. (물론 현대인의 관점에선 남자가 이렇게 했다간 성폭행범으로 몰리게 되지요.) 그렇지만, 모세 율법 시대에를 비롯한 구약시대에 하나님께서는 여자의 씨를 순수하게 보존하여 메시야 혈통이 이어지게 하는데 초점이 있었기 때문에 처녀가 결혼전 음행, 간음으로 인해 더 이상 처녀가 아님이 밝혀진 이 일을 대단히 큰 문제로 다루었다고 생각 되어집니다. 구약시대의 성적 윤리의식은 점점더 강화되어서 신약시대에 예수님께서는 마음의 문제까지 다루십니다. 자매님 말씀처럼 창세기 시작부터 현대인의 윤리, 법감정에 맞는 율법을 주셨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우리의 생각과 하나님의 생각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성경적 맥락에서 구약을 이해하시면 영적 유익이 있을 것 같습니다. 평안하셔요~^^
2017-11-11 03:11:43 | 오광일
최근에 이 부분에 대한 글이 올라왔는데, 흥미로운 주제인것 같아서 한번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신명기 22장 이스라엘의 성적 윤리에 관한 법률   이스라엘 민족에게 있어서 여성의 성적 순결함은 매우 중요했습니다. 왜냐하면 유대인 혈통의 순수함을 유지하여 메시야를 내야 한다는 의식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혼한 아내가 처녀가 아니었다는 문제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유대인 혈통이 아닌 출처를 알 수 없는 다른 씨의 아들이 들어온다는 건 메시야 혈통을 이어가는데 큰 방해요소가 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신명기 22장을 바탕으로 성적윤리에 관한 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조. 처녀에 관한 법률 1항. 남자가 처녀와 잠자리를 한 경우, 그 남자는 그 젊은 여자의 아버지에게 은 50세겔을 주고 그녀를 아내로 삼아야 하며 절대 이혼을 할 수 없다. 2항. 남자가 아내의 처녀성을 문제 삼는 경우 장로들 앞에 와서 입증해야한다.① 남자가 거짓으로 아내의 처녀성을 문제 삼은 경우 그 남자는 징계 받고 아내의 아버지에게 은 100세겔을 주어야 한다.② 남자가 제기한 아내의 처녀성의 문제가 사실인 경우 그 여자는 돌로 쳐서 죽임으로서 악을 제거해야 한다.   2조. 유부녀에 관한 법률여기서 유부녀라 함은 정혼한 젊은 여자와 정식 결혼한 아내를 통칭한다.1항. 유부녀가 자발적으로 간음을 행한 경우 함께 간음한 남자와 함께 죽임을 당한다.2항. 단, 유부녀가 수동적으로 강간을 당한 경우라면 여자는 무죄이되 남자는 죽임으로서 악을 제거해야 한다.   법의 내용이 대체적으로 여성에 대한 배려를 하나님께서 두신 것으로 이해 됩니다. 그러나 사람마다 시각이 다르고 생각하는 관점이 다르기에 다소 부족하다고 여겨질지도 모르겠습니다.   최근에 올라온 글 중에 처녀에 관한 법률 1조 2항② 경우에 남자는 어떤 처벌을 받는지? 궁금함을 올린 글을 보았습니다. 제 견해는 이렇습니다. 이미 두사람은 관계로 인해 남자가 여자의 아내에게 은 50세겔을 주고 결혼을 하게 되었기에 남자는 할 도리를 했습니다. 이 경우는 여자가 처녀가 아닌 상태(음행이나 간음으로 인한 경우라고 생각)로 있다가 갑작스런 남자와의 관계로 계획에 없던 강제 결혼을 하게 된 형태입니다. (물론 현대인의 관점에선 남자가 이렇게 했다간 성폭행범으로 몰리게 되지요.) 그렇지만, 모세 율법 시대에 하나님께서는 여자의 씨를 순수하게 보존하여 메시야 혈통이 이어지게 하는데 초점이 있었기 때문에 처녀가 결혼전 음행, 간음으로 인해 더 이상 처녀가 아님이 밝혀진 이 일을 대단히 큰 문제로 다루었다고 생각 되어집니다.   [정리]모세의 율법을 통해서 하나님께서는 결혼 안에서의 성적 순결함을 중요하게 여기셨다.여자의 씨를 통해 메시야 혈통이 이어져야 하기에, 여성인권 관점에서는 부족해 보일순 있으나 하나님의 관점에선 부족함이 없다.구약과 신약 모두 동일하게 음행과 간음에 대해서 하나님께서는 결코 가볍게 다루시지 않는다.   ----------------[ 위어스비 목사님 자료를 참조하여 제 생각을 정리하였습니다.]-----------------
2017-11-11 03:05:29 | 오광일
성경 이슈 관련 용어 정리   성경 이슈를 논하려면 몇 가지 용어를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자주 보게 되는 용어들 가운데 몇 가지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이 외에 필요한 것들은 독자께서 시간을 내서 조금 연구하기 바랍니다. 너는 진리의 말씀을 바르게 나누어 네 자신을 하나님께 인정받은 자로, 부끄러울 것이 없는 일꾼으로 나타내도록 연구하라(딤후2:15). ● 파피루스(Papyrus): 파피루스는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에 필기 용도로 사용되던 종이와 비슷한 매체로서 사초과(莎草科 Cyperaceae)에 속하는 동일한 이름의 파피루스(Cyperus papyrus) 식물의 잎으로 만들어졌다. 다음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인용한 것이다. 파피루스 식물은 이집트의 나일 강 삼각주 지역에서 오랫동안 재배되었다. 이집트 사람들은 필기 용도로 쓰기 위해 자루나 줄기를 모았고 가운데 수(髓) 부위를 얇고 긴 조각으로 잘라 압착하여 말린 뒤 매끄럽고 얇은 필기 용지를 만들었다. 파피루스는 풀처럼 생긴 수생 식물로서 목본성의 무딘 3각형 줄기를 가지며 깊이가 90㎝ 정도인, 잔잔하게 흐르는 물에서 4.6m 높이까지 자란다. 지금도 따뜻한 지역에서는 이것을 연못에 관상용으로 심거나 온실에서 기르곤 한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파피루스 줄기를 가지고 돛·천·방석·밧줄·종이를 만들었다. 파피루스로 만든 종이는 고대 이집트 사람들의 주요한 문방구였는데 후에 그리스 사람들이 이것을 도입하였고 이것은 로마 제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이것은 두루마리 형태의 책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통신문과 법률 공문서를 기록하는 데도 쓰였다. 플리니우스는 다음과 같이 파피루스로 종이를 제조하는 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줄기 속의 섬유 층을 제거하고 세로로 길쭉한 조각으로 잘라 이들을 나란히 놓은 다음 그 위에 다른 조각들을 직각으로 교차시킨다. 이렇게 2층으로 쌓은 시트를 풀이 죽게 압축시킨다. 말리는 동안 아교 같은 수액(樹液)이 시트를 서로 접착시킨다. 마지막으로 시트를 망치로 두드린 다음 햇볕에 말린다. 이렇게 만들어진 종이는 순백색을 띠며 잘 만들어진 것은 반점·얼룩 및 다른 결함 등이 없다. 두루마리의 경우 시트를 풀로 붙여 만드는데 대개 하나의 두루마리에 시트가 20개 이상은 들어가지 않는다. 파피루스는 8-9세기에 다른 식물 섬유로 종이를 제조하기 전까지 이집트 사람들이 필기 용도로 사용하였다. 3세기경에 이르러 유럽에서는 파피루스가 이미 벨럼이라 불리는 저렴한 양피지로 대체되기 시작했지만 12세기경까지는 책이나 공문서를 만들기 위해 간간이 쓰였다.  양피지 사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값이 싼 파피루스 사본들은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으며 아마도 초기에 신약 성경은 이런 종이 위에 필사되었을 것이다. 학자들이 발견한 파피루스 조각 사본들은 1, 2, 3, 4, 5, 6, 7 등의 번호가 매겨졌으며 그 안에는 신약 성경의 서로 다른 부분들이 적혀 있었다. 이런 파피루스 사본 중 많은 수가 교회 역사의 첫 3세기(주후 100-300년) 동안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벨럼(Vellum): 글이 기록된 고급 가죽(양피지). 벨럼은 주로 양·염소·송아지 등 동물의 가죽을 가공·처리하여 만든 서사(書寫) 재료이다. 다음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인용한 것이다. BC 2세기에 고대 그리스의 도시 페르가뭄(지금의 터키 베르가마)에서 양피지가 발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짐승의 가죽이 필기 재료로 쓰인 것은 그보다 더 오래되었지만 가죽을 좀 더 철저하게 세척하고 늘리고 문지르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됨에 따라 필사 시 양면 사용이 가능해졌고 그 결과 두루마리 사본이 철을 한 책자(코덱스)로 대체되었다. 처음에는 송아지나 새끼 염소의 가죽 또는 사산되었거나 갓 태어난 송아지나 양의 부드러운 가죽으로 만든 양피지를 벨럼이라고 하였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이 말은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모든 최고급 양피지를 일컫는 데 쓰이게 되었다. AD 6세기에 대부분의 초기 사본들에 사용되었던 벨럼은 질이 좋았다. 이후에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상당한 양의 불량품이 시장에 나왔으나 서유럽에서 많은 필사본이 만들어졌던 12세기까지는 부드럽고 유연한 벨럼이 유행하였다. 초기에 콘스탄티노플에서는 진한 자줏빛 염색을 하고 금·은으로 글씨를 새긴 호화스러운 형태의 양피지가 만들어졌는데 제롬은 그의 잘 알려진 시구에서 이러한 관행을 쓸모없는 사치라고 비난했다. 자줏빛 염색은 그 후에 사라졌지만 금·은 그리고 다른 색조로 양피지 사본에 ‘윤을 내는’ 관행은 중세에도 크게 유행하였다. 오늘날 양피지 혹은 벨럼이라는 용어는 주로 목재 펄프 및 제지용 넝마로 제조하여 특수한 마감 처리를 한 일종의 고급 종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벨럼 중 어떤 것들은 족자처럼 말 수 있었으므로 ‘두루마리’(scroll)라고 불리며 또 어떤 것은 마치 책처럼 장(page)으로 구성되어 있어 ‘코덱스’(codex)라고 불린다. 성경 사본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두 개의 ‘코덱스’는 ‘바티칸 코덱스’(Vaticanus)와 ‘시내 코덱스’(Sinaiticus)이다. 이것들은 보통 ‘바티칸 사본’(B 사본) 그리고 ‘시내 사본’ 혹은 ‘알레프 사본’(Aleph)이라 불리는데 여기서 ‘알레프’는 히브리어 알파벳의 첫 글자이다. ● 자필 원본(Autographs): 글자나 음표 등을 작가가 직접 손으로 쓴 원고. 다음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인용한 것이다. 영어의 ‘autograph’는 사람이 손으로 쓴 서명을 가리키기도 한다. 골동품으로서 지니는 가치나 부수적인 가치 이외에도 자필 원고는 원고의 초기 초안이거나 또는 수정본일 수 있고 작성 단계상 귀중한 증거나 작품의 마지막 수정판의 귀중한 증거를 제공한다. 성경과 관련해서 자필 원본은 ‘성령님의 영감으로 성경을 기록한 사람이 최초에 하나님의 말씀을 기록한 원본’을 가리키며 이것들은 다 소실되어 현재는 하나도 남아 있지 않다. ● 사본(Manuscripts): 이것은 성경의 구절이나 일부분을 담고 있는 기록으로 파피루스나 벨럼에 기록된 문서이다. 신약 성경 사본이든 구약 성경 사본이든 성경 전체를 담고 있는 것은 없고 대부분의 사본들은 그중 일부분만을 담고 있으며 심지어 어떤 것들은 단지 몇 구절만 담고 있기도 하다. ● 사본들의 계열(Families of manuscripts): 현재 네 종류의 사본 계열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어 킹제임스 성경과 루터의 독일어 성경 등은 ‘시리아 계열’(Syrian family) 사본에서 번역되었으며 신국제역(New International Version, NIV), 신미국표준역(New American Standard Bible, NASB), 미국표준역(American Standard Version, ASV), 개역표준역(Revised Standard Version, RSV), 우리말 개역성경, 표준새번역, 공동번역 등은 ‘알렉산드리아 계열’(Alexandrian family) 혹은 ‘이집트 계열’(Egyptian family) 사본에서 번역되었다. 또 다른 계열로는 ‘구 라틴어 사본들’을 포함하는 ‘서방 계열’(Western family)과 ‘가이사랴 계열’(Caesarian family)이 있다. 그런데 사실 마지막 계열은 킹제임스 성경을 지지해 주는 사본들이 너무 많다는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1924년에 스트리터(B. H. Streetr)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서 킹제임스 성경의 사본학적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취지로 만들어진 인위적 계열이다. ● 본문(Texts): 이것은 여러 사람들이 다양한 필사본 자료를 모아 구성한 ‘히브리어 혹은 그리스어로 기록된 신약 성경’을 의미한다. ‘본문’이라는 단어는 어떤 종류의 문서든지 그 문서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을 지칭하며 ‘그리스어 본문’이라는 것은 여러 사람이 그리스어로 편집한 신약 성경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그리스어 본문을 만든 유명한 사람들로는 에라스무스, 스테파누스, 엘제비어, 베자, 밀, 펠, 왈톤, 트레겔레스, 티센도르프, 그리스바흐, 알포드, 메츠거, 알란드(알라트), 네슬레, 웨스트코트와 호르트 등을 들 수 있다. 신약 성경 본문 중에서 시리아/비잔틴 ‘다수 사본’에서 나온 본문은 보통 ‘공인 본문’(Textus Receptus, TR)이라 불린다. ‘공인 본문’은 어떤 공적인 단체가 그 성경을 인정했다는 의미의 ‘공인 본문’(公認 本文)이 아니고 많은 이들이 공통적으로 인정했다는 의미의 ‘공인 본문’(共認 本文)이다. 따라서 이 같은 ‘공인 본문’을 ‘표준 원문’(標準 原文)이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치 않다. 왜냐하면 어느 누구도 그것을 ‘표준’으로 만들거나 선포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한편 웨스트코트와 호르트의 수정 본문 혹은 비평 본문(Revised text 혹은 Critical text)을 따라 알란드, 네슬레 등이 천주교의 이집트 ‘소수 사본’에서 만든 그리스어 신약 성경 본문이 있는데 바로 이런 본문으로부터 부패한 현대 역본들이 번역되어 나오고 있다. 따라서 성경 문제는 궁극적으로 시리아/비잔틴/안디옥 본문과 이집트/알렉산드리아 본문 간의 대립의 결과이며 또 종교 개혁을 일으킨 프로테스탄트 본문과 로마 카톨릭 본문 간의 대립의 결과이다. 영어 성경 중 유일하게 킹제임스 성경만이 시리아/비잔틴/안디옥 본문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며 NIV, NASB, RSV, 여호와의 증인들의 신세계역본, 한글개역성경, 한글표준새번역, 한글공동번역 등은 이집트/알렉산드리아 본문에서 나왔으므로 문체와 표현은 다소 다를지 몰라도 킹제임스 성경과의 차이점들에서는 궁극적으로 같다고 할 수 있다. ● 역본(Versions): 이것은 누군가가 히브리어/그리스어 본문으로부터 자신의 언어로 번역한 성경을 의미한다. 서기 325년 니케아 종교 회의가 열리기 전에 이미 시리아어와 라틴어로 번역된 성경들이 있었다. 성경은 아주 오래 전에 고딕어, 페르시아어, 콥틱어 등으로도 번역되었다. ‘역본’은 사실 ‘성경 기록’(Scripture)을 ‘옮겨 놓은 것’(Translation)이며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Version’이란 단어는 원래의 언어로 기록된 성경을 ‘다시 내는 것’을 의미한다. 개역표준역(RSV)과 미국표준역(ASV) 등은 킹제임스 성경을 개정한 영어 역본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왜냐하면 ASV와 RSV는 킹제임스 성경의 기초가 된 ‘다수 사본’이 아닌 다른 종류의 ‘소수 사본’으로부터 번역되었기 때문이다. ● 킹제임스 성경: 1611년 잉글랜드 왕 제임스 1세의 후원으로 출판된 영역 성경으로 제임스 왕의 이름을 따라 킹제임스 성경(King James Version)이라고도 하고 모든 사람이 권위를 부여했다고 해서 권위역 성경(Authorized Version)이라고도 하며 국내에서는 중국말의 영향으로 ‘왕이 친히 제정한 성경’이라는 의미의 흠정역 성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다음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인용한 것이다. 제임스 왕이 승인한 54명의 학자들 가운데 47명이 7년 동안 세 곳에서 여섯 개 조로 나뉘어 원어로 된 본문과 과거의 여러 역본들을 사용하여 작업했다. 그 결과 등장한 킹제임스 영역 성경은 영어 문체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고 300년 이상 표준 영어 성경으로 널리 수용되었다. 킹제임스 성경은 사본학적 권위와 문체의 수려함 등에서 다른 모든 역본을 압도하고 있으며 특히 외적으로 드러난 우수성 몇 가지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a) 부흥과 영혼 구원: 전도자들과 선교사들이 킹제임스 성경으로 선교하고 전도함으로써 구원받게 된 영혼들과 선교 사역의 양은 그 외 다른 어떤 성경들에 의해 이루어진 것보다 훨씬 많다. (b) 물질적 번영: 영국, 미국, 독일의 역사는 사람들이 ‘종교 개혁 본문’을 귀중히 여겼을 때 하나님께서 주신 물질적 복의 역사이다. 그러나 사람들이 그것을 버리게 될 때 재난이 닥쳤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c) 킹제임스 성경을 거부한 사람들의 열매: 만일 독자가 이성적이라면 로마 카톨릭 교회의 지배하에 있는 중남미 국가들과 남유럽, 필리핀 등을 살펴보기 바란다. 이 국가들 모두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부채를 짊어진 나라들이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같은 나라는 미국보다 훨씬 더 지하자원이 많고 땅도 비옥하지만 알렉산드리아의 철학(이교 사상)과 신학(바르지 못한 성경)이 나라를 지배하므로 번영을 이룰 수가 없다. 또한 새로운 역본들의 근거가 된 ‘소수 사본’을 지지했던 사람들은 한 영혼도 구원으로 인도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그들의 대부분은 - 네슬레, 알란드, 메츠거, 웨스트코트, 호르트, 라이트푸트 등 - 참으로 다시 태어나서 구원의 확신을 갖고 있었다는 증거도 없다. 또한 그들은 이미 1611년부터 킹제임스 성경이 바른 것을 가르쳤음에도 불구하고 유아세례 등을 통해 사람이 거듭난다는 로마 카톨릭 사상을 그대로 믿고 있었다. 로마 카톨릭 교회의 열매들은 이미 교회 역사가들에 의해 잘 알려져 있으며 카톨릭 교회는 지금까지 킹제임스 성경의 근간이 된 ‘공인 본문’을 올바른 본문으로 받아들인 적이 없다. 그들은 부패된 계통의 제롬의 라틴 벌게이트와 이집트 계열의 사본들만을 중요시하고 있다. ● 개정(Revisions): 성경 본문을 바꾸는 것. ● 교정, 정정(Correction): 철자나 맞춤법이 틀린 것을 바로잡는 일로서 ‘개정’과는 전혀 다른 것임.
2017-11-06 15:53:35 | 관리자
안녕하세요?   이번에 우리는 미디어 선교를 더 원활히 하기 위해 사랑침례교회와 킵바이블 사이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를 수정하려고 합니다.   1. 사랑침례교회와 킵바이블 사이트 모바일 버전 수정   요즘 블로그나 인터넷 신문, 유튜브 등을 보면, 독자가 좋아하는 기사를 곧바로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도록 <공유하기 버튼>이 들어 있습니다.   이에 저희도 다음 그림과 같이 모든 기사의 끝에 <공유하기 버튼>을 추가할 것입니다.   버튼 종류: 1. 카카오톡 자기에게, 2. 카카오톡 다른 사람에게, 3. 네이버 밴드, 4. 네이버 블로그, 5. 페이스북, 6. 트위터 스마트폰이 점점 더 많이 사용되면서 아마도 이 기능이 매우 유용하게 쓰일 것입니다.       2. 사랑침례교회와 킵바이블 사이트 구글 크롬 브라우저 사용 가능   현재 PC로 두 사이트를 접속할 때, 플래쉬를 지원하지 않는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로는 상단 메뉴가 열리지 않아 불편하였습니다. 앞으로 크롬 브라우저가 많이 사용될 추세이므로 크롬 브라우저에서도 모든 메뉴가 잘 작동하도록 수정하려 합니다.   성도님들의 협조와 기도에 감사드립니다.   샬롬   패스터
2017-11-04 13:32:33 | 관리자
안녕하세요?   여러 성경에서 요7:53-8:11을 보면 다음과 같은 각주가 달려 있습니다.   "어떤 사본에는 요7:53-8:11까지 없음"   그런데 요7:53-8:11의 기사는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을 우리 주님께서 용서해 주시는 매우 귀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귀한 이야기가 원래 성경에는 없었다고 주장하는 자들이 있습니다. 이게 어찐 된 일일까요? 사본들의 증거는 무어라 말할까요?   바티칸 사본, 시내 사본 등 천주교 알렉산드리아 소수 사본들만 이 말씀을 삭제하였고 다수의 사본들은 이 이야기를 다 담고 있습니다.   다음은 20세기 최고의 본문 비평학자로 알려진 장로교 출신의 에드워드 힐즈의 설명입니다. 참고로 힐즈 박사의 약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에드워드 힐즈 박사는 ‘라틴 피 베타 카파’라는 특별 명예를 인정받고 예일 대학을 졸업했다. 그는 또한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에서 신학사 학위(Th.B.)를 받았고 컬럼비아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석사 학위(Th.B.)를 받았다. 그는 시카고 대학에서 신약 성경 본문비평 분야의 박사 과정을 수료한 뒤 하버드 대학에서 최종적으로 그 프로그램을 마쳐 이 분야에서 신학박사(Th.D.)가 되었다. 그는 또한 「믿음의 성경 연구」(Believing Bible Study)를 저술했다.   주님의 평안이 넘치기를 원합니다.   샬롬   패스터   ----------   4.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요7:53-8:11)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 - 이것은 보통 ‘Pericope de adultera’라고 불린다 - 는 현대 영어 역본들에서 상당히 가혹한 취급을 받아 왔다. RV와 ASV는 이것을 괄호로 묶었고 RSV는 각주로 내려 보냈으며 NEB는 웨스트코트와 호르트를 따라 원래의 자리에서 모두 들어내어 기원을 알 수 없는 독립된 단편 조각으로 취급하며 요한복음의 맨 마지막에 두어 출판했다. 심지어 NEB는 이 기사에 ‘성전에서의 한 사건’이라는 새로운 이름까지 붙여 주었다. 하지만 버건이 오래 전에 우리에게 상기시켰던 것처럼 이들이 이 귀중한 구절들을 이렇게 일반적으로 거부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   (a)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에 대한 역사적인 증거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는 과거에도 문제 거리였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이 본문으로 인해 곤란을 겪었다. 그리스도께서 간음한 여인을 용서하신 것은 간음에 대한 처벌이 매우 엄해야 한다는 그들의 신념과 충돌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암브로스(374)가 밀라노의 주교로 있던 바로 그 시기에도 요한복음의 이 부분에 대해 여전히 그러한 의심을 느꼈던 그리스도인들이 많이 있었다. 이것은 암브로스가 다윗의 죄에 대해 설교한 내용을 살펴보면 분명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읽은 복음서의 가르침은 순진한 사람들을 적지 않게 화나게 했을지도 모릅니다. 이 복음서에서 여러분은 간음한 여인이 예수님께 끌려왔다가 정죄 받지 않고 돌아간 것을 봅니다…그리스도께서 공정하게 재판을 하지 않은 과오를 범한 것입니까?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Vienna, vol. xxxii, pp. 359-360).   어거스틴(c. 400)은 자신이 알고 있는 일부 신약 성경 사본이 이 본문을 생략하는 이유는 바로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에 대한 이러한 도덕주의적인 혐오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렇지만 이 같은 용서의 행위는 어떤 나약한 신자들이나 불신자들과 기독교 신앙의 적들의 마음에 충격을 준다. (내 생각에) 자기 아내에게 [간음] 죄로 인한 형벌을 주지 않은 뒤에 그들은 자기들이 소유한 그 복음서 사본으로부터 우리 주님이 간음을 행한 그 여인을 용서하셨다는 부분을 떼어 냈다. ‘가서 다시는 죄를 짓지 말라.’고 주께서 말씀하신 것은 사실 죄를 지으라고 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Vienna, vol. xxxxi, p. 387).   또한 10세기의 니콘이라는 그리스 사람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런 이야기를 듣는 것은 해롭다는 이유로…간음한 여인이 예수님께 어떻게 끌려왔는지를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그 기사를 빼버린” 아르메니아 교도들을 비난했다(S. S. Patrum . . . J. B. Cotelerius, Antwerp, 1698, vol. i, p. 235).   초기 그리스어 사본들이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를 포함하고 있었다는 것은 5세기의 그리스어 사본인 D에 그것이 있다는 사실로 입증된다. 구 라틴 코덱스 b와 e에 그것이 실제로 나타난다는 것은 초기 라틴어 사본들 또한 그것을 포함하고 있었음을 보여 주는 증거이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결론 모두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기록된 많은 사본들의 요한복음에는 고소당해 주님 앞에 끌려온 간음한 여인의 이야기가 있다.”는 제롬(c. 415)의 진술에 의해 확증된다(MPL, vol. 23, col. 579.).   제롬의 진술의 정확성을 의심할 이유는 전혀 없다. 특히 마가복음의 종결 부분에 어떤 첨가가 이루어졌다는 제롬의 진술은 W 사본에서 첨가된 부분이 실제로 발견됨으로써 옳았다는 것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롬이 개인적으로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를 참 본문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은 그가 자신의 라틴 벌게이트에 그것을 포함시켰다는 사실로서도 알 수 있다. 초기 그리스어 사본들의 요한복음에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있었다는 또 다른 증거는 ‘사도들의 가르침’을 뜻하는 디다스칼리아와 또 이 디다스칼리아의 기초가 된 ‘사도들의 헌장’에 이것이 인용되었다는 사실이다. “예수님께서 죄를 범한 여인을 처리하신 것처럼 하리라.…장로들이 그녀를 주님 앞에 데려와 주님의 손에 심판을 맡기고 떠나가니 마음을 감찰하시는 주님께서 물어 이르시되, ‘딸아, 장로들이 너를 정죄했느냐?’ 하시니 여인이 그분에게 이르되, ‘아닙니다. 주님’, 하매 주께서 그녀에게 이르시되, ‘가거라.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않노라.’”(Didascalia Apostolorum, trans. by R. Hugh Connolly, Oxford: Clarendon Press, 1929, p. 76. Funk, Didascalia et Constitutiones Apostolorum, vol. 1, p. 92).   (각각 3세기와 4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두 개의 문서에서 감독들은 회개하는 죄인에게 용서를 베풀도록 권유를 받고 있다. 이러한 청원을 강조하기 위해 많은 성경 구절이 인용된 후 하나님의 긍휼의 최상의 모범 즉 그리스도께서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에게 보여 주신 동정심에 이르러 절정에 다다른다. 티센도르프는 이 인용문이 요한복음으로부터 나왔음을 인정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비록 ‘사도들의 헌장’이 간음한 여인의 이야기의 기록자가 요한이라고 실제로 거론하지는 않지만 누구든지 이 이야기의 유래를 다른 출처에서 찾으려 한다면 헛수고를 하게 될 것이다.”(Tischendorf, N. T. Graece, vol. 1, p. 829).   코놀리(1929) Didascalia Apost., p. li.)와 그 밖의 다른 최근의 비평가들은 이 부분이 정경인 요한복음이 아니라 위경인 ‘히브리 복음’(Gospel according to the Hebrews)에서 인용되었다고 주장하지만 그것은 사실 거의 믿을 수 없는 것 같다. 논의의 전 과정 동안 신약과 구약의 정경 구절들만 증거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과연 이 두 책의 기록자들이 회개하는 사람을 용서해 달라는 청원의 절정부에 이르러서는 결국 정경 성경을 버리고 어떤 위경서나 뒤적거릴 거라고 상상할 수 있겠는가?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에 관한 또 다른 중요한 증거로서 유세비우스(c. 324)의 증언이 있다. 유세비우스는 자신의 「교회사」에서 히에라폴리스의 감독인 파피아스(150) 가 쓴 ‘주님의 말씀 해석’이란 제목의 옛 논문에서 발췌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유세비우스는 다음과 같은 말로 파피아스의 기록들에 대한 자신의 논의를 끝맺는다.   “그 동일한 기록자는 요한일서와 또 베드로의 서신에서 나오는 인용문들을 사용했다. 그리고 그는 ‘히브리 복음’에 들어 있는 이야기 즉 여러 가지 죄로 인해 주님 앞에서 고소당한 한 여인에 관한 이야기도 상세히 설명했다.”(LCL, Ecclesiastical History, Eusebius, vol. 1, p. 298.)   유세비우스의 이러한 진술을 근거로 자연주의적 비평가들은 유세비우스가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를 파피아스의 글과 ‘히브리 복음’에만 나오는 한 가지 이야기로 알고 있었지 그것이 정경인 요한복음의 일부분인 것은 알지 못했다고 추론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결론이 나올 필요는 없다. 유세비우스는 도덕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그 이야기와 파피아스의 관련성 때문에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에 적대적이었을지도 모른다. 사실 유세비우스는 파피아스나 그의 글들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그의 책들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듯이 그는[파피아스] 지성적인 사람이 아니다.”라고 유세비우스는 주장한다(동일 저자, vol. 1, p. 296).   파피아스를 경멸했기 때문에 유세비우스는 파피아스의 이야기가 요한복음을 담고 있는 일부 사본들에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기를 주저했다. 어찌됐든 유세비우스의 글에 기초해서 요한복음 7장 53절~8장 11절이 가짜라고 주장하는 것은 단지 그가 그 부분에 대해 말을 하지 않았다는 것에 근거한 ‘침묵의 주장’이며 사실 이런 침묵의 주장은 늘 설득력이 없다. 유세비우스의 침묵 부분을 강조하기보다는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사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매우 오래된 이야기라는 그의 긍정적인 증언을 강조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일 것이다. 또한 스페인 교부인 파시안(370)은 지나치게 혹독한 징벌에 반대하는 항의를 할 때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에 호소했다. 그는 물었다. “복음서에서 주님도 죄를 자백한 여인 즉 간음한 여인을 용서하셨다는 것을 그리고 어떤 사람도 그녀를 정죄하지 않았다는 것을 읽어 보지 않겠습니까?”(MPL, vol. 13, col. 1077).   (b) 역사적 사실들의 증거 역사 기록들은 일반적으로 초기 기독교의 몇 세기동안 모든 교회가 간음을 설사 용서받는다 해도 혹독한 고행 후에만 용서받을 수 있는 그런 심각한 죄로 간주했음을 보여 준다. 예를 들어 키프리안(250)은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자기 이전의 어떤 감독들은 간음한 자들은 다시 깨끗하게 될 수 없으며 혼인 상태의 부부가 부정을 저지를 경우 결코 회개의 기회를 주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고 말한다(Vienna, vol. iii, p. 638). 따라서 간음하다가 붙잡혀서 그리스도께로 끌려온 여인의 이야기는 분노를 자아냈다. 너무 쉽게 용서를 받은 것 같았기 때문이었다. 이런 사정을 고려할 때 초기 기독교회의 금욕적인 견해와 크게 충돌을 일으키는 이 이야기가 정경이 아닌 다른 출처에서 나와 요한복음에 첨가된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보다는 지나치게 열성적인 금욕주의자들이 이 이야기를 요한복음에서 삭제했다고 믿는 것이 분명히 더 합리적이다. 이것을 삭제하고자 하는 어떤 강한 동기가 있었을지 모르지만 이것을 첨가하고자 하는 동기는 전혀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기사에 대한 적대적인 편견은 이것이 복음서에 삽입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을 것이다. 보수주의자들뿐만 아니라 명확한 사고력을 지닌 급진적인 학자들 역시 역사적인 증거를 살펴볼 때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요한복음에 첨가되었다기보다는 삭제되었다고 믿는 것이 맞는다고 인식했다. 힐겐펠드(1875)는 “초기에 특히 동방 교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는) 복음서를 과감하게 제시한 것은 틀림없이 매우 불쾌한 것으로 비춰졌을 것이다.”라고 말한다(Einleitung, p. 782). 따라서 힐겐펠드는 그 본문이 너무 세심한 서기관들에 의해 삭제되었다는 어거스틴의 진술을 ‘불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했다. 그리고 스텍(1893)은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요한복음이 처음으로 세상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전에 이미 요한복음 본문에 있었다고 제안했다. “그것이 후에 도덕적인 정숙함에 밀려 삭제되었다는 것은 쉽게 이해된다.”라고 결론짓는다(T Z aus der Schweiz, vol. 4, p. 98).   해리스(1891)는 2세기에 번창했던 금욕주의 기독교의 한 종파인 몬타니스트들이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를 잘 알고 있었다고 확신했다. “몬타니스트들의 교회들은 이것이 본문에 더해졌다는 것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았거나 아니면 이것을 삭제했다. 그러나 동시에 서방에서도 사람들이 이 구절을 더할 나위 없이 잘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사도행전의 라틴어 주해자가 사도행전 5장 18절의 한 부분에서 몇 단어를 차용했기 때문이다.”(Codex Bezae, TS, vol. 2 (1891), p. 195). 사도행전 5장 18절은 “[지도자들이] 사도들에게 손을 대어 붙잡아다가 일반 감옥에 가두었다.”로 되어 있다. 이 구절에 대한 D 사본의 라틴어 부분에는 “이에 그들이 각각 자기 집으로 떠났다.”라는 구절이 첨가되어 있다. 해리스의 주장처럼 명백히 이 첨가 부분은 모여 있던 사람들이 해산하는 모습을 기술한 요한복음 7장 53절에서 가져온 것이다. 만일 몬타니스트들이 사도행전 5장 18절에 이 말을 첨가했다면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는 틀림없이 원래 요한복음의 일부였을 것이다. 요한복음 7장 53절~8장 11절이 그 복음서 본문에 첨가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자연주의 학자들은 많은 사실들을 무시함으로써 즉 고대의 기록자들이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에 대해 말한 것들은 무시하고 단지 다른 고대 기록자들이 그것에 대해 아무 말도 하고 있지 않다는 것만을 강조함으로써 자신들의 입장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호르트가 자신의 「본문비평개론」(1881)에서 행한 일이다. 이 책에서 그는 암브로스와 어거스틴의 증언을 거의 언급하지 않으며 아르메니아 사람들에 대한 니콘의 진술은 단지 잘못 인용된 것으로 간단히 처리해 버린다(N. T. In The Original Greek, vol. 2, Appendix, p. 82). 실제 증거와는 상충되게 호르트는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초기 교회에 거슬리는 것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고대에 몬타니스트들과 노바티안들을 제외하고는 이 부분을 고민거리로 여긴 사람은 거의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데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동일 저자, p. 86). 그러나 호르트의 이런 대략적인 진술이 함축하고 있는 바에 대해 해리스는 동의할 수가 없었고 그래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분명히 호르트 박사는 몬타니스트들에 의해 본문이 많이 변경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와는 반대로 그들의 본문 변개는 매우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쳤다.”(Codex Bezae, TS, vol. 2 (1891), p. 195.) 오늘날 대부분의 자연주의 학자들은 요한복음 7장 53절~8장 11절이 원래 본문이 아니라고 확신하고 있어서 이 문제를 더 논의해 봤자 얻을 것이 없다고 여긴다. 그들은 (아직도 이것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일반 성도들을 위해) 이 문제를 다룰 때 웨스트코트와 호르트의 노선을 따른다. 그들은 이 구절에 대한 고대의 증언은 모순된 것으로 던져버리고 ‘침묵의 주장’에만 의존한다. 그러므로 콜웰(1952)은 어거스틴이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삭제된 것에 대해 설명한 것을 조소했다.   그는 단언했다. “초기 그리스어 사본들의 출처들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생략’은 이런 방식으로 거의 설명될 수 없다. 일부 그리스 서기관들은 틀림없이 결혼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요한복음에서 이 이야기를 삭제한 서기관들이 누가복음에서는 이보다 훨씬 더 큰 동정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기사는 건드리지 않고 그대로 남겨 놓았다는 증거를 두고 판단할 때 어거스틴의 주장을 지지할 수 없다.”(What Is The Best New Testament? By E. C. Colwell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opy1952 by the University of Chicago, p. 82.)   그러나 이 점에 있어서 콜웰이 어거스틴을 비난한 것은 타당성이 없다. 요한복음 8장의 ‘간음한 여인의 이야기’와 ‘주님의 발에 기름을 붓고 죄 사함을 받은 여인의 이야기’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누가복음에서는 그 여인의 회개와 믿음이 강조되고 있지만 요한복음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뚜렷하게 언급되지 않는다. 누가복음에서는 하나님의 율법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하지만 요한복음에서는 외견상 하나님의 율법이 파기된다. 또한 누가복음에서는 죄를 지은 여인이 창녀였다. 그러나 요한복음의 여인은 간음한 여인이었다. 따라서 요한복음에 나오는 간음한 여인의 이야기에 대한 반대 의견들을 누가복음의 창녀 이야기에 적용시킬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또 예를 들어 터툴리안이 누가복음의 이야기는 언급하면서도 요한복음의 이야기는 말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도 충분한 이유가 있다. (c) 현대 번역본들의 잘못된 각주들 요한복음 7장 53절~8장 11절에 대한 현대 역본들의 각주들은 완전히 사람들을 오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개역표준역(RSV)은 각주에서 “대부분의 고대의 권위 있는 사본들은 7장 53절~8장 11절을 생략하거나 이것을 요한복음 7장 52절 다음에 혹은 요한복음의 맨 끝에 또는 누가복음 21장 38절 뒤에 변화된 본문의 형태로 삽입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신영국성경(NEB) 역시 고대의 권위 있는 사본을 언급하며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고대 신약 성경 사본들에서는 고정된 자리에 있지 않았다고 말한다.   이러한 각주들은 원래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독립된 이야기로 여러 가지 형태로 유포되었고 나중에 서기관들이 신약 성경에 첨가하려고 할 때 이것을 넣어야 할 자리에 대해 자기들끼리도 의견의 일치를 볼 수 없어 어떤 서기관은 이곳에 또 다른 서기관은 저곳에 삽입하였음을 암시한다. 폰 소덴(1902)은 오래 전에 이러한 각주들이 암시하는 견해가 완전히 잘못된 것임을 보여 주었다. 비록 그가 요한복음 7장 53절~8장 11절이 참 본문이라는 것을 부인했지만 그럼에도 이 본문에 대한 자신의 기념비적인 연구에서 그는 사실들을 제시할 때 뛰어난 공정성을 보여 주었다. 폰 소덴은 이 부분이 때로는 요한복음의 마지막에서 발견되며 때로는 요한복음 7장 52절 근처의 여백에 있거나 어떤 사본 군(群)에서는(Ferrar group) 누가복음 21장 38절 뒤에 삽입되어 있다고 말한 후 연이어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본들에서는 이 본문이 7장 52절과 8장 12절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다만 한 가지 주시할 점은 이런 사본들 가운데 적어도 절반 정도에서 난외에 이 본문에 대한 삭제 기호가 있었다는 점이다.”(Die Schriften des Neuen Testaments, von Soden, Goe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 Teil, 1. Abt., p. 486). 따라서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는 통상적으로 요한복음 7장 52절과 8장 12절에 위치했다. 그러므로 다른 부분에 이 본문이 놓인 사본들은 이 같은 규칙을 벗어난 예외의 경우이다. 메츠거(1964)는 말한다.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는 명백히 서방 교회의 어떤 지역에서 유포되었던 한편의 구전이다. 그 후에 그것은 여러 곳에서 여러 사본들 속에 삽입되었다.”(Text Of The New Testament, Metzger, p. 224).   그러나 폰 소덴이 오래 전에 자신의 조심스러운 학문적 연구를 통해 논증했던 것처럼 역사적 사실들에 대한 메츠거의 해석은 틀린 것이다. 폰 소덴은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의 통상적인 위치가 신약 성경 본문에서 이 구절들의 원래 위치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때로 이 본문이 다른 자리에 있거나 그 안에 이상스러울 정도로 많은 다른 이문이 포함된 것은 이것이 신약 성경의 일부가 된 후에 전개된 일이다.   그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많은 형태의 본문 이문에도 불구하고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여러 곳에서 혹은 다양한 형태로 사복음서에 억지로 끼어들어가지 않았다는 것은 확실하게 입증되었다. 그런 가설은 이 본문이 이미 확고하게 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에 의해 반박되었다. 소위 ‘페라 군’(Ferrar group)이라 불리는 것들의 공통 조상 사본의 입장이 예외이지만 그것은 사실 아무것도 증명하지 못한다. 그런 가설과는 반대로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분명한 시기에 명확한 곳에서 맨 처음 사복음서의 본문에 들어가게 되었을 때 온갖 반대 공격에 연승을 거둠으로써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되어야 한다.”(Die Schriften des Neuen Testaments, 1. Teil, 1 Abt., p. 500).   그리고 그 뒤에 폰 소덴은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의 본문 형태를 재구성하여 제시하는데 이것은 실질적으로 공인 본문과 킹제임스 성경에 있는 형태와 다르지 않다.   또한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의 시작을 알리는 구절들(요7:53-8:2)은 신약 성경에서의 이 기사의 원래 위치가 요한복음 7장 52절과 8장 12절 사이라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 준다. 이러한 서론 구절들이 문맥에 가장 잘 들어맞는 위치가 바로 이곳이기 때문이다. 이 구절들 가운데 첫 구절(요7:53)은 바로 이전에 논쟁을 벌였던 사람들의 해산을 묘사하고 있다. 다음의 두 구절(요8:1-2)은 예수님께서 그 동안에 그리고 그 이후에 무엇을 하셨는지를 말해 준다. 이 후에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로 전환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신영국성경(NEB)이 제시하는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의 위치에서는 이 같은 서론 구절들이 전혀 뜻이 통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런 것을 제공하는 사본들에서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의 위치가 잘못되었음을 입증한다. 오래 전에 딘 버건은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의 위치가 잘못되어 있는 이러한 사본들이 얼마나 신뢰할 수 없는 것들인가를 지적했다.   “비평가들은 4개의 초서체 복사본들(페라 군)에서 문제의 이 구절들이 누가복음 21장의 끝에 덧붙여져 있다는 것을 열심히 지적한다. 그런데 그들은 ‘이 4개의 코덱스들이 공통의 원형에서 유래되었고’ 따라서 하나의 동일한 조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한 마디 더 덧붙인다면 그 조상이 부패한 복사본이라는 것을 잊었단 말인가? 나는 그 비평가들에게 동일한 4개의 그 코덱스들에서 ‘그리스도의 고뇌와 피땀’(눅22:43-44) 기사가 마태복음에 삽입되어 26장 39-40절 사이에서 발견된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고 싶다. 가드에 살던 어떤 사람이 손가락과 발가락을 하나씩 더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가지고 사람의 손은 어떤 손이나 손가락이 다섯 개며 발가락 또한 다섯 개라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는 것처럼 복음서들 가운데 발견되는 단 한 개의 파격적인 예가 이 구절들이나 혹은 다른 구절들의 올바른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없다.”(The Causes Of The Corruption Of The Traditional Text, Burgon, p. 250). (d) 그리스 교부들의 침묵 설명 요한복음 7장 53절~8장 11절의 순수성에 반대하는 자연주의 비평가들의 주장은 주로 과거에 아무도 이것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는 것 즉 침묵에 근거한 주장이며 이 중에 가장 강력한 것은 그리스 교부들이 이것에 대해 침묵했다는 것이다. 메츠거(1964)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리스도께서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를 언급하신 후 1000년 동안 그리스 교부들 중에 오리겐, 크리소스톰, 논누스(운율을 맞춘 자신의 의역에서)처럼 한 구절 한 구절 전 복음서를 다뤘던 사람들을 포함해서 어느 누구도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를 언급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더욱 중요하다. 12세기 초반에 살았던 지가베누스는 그 구절들에 대해 논평을 한 최초의 그리스 저자이다. 심지어 그는 복음서의 정확한 복사본들이 그 구절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단언한다.”(Text Of The New Testament, Metzger, p. 223).   그러나 메츠거의 이 주장은 자신이 의도했던 것만큼 그렇게 설득력이 없다. 첫째로, 버건이 오래 전에 지적했던 것처럼 우리는 메츠거가 그토록 불길하게 말하는 1000년이란 기간에서 적어도 300년은 빼버려야 한다. 티센도르프가 그 구절들의 통상적인 위치에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를 포함하고 있는 9세기의 사본 9개와 8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사본 1개를 사본들의 목록에 싣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000년의 이 기간 중에서 마지막 300년 동안 그리스 교부들이 침묵한 것은 그들이 다수의 신약 성경 사본들에서 지금의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요한복음 7장 53절~8장 11절을 포함하고 있는 사본들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었을 리가 없다. 후대의 그리스 교부들이 이 구절들에 대해 논평을 하지 않았던 것은 초기의 그리스 교부들이 그랬기 때문이었다. 또 오리겐(c. 230)과 크리소스톰(c. 400) 그리고 논누스(400) 같은 초기 그리스 교부들의 침묵 역시 이러한 고대 성경학자들이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요한복음의 일부분이었음을 알지 못했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우리가 언급했던 도덕적 편견이나 자기들에게 알려진 사본들 중에 일부가 그것을 생략하고 있다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또한 버건은 초기의 이 교부들이 이 부분에 대해 강해를 하지 않은 또 다른 매우 합당한 이유를 언급하고 있다. 그들의 논평은 주로 그들의 설교와 관련된 것이었고 그들의 설교는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교회의 옛 오순절 성경 일과에서 생략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이제야 비로소 처음으로 크리소스톰과 키릴이 요한복음을 대중들에게 강해하면서 7장 52절에서 곧바로 8장 12절로 넘어갔는지 분명히 알게 되었다. 물론 실제로 그들은 그렇게 했다. 회중 앞에서 공개적으로 낭송되지도 않는 부분을 왜 그들이 강해해야 하는가? - 어떻게 할 수가 있었겠는가? 아폴리나리우스와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르가 (유명한 주석 ‘Scholium’에서) 그랬던 것도 마찬가지다. 오리겐 역시 그랬든 안 그랬든 상관없지만 - 비록 반대 입장의 비평가들이 요한복음의 그 부분에 대한 그의 주석이 빠진 것을 알고 그 설명을 요구할 권리는 없지만 - 어찌되었든지 오리겐의 이름도 역시 동일하게 그렇게 한 사람들의 명단에 첨가될 수 있다.”(The Causes Of The Corruption Of The Traditional Text, p. 257). 초기에는 오순절 날에 온 교회가 요한복음 7장 37절~8장 12절을 낭송하는 것이 관례였었다. 이 성경 일과는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그리스도인들의 대명절에 매우 잘 어울리는 구절인 요한복음 7장 37-39절부터 시작했다.   37 마지막 날 곧 명절의 그 큰 날에 예수님께서 서서 외쳐 이르시되,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38 나를 믿는 자는 성경 기록이 말한 것 같이 그의 배에서 생수의 강들이 흘러나오리라, 하시니라. 39 (그러나 이것은 그분께서 자기를 믿는 자들이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더라. 예수님께서 아직 영광을 받지 아니하셨으므로 아직 성령님께서 주어지지 아니하였더라.)(요7:37-39).   그런 후에 이 성경 일과는 요한복음 7장 52절까지 계속되며 요한복음 7장 53절~8장 11절을 생략하고 요한복음 8장 12절로 끝을 맺는다.   그때에 예수님께서 다시 그들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나는 세상의 빛이니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둠 속에 다니지 아니하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 하시니라(요8:12).   따라서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오순절 날에 공개적으로 낭송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초기의 그리스 교부들이 이것에 대해 강해하지 않았던 또 다른 이유였다.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왜 오순절의 성경 일과에서 생략되었을까? 분명히 그 부분이 오순절의 중심 사상과는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비평가들의 설명은 다르다. 그들은 그 본문이 오순절의 성경 일과가 선정될 당시에 요한복음의 일부가 아니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버건이 지적한 것처럼 이렇게 주장하면 이 본문이 요한복음 7장 52절 다음에 놓이게 된 이유를 설명하는 일이 더욱 어려워진다. 어떤 서기관이 무슨 이유로 오순절의 성경 일과의 한가운데에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를 소개하려 했을까? 어떻게 이런 일을 할 생각이 났을까? 비록 그리스 교부들이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에 대해 침묵하고 있지만 교회는 침묵하지 않았다. 요한복음 8장 3-11절이 매년 10월 8일, 성 펠라기아의 날에 공개적으로 낭송되는 성경 일과로 선정되었다는 사실이 이것을 입증한다. 버건은 이러한 역사적 상황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동방 교회는 큰 목소리로 이 주제에 대해 거리낌 없이 말한다. 모든 동방 교회의 교직(敎職)에서 교회의 관례에 관한 문서 기록들을 추적해 올라가면 - 그것들은 이 구절들에 대한 교부들의 침묵이 문제를 난감하게 만든다고 주장하는 바로 그 교부들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 동방 교회들은 10월 8일을 위한 특별 성경 일과로 이 12구절 중에서 9구절을 선정했다.”(동일 저자, pp. 259-260).   (e) 내적 증거 자연주의적인 비평가들은 내적 증거라는 근거를 들어 요한복음 7장 53절~8장 11절의 순수성에 반대하는 주장을 힘차게 펼쳐왔다. 예를 들어 콜웰(1952)은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는 문맥에 어울리지 않고 거기에 사용된 어휘와 어조는 요한복음의 나머지 부분과 다르다고 주장한다(What Is The Best New Testament?, p. 81). 그러나 이렇게 주장함으로써 비평가들은 단지 자기들에게 새로운 어려움을 만들 뿐이다. 그 이유는 만일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삽입된 것이고 그것이 문맥과 그리고 요한복음의 나머지 부분과 그렇게 뚜렷하게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면 왜 그것이 현재의 그 위치에 지금껏 자리를 잡고 있을까 하는 의문 때문이다. 이것은 오래 전에 스텍(1893)이 물은 질문인데 지금까지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이 전혀 없었다(T. Z. aus der Schweiz, p. 98.) 그러나 사실 이러한 비난에는 실속이 하나도 없다. 문체를 트집 잡아 그런 것을 주장하는 것은 나약하기 짝이 없기 때문이다. 사실 문체를 트집 잡는 것은 온갖 것들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됐다. 오래 전에 버건은 이 본문에서 요한복음의 독특한 표현들을 지적했다. “우리는 8장 6절의 작은 설명 부분 즉 ‘그들이 그분을 시험하며 이렇게 말한 것은 그분을 고소하려 함이더라’에서 요한의 문체가 어떻게 온전히 드러나는지 주목한다. 게다가 우리는 6절과 8절에서 그분께서 쓰셨다는 사실이 강조된 것 - 이것은 요한복음의 기록자의 다른 부분과 일치한다 - 에 의해 놀라게 된다.”(The Causes Of The Corruption Of The Traditional Text, p. 241).   문맥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주장에 대해 버건은 사실은 전혀 그 반대임을 보여 준다.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생략되면 그것은 즉시 고칠 수 없는, 크게 벌어진 상처를 남긴다. “수수께끼 같은 B 사본과 알레프 사본에서는 7장 52절의 ‘갈릴리에서는 대언자가 나오지 못한다’는 말씀이 8장 12절의 ‘그러므로 다시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로 바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이 본문의 순수성에 대해 반대 의견을 갖고 있는 모든 비평가들은 그 복음서 기자의 영감 받은 자필 원본에 그 부분이 그렇게 되어 있으므로 우리는 그렇게 믿어야 한다고 억지를 부리며 유혹한다.”   “그러나 그것은 믿을 수 없다. 7장 37절과 52절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말씀을 다시 살펴보고 다음에 주목하라. (a) 서로 적대적인 두 무리가 성전 안뜰에 운집했다(40-42절). (b) 일부는 우리 주님을 폭력을 써서라도 잡아오는 것에 찬성을 했다(44절). (c) 논쟁에 참석한 산헤드린은 죄인인 주님을 잡아오지 못한 것에 대해 관원들을 비난하고 서로 논쟁을 벌이고 있다(45-52절). 이러한 상황에서 복음서 기자가 어떻게 ‘그러므로 다시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나는 세상의 빛이니’라고 계속해서 기록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요한이 그 말을 기록했을 때 그의 의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동일 저자, pp. 237-238).   분명히 버건은 제대로 핵심을 집었다. 요한복음 7장 53절~8장 11절을 거부하면 7장과 8장 사이의 연결이 빠져버려 아주 이상해진다는 것을 누가 부정할 수 있겠는가? 독자는 산헤드린 공회의 회의장에서의 논쟁의 한 복판에 서 있다가 단 한 마디 설명도 없이 성전에 계신 예수님께로 이끌려간다. 이와 같은 인상적인 기록은 기교를 많이 부린 현대의 일부 책들에서는 발견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신성한 성경책에서는 그런 기교가 통할 수 없다.   (f) 사본들과 역본들의 부정적인 증거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파피루스 66과 75, 알레프(시내 사본), B(바티칸 사본), W, L 등에서 생략되어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못된다. 그 이유는 이 모든 사본들이 습관적으로 생략하기를 좋아했던 알렉산드리아 전통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몬타니스트들이나 혹은 어떤 다른 극단적인 집단이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를 자기들의 요한복음 복사본들에서 제거하기 시작하자 초기 교회의 금욕적인 경향들과 맞물려 그러한 관행은 빠르게 퍼져 나갔고 특히 이집트에서 그랬다. 그 결과 우리가 그리스어 사본들 사이에서 볼 수 있는 바로 그와 같은 상황이 벌어지게 되었다. 최근에 발견된 보드머 파피루스 Ⅲ을 포함하여 많은 콥트어(이집트어) 역본들의 사본들이 같은 이유로 이 본문을 생략한다. 시리아 역본과 아르메니아 역본 또한 그렇다. 이것은 이런 모든 역본들이 거슬리는 구절을 생략해 버리는 경향을 반영한다. 그리고 그 부분이 대단히 광범위하게 생략되었다는 사실로 인해 후대의 서기관들은 비평가 노릇을 하게 되었고 그 결과 현존하는 사본들에서 이 구절에 대한 엄청난 수의 다른 형태의 본문이 생성되었다. 그리고 같은 이유로 많은 서기관들은 이 부분의 난외에 삭제 기호를 표시했다. 이런 현상들 중 어느 것도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참 본문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지 못한다. 단지 이 본문에 대한 편견이 초기 교회에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을 입증할 뿐이다. 이러한 편견이 있는 상황에서 이런 편견 때문에 ‘간음하다가 붙잡힌 여인의 기사’가 요한복음의 본문에 첨가되었다고 주장하는 것보다 요한복음의 본문에서 생략되었다고 가정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그것을 첨가하고자 하는 동기보다는 생략하고자 하는 어떤 더 큰 동기가 있었을 것이다.    ------------ 이 글은 에드워드 힐즈의 <킹제임스 성경 변호> 149-158쪽에 있음 <킹제임스 성경 변호>는 다음에서 무료 PDF를 다운받을 수 있음 http://www.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2&write_id=280 
2017-11-02 17:55:13 | 관리자
천주교 소수 본문의 문제: 시내 사본과 바티칸 사본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안녕하세요?   저희는 지금까지 사본학적 근거를 가지고 킹제임스 성경의 우수성을 알려드렸습니다.   다음 기사에서 보듯이 그리스어 신약 성경 사본의 99%는 킹제임스 성경을 지지합니다.   <사본들의 압도적인 증거: 99%가 전통 다수 본문 지지>http://www.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manus&write_id=123   이런 명백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천주교 소수 사본이 좋다고 주장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내일(2017년 10월 31일)은 종교 개혁 500주년 되는 날입니다. 정확히 500년 전에 마르틴 루터는 천주교의 부패를 온 천하에 알리며 종교 개혁의 불길을 당겼습니다. 루터가 한 일 중 가장 위대한 것은 천주교 소수 본문을 버리고 에라스무스가 편집한 다수 본문에 근거하여 보통 사람들을 위한 성경을 번역한 것입니다. 그 이후에 틴데일 성경, 제네바 성경, 킹제임스 성경, 올리베땅 성경, 디오다티 성경 등 유럽 모든 국가의 성경이 다수 본문에서 번역되어 수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의 영광스러운 빛을 비쳐 주었습니다. 이런 명백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천주교 사본이 옳다고 주장하는 분들은 역사적/사본학적 사실을 보지 않으려고 스스로 눈을 가리고 있습니다. 보면 볼수록 자기들의 위선을 감추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천주교 소수 사본과 관련해서 한 가지 더 알려드려야 할 것이 있습니다. 소수 사본 지지자들이 추앙하는 바티칸 사본과 시내 사본은 자기들끼리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수두룩합니다. 다음은 위키 백과 기사입니다.   <바타칸 사본과 시내 사본의 차이> https://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codices_Sinaiticus_and_Vaticanus   위키 백과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듯이, 이 두 사본은 사복음서에서만 무려 3,036개나 서로 다릅니다(마태복음 656개, 마가복음 57개, 누가복음 791개, 요한복음 1022개). 물론 이것 역시 이미 사본 학계에 공공연하게 다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러니 소수 사본 중 어떤 것이 맞는지 우리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도대체 어떤 사본을 신뢰해야 한단 말입니까? 누가 본문 재판관으로 앉아야 합니까? 또한 시내 사본은 특히 여러 곳에서 조작된 부분이 명백히 드러나 있습니다. 시내 사본 조작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시기 바랍니다.   <시내 사본 조작>http://keepbible.com/bbs/board.html?board_table=02_02&write_id=668   반면에 40여 개의 소수 본문을 제외한 99%의 안디옥 계열 사본들(다수 사본, 종교개혁 사본, 보편적 사본, 비잔틴 사본, 전통 사본)은 어느 것을 보아도 본문이 일정합니다. 바로 여기서 킹제임스 성경과 루터 성경 등이 나왔고 이러한 다수 사본 성경들이 전 세계의 신학과 교리와 교회들을 세웠습니다.   루터와 칼빈 등의 종교 개혁을 통해 진리의 빛을 온 세상에 보내 주신 우리 주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주의 말씀들이 들어오면 빛을 주며 이 빛이 단순한 자에게 명철을 주나이다(시119:130).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약속에 따라 우리 손에 완전히 보존된 성경을 주셨습니다. 6 {주}의 말씀들은 순수한 말씀들이니 흙 도가니에서 정제하여 일곱 번 순수하게 만든 은 같도다. 7 오 {주}여, 주께서 그것들을 지키시며 주께서 그것들을 이 세대로부터 영원히 보존하시리이다(시12:6-7).   우리는 이 성경이 1611년 영어 킹제임스 성경이라고 믿습니다. 다음은 리건 박사가 지은 「1611년 킹제임스 성경, 초기 개정 신화」(The King James Version of 1611, The Myth of Early Revisions)의 결론입니다. https://www.biblebelievers.com/Reagan_myth-early.html   "여러분은 이제 확신을 가져도 된다. 오늘 이 시간 우리 손에 있는 ‘킹제임스 성경’은 결코 ‘개정된 것’이 아니라 ‘정화된 것’이다. 우리 손에 들려 있는 이 성경이 우리를 위해 ‘영어로 보존해 주신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사실을 의심할 필요가 전혀 없다. ‘킹제임스 성경’ 본문의 정확성에 대한 권위는 1611년 판 ‘킹제임스 성경’의 초판 인쇄본에 있지도 않고 제임스 1세의 인품에 놓여 있지도 않으며, 엘리자베스 시대 영국 문학의 뛰어난 업적에 있지도 않고 심지어 그리스어 ‘공인 본문’에 있지도 않다. 영어 ‘킹제임스 성경’(KJV)이라는 절대 무오한 말씀의 권위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말씀을 보존하시겠다고 하신 약속과 그분의 능력에 달려 있다! 하나님은 능력이 있으신 분이다. 그리고 지금 이 시간 우리 손에는 그분의 완전한 말씀이 있다."   루터와 칼빈 등의 종교 개혁을 통해 귀한 성경을 보통 사람들의 손에 쥐여 주신 우리 주 예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샬롬   패스터
2017-10-30 17:14:55 | 관리자
너는 진리의 말씀을 바르게 나누어 네 자신을 하나님께 인정받은 자로, 부끄러울 것이 없는 일꾼으로 나타내도록 연구하라 (딤후2:15). 대구 스데반침례교회 김정미자매입니다. 감사드립니다.
2017-10-30 14:52:15 | 김정미
안녕하세요?   매년 9월에는 국내 여러 교단들이 정기 총회에서 종종 이단성 조사 결과를 발표합니다. 2017년에도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는 102차 총회에서 몇몇 목사에 대한 이단성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크리스챤투데이: http://www.christiantoday.co.kr/news/304197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851149   그런데 발표 뒤에는 발표 결과를 두고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오고 의견이 분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이유로 인해 2016년 8월 19일, 한국교회 주요 8개 교단 이대위원장들이 교단마다 다른 이단 관련 용어와 개념을 통일하기로 하고 서초구 예장 고신총회본부에서 연석회의를 가졌습니다. 그리고 이날 ‘이단 관련 구분에 따른 용어 및 결의에 따른 제제 단계 통일안’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대한 기사는 기독교 연합신문에 나와 있습니다.   <어디부터 이단이고 어디부터가 사이비인가>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0501   이처럼 주요 교단 이대위원장들의 협의를 거쳐 통일된 안이 나와 있음에도 이런 사실을 모르는 분들이 많아 여전히 의견이 난립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입니다.   이들이 결론 내린 이단, 이단성, 사이비 정의 및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단성   성경과 기독교 정통 교리의 가르침 안에 있으나 부분적으로 이단적 요소를 소극적으로 지니고 있는 주장이나 단체, 사람에 대해서는 ‘이단성’으로 구분하기로 했다.   2. 이단   ‘이단성’을 넘어 성경과 기독교 정통 교리에서 벗어나 파당을 이뤄 기독교 신앙의 기본교리이자 일치의 공통분모인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 성령님, 삼위일체, 성경, 교회, 구원에 대한 신앙 중 어느 하나라도 부인하거나 현저히 왜곡하여 가르치는 주장이나 단체, 사람에 대해 ‘이단’으로 명명키로 했다.   3. 사이비   기독교의 이름으로 존재하고 활동하지만, 부분적으로 탈기독교적 반사회적인 모습을 소극적으로 보이는 주장이나 단체, 사람을 ‘사이비성’으로, 해석의 차이나 견해의 차이가 아니라 기독교를 배경으로 하여 기독교의 이름으로 존재하고 활동하지만 탈기독교적 반사회적인 주장이나 단체, 사람을 ‘사이비’로 규정했다.   4. 이단 옹호   이밖에 이단 및 사이비를 옹호하는 주장이나 기관, 단체, 사람에 대해서는 ‘이단옹호’로 구분했다.   ------------   자, 그런데 대분의 성도들이 혼동하는 것은 '이단'과 '이단성'의 구분입니다. 이단 연구를 많이 했다는 분들 중에서도 다수가 '이단성'이 곧 '이단'이라고 말하여 혼동을 가중시킵니다.   가장 최근에 한국교회 주요 8개 교단 이대위원장들이 합의하여 만든 ‘이단 관련 구분에 따른 용어 및 결의에 따른 제제 단계 통일안’에는 이단과 이단성은 그 개념이 완전히 다른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단은 말 그대로 정통 기독교의 교리에서 떠난 것을 말합니다.   반면에 이단성은 기독교 정통 교리 안에 있으나 부분적으로 이단적 요소를 소극적으로 지니고 있는 주장이나 단체, 사람에 대한 규정입니다.   한 기관이나 개인이 이단으로 판정되면 엄청난 타격을 받게 되므로 모든 교단들은 이단이라고 판정할 때에 심히 주의를 기울입니다. 그리고 이단의 경우에는 판결문에 분명하게 “OOO는 무슨 무슨 교리에서 어떤 이유로 이단이다”라고 기록합니다.   반면에 이단은 아니지만, 각 교단의 믿음에서 부분적으로 떠나 소극적으로 그 교단의 믿음에 어긋나는 주장을 하는 경우 이들은 ‘경계-예의주시-참여교류금지’의 세 단계 제재가 있다고 정리하였습니다.   1. ‘경계’란 “제보 혹은 관찰 중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조사 및 연구 결과가 시작 전이거나 혹은 불충분할 때 발동하는 것으로, 발동이 되면 자원하여 관계를 유의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2. 2단계에 속하는 ‘예의 주시’에 대해서는 “문제의 사람, 혹은 단체가 지적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할 때 조사 및 연구가 더 요구될 때 발동하는 것으로, 동참자는 총회의 결과가 있을 때까지 교류 및 관계를 절제한다”고 정리했다.   3. 마지막 세 번째 단계인 ‘참여교류금지’는 “문제의 주장, 사람, 단체에 대해 일체의 참여 및 교류를 금지”하는 사실상 최고 수준의 제제 단계에 해당한다.   ------------   이 경우 판결문에는 “OOO는 이단이다”, “OOO는 이단이 아니다”라는 내용이 없고 제재 이유와 내용만 “OOO는 이런 저런 이유로 예의 주시 혹은 집회 참여 금지” 등으로 기록됩니다.   예를 들어 위에 있는 노컷뉴스를 보시면, 분명하게 2017년에 예장 합동 소환 조사를 받은 5명의 목사들과 스베덴보리 사상은 이단성으로 규정되었고 거기에 합당한 제재(예의 주시, 집회 참여 금지, 교류 금지 등)가 나와 있습니다.   이런 차이를 모르는 분들은 이단성이 곧 이단이라고 생각하기 쉽고 또 어떤 분들은 악의적으로 이단성을 무조건 이단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아 다르고 어 다른 경우입니다.   이단성이 있어 예의 주시 등으로 판정된 경우 대개 당사자는 판정 이유를 살펴보고 반성하며 언행을 조심하여 덕을 끼치도록 노력하게 됩니다.   2016년 8월 19일에 한국교회 주요 8개 교단 이대위원장들이 공동으로 작성한 ‘이단 관련 구분에 따른 용어 및 결의에 따른 제제 단계 통일안’을 참조하면 “이단과 이단성 그리고 사이비의 정의와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샬롬   패스터   (*) 동영상 참조하세요. <이단, 이단성, 사이비의 정의 및 차이>https://youtu.be/s2Jna_l-OlI    
2017-10-30 09:20:41 | 관리자